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하3의1
  • 9. 정제업장보살장(淨諸業障菩薩章)
  • 5. 게송으로 요약하심
  • 5. 게송으로 요약하심 6
메뉴닫기 메뉴열기

5. 게송으로 요약하심 6


【경】 若能歸悟刹인댄

다가 能히 悟刹애 갈딘댄

만약 능히 깨달음의 나라에 갈 것이면,

【종밀주석】 刹은 是世界니 如入唐國면 率土ㅣ 屬唐

원각경언해 하3의1:73ㄴ

고 蕃境이 亦爾니 故知若到悟境면 則法法이 屬悟고 迷境이 亦爾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주001)
찰(刹):
① 토전(土田)·국(國)·처(處)라고 번역한다, 곧 국토로 불국토를 불찰이라고 하는 것과 같다. ② 찰주(刹柱)·찰간(刹竿)이라고도 한다. 후세에 흔히 찰간이라고 하는 것은 나무나 쇠로 깃대 모양을 만들고 꼭대기에 금속으로 장식하여 불당 앞에 세운 데에 기인하여, 절을 금찰(金刹)·범찰(梵刹)·사찰(寺刹)이라고 부른다.
 이 世界니 唐國에 들면 率土 주002)
솔토(率土):
솔토지빈(率土之賓)의 준말. ‘온 나라의 영토 안’의 의미이다.
애 屬고【率土  가 조 시니  다 니니라】 蕃境이  그러니 주003)
그러니:
‘번경(蕃境)이  그러니’는 ‘-’가 현대어의 것과 상당한 다른 성격도 가지고 있음을 보인다. 여기서의 ‘-’는 분리되어 ‘ -’로 되어야 할 것이다. “번경(蕃境)이 또 그러하듯이 하니”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는바, ‘’에 통합한 서술어 부분이 부사어가 되어 ‘니’를 수식하는 구조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럴  알리로다 다가 悟境에 니를면 주004)
니를면:
현대국어의 ‘이르다’가 러불규칙 동사인 것과는 달리 중세국어의 ‘니를다’는 규칙동사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중세국어에서 “至”의 의미를 가지는 동사는 ‘니르-’와 ‘니를-’의 쌍형어간의 모습을 가진다. ‘니르-’는 자음어미 앞, ‘니를-’은 매개모음이나 모음어미 앞에서 사용된다.
法法이 悟애 屬고 迷境 주005)
미경(迷境):
미(迷)한 경계, 허망한 경계. 미계(迷界)라고도 한다.
이  그러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찰은 이 세계이니, 당나라에 들면 그 땅이 당에 속하고【솔토는 땅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것이니, 땅을 다 이른다.】 번경이 또 그러하듯이 하니 그러기에 알 것이다. 만약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면 법마다 깨달음에 속하고 허망한 경계가 또 그러한 것이다.
Ⓒ 역자 | 한재영 / 2007년 10월 9일

주석
주001)
찰(刹):① 토전(土田)·국(國)·처(處)라고 번역한다, 곧 국토로 불국토를 불찰이라고 하는 것과 같다. ② 찰주(刹柱)·찰간(刹竿)이라고도 한다. 후세에 흔히 찰간이라고 하는 것은 나무나 쇠로 깃대 모양을 만들고 꼭대기에 금속으로 장식하여 불당 앞에 세운 데에 기인하여, 절을 금찰(金刹)·범찰(梵刹)·사찰(寺刹)이라고 부른다.
주002)
솔토(率土):솔토지빈(率土之賓)의 준말. ‘온 나라의 영토 안’의 의미이다.
주003)
그러니:‘번경(蕃境)이  그러니’는 ‘-’가 현대어의 것과 상당한 다른 성격도 가지고 있음을 보인다. 여기서의 ‘-’는 분리되어 ‘ -’로 되어야 할 것이다. “번경(蕃境)이 또 그러하듯이 하니”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는바, ‘’에 통합한 서술어 부분이 부사어가 되어 ‘니’를 수식하는 구조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다.
주004)
니를면:현대국어의 ‘이르다’가 러불규칙 동사인 것과는 달리 중세국어의 ‘니를다’는 규칙동사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중세국어에서 “至”의 의미를 가지는 동사는 ‘니르-’와 ‘니를-’의 쌍형어간의 모습을 가진다. ‘니르-’는 자음어미 앞, ‘니를-’은 매개모음이나 모음어미 앞에서 사용된다.
주005)
미경(迷境):미(迷)한 경계, 허망한 경계. 미계(迷界)라고도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