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하3의1
  • 9. 정제업장보살장(淨諸業障菩薩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9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9


【경】 惟願如來ㅣ 廣爲我等샤 開悟法性샤

願 如來ㅣ 너비 우리 爲샤 法性을 여러 알외샤

원하는 것은 여래가 널리 우리를 위하시어 법성을 열어 알게 하시어

【종밀주석】 法性者 諸法之性이니 若直譚本體ㄴ댄 則明覺性이오 若推窮差別之法인댄 皆無自體야 同於一性니 即名法性이라 今에 推破四相샤 豁融諸法샤 全同覺性故로 云開悟法性이라 從前經文엔 但云覺性시고 唯此叚애 云法性시니 意在此矣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法性은 諸

원각경언해 하3의1:6ㄱ

法ㅅ 性이니 다가 本體 바 주001)
바:
형용사 ‘바다’의 어간이 형태변화 없이 부사로 쓰인 것이다. 중세국어에서 그와 같은 예들을 찾아보기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하 벼리 눈 디니다〈용가 50〉’의 ‘눈’이라든가, ‘브르 먹고 날을 졈글워  이리 업스리니〈번소 8:12ㄴ〉’의 ‘브르’와 같은 예들이 그것이다.
닐올딘댄 일후미 覺性이오 다가 差別 法을 推尋야 窮究홀딘댄 다 自體 업서  性에 니 곧 일후미 法性이라 이제 四相 推尋야 허르샤 諸法을 훤히 주002)
훤히:
‘훤히’는 문맥에 따라서는 “호탕하게”나 “시원하게” 정도의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는 부사이다.
노기샤 覺性에 오로   니샤 法性을 여러 알외샤미라 알 經文엔 오직 覺性을 니시고 오직 이 段에 法性을 니시니 디 이 겨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법성은 모든 법의 성질이니 만약에 본체를 바로 말하자면 이름이 각성이고, 만약에 차별한 법을 추심하여 궁구한다면 모두 스스로의 몸이 없어 하나의 성과 같으니 곧 이름이 법성이다. 이제 사상을 추심하여 허시어 모든 법을 훤히 녹이시어 각성에 온전히 같기에 말하시되 법성을 열어 알리심이다. 앞의 경문엔 오직 각성을 이르시고 오직 이 단에 법성을 이르시니 뜻이 여기에 계시니라.
Ⓒ 역자 | 한재영 / 2007년 10월 9일

주석
주001)
바:형용사 ‘바다’의 어간이 형태변화 없이 부사로 쓰인 것이다. 중세국어에서 그와 같은 예들을 찾아보기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하 벼리 눈 디니다〈용가 50〉’의 ‘눈’이라든가, ‘브르 먹고 날을 졈글워  이리 업스리니〈번소 8:12ㄴ〉’의 ‘브르’와 같은 예들이 그것이다.
주002)
훤히:‘훤히’는 문맥에 따라서는 “호탕하게”나 “시원하게” 정도의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는 부사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