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하3의1
  • 10. 보각보살장(普覺菩薩章)
  • 4. 스승에 의지하여 병을 고칠 것
  • 4-1) 안목이 있는 스승을 모실 것 9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안목이 있는 스승을 모실 것 9


【경】 示有諸過나

주001)
과(過):
실수로 잘못을 저지르는 것. 허물. 범(犯)이 의도적으로 저지르는 잘못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쇼 뵈나

여러 허물이 있음을 보이나,

【종밀주석】 欲度有過衆生인댄 先以同事로 相攝이니 心

원각경언해 하3의1:84ㄱ

旣相親야 方能受教니 如净名에 云호 入諸淫舍야 示欲之過等며 亦同華嚴에 善財이 善友婆須蜜女等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過 잇 衆生 度호

원각경언해 하3의1:84ㄴ

려 홀딘댄 몬져  일호로 서르 자볼 디니 미 마 서르 親야 비르서 能히 敎 받니 淨名에 닐오 한 淫舍애 드러 欲 허믈 뵈욤 며  華嚴에 善財의 이든 벋 婆須蜜 주002)
바수밀(婆須蜜):
천우(天友) 또는 세우(世友)라고 번역한다. 북인도 건타라국 사람으로, 불멸 후 600년 가니색가왕 때에 가습미라국에서 ‘대비바사론’을 편찬하던 제4 결집 때에 학식이 풍부한 상좌로 활약하였다.
女等 니라【華嚴 호 곧 善財 맛난 婆須 蜜女ㅣ 貪行 行호 뵈야 善財ㅣ 맛나 菩薩ㅅ 離欲際 解脫門을 得며 無厭足王이 瞋行 行호 뵈야 如幻解脫門 得며 勝熱 婆羅門이 癡行 行호 뵈야 般若婆羅蜜解脫門 得호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허물 있는 중생을 제도하려 하면 먼저 함께 일하는 것으로 서로 잡을 것이니, 마음이 이미 서로 친하여야 비로소 능히 교를 받으니, 정명에 이르되 모두 음사에 들어가 욕심의 허물을 보이는 것들과 같으며, 또 화엄에 선재가 좋은 벗 바수밀녀 등과 같다.【화엄과 같음은 곧 선재를 만난 바수밀녀가 탐행(=탐욕스러운 행동)을 행함을 보이거늘 선재가 만나 보살의 이욕제 해탈문을 얻으며, 무염족왕이 진행(=성내는 행동)을 행함을 보이거늘 여환 해탈문을 얻으며, 승열 바라문이 치행(=어리석은 행동)을 행함을 보이거늘 반야바라밀 해탈문을 얻는 것이다.】
Ⓒ 역자 | 한재영 / 2007년 10월 9일

주석
주001)
과(過):실수로 잘못을 저지르는 것. 허물. 범(犯)이 의도적으로 저지르는 잘못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주002)
바수밀(婆須蜜):천우(天友) 또는 세우(世友)라고 번역한다. 북인도 건타라국 사람으로, 불멸 후 600년 가니색가왕 때에 가습미라국에서 ‘대비바사론’을 편찬하던 제4 결집 때에 학식이 풍부한 상좌로 활약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