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하3의1
  • 10. 보각보살장(普覺菩薩章)
  • 4. 스승에 의지하여 병을 고칠 것
  • 4-2) 스스의 조건 5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스스의 조건 5


【경】 彼圓覺性은 非作得故로

뎌 圓覺性은 지 得홈 아닌 젼로

저 원각성은 지어 얻는 것이 아닌 까닭으로

【종밀주석】 指體以破也시니라 圓覺性은 非造作이어늘 造作면 如何契之리오 若了覺性이 本圓면 不用興心求益이니 不興心處ㅣ 即合覺心

원각경언해 하3의1:99ㄱ

니 合覺心時예 自無諸妄야 無諸妄已면 則所作이 相應야 積土聚沙ㅣ 皆成佛道리니 即於上來諸行애 遇緣力及에 便爲随病随治야 不順妄念리라 但得妄盡면 性自開明이며 歇即菩提어니 豈從外得이리오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3의1:99ㄴ

體 쳐 허르시니라 圓覺性은 造作 아니어늘 造作면 엇뎨 마리오 다가 覺性이 本來 圓  알면  니르와다 더우믈 求티 아니리니  니르왇디 아니 고디 곧 覺心에 마니 覺心에 마 時節에 自然히 한 妄이 업서 한 妄이 업스면 지미 相應야  뫼호며 몰애 뫼호미 다 佛道 일우리니【法華애 니샤 다가 너븐 드릇 中에  뫼화 佛廟 며 아 노새 몰애 뫼화 佛塔 면 이 한 사히 다 마 佛道 일우다 시니라】

원각경언해 하3의1:100ㄱ

곧 우흿 한 行애 緣을 맛나 힘 미추매 곧 病을 조며 고툐 조차 妄念 주001)
망념(妄念):
미망(迷妄)한 집념(執念). 범부가 6진(塵) 경계에 탐착하는 마음. 육진(六塵)은 육경(六境)으로, 6식(識)으로 인식하는 대경(對境). 색경(色境)·성경(聲境)·향경(香境)·미경(味境)·촉경(觸境)·법경(法境)이다.
을 順티 아니리라 오직 妄이 다 오 得면 性이 제 여러 며 歇면 곧 苦提어니 엇뎨 밧브터 得리오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체를 가리켜서 헐어내신다. 원각성은 조작이 아니거늘, 조작하면 어찌 맞겠는가? 만약에 각성이 본래 원한 줄을 알면 마음을 일으키어 더함을 구하지 아니하리니, 마음을 일으키지 아니한 곳이 곧 각심에 맞으니 각심에 맞는 시절에 자연스럽게 모든 妄이 없어져서, 많은 망이 없으면 지은 것이 상응하여 흙을 모으며 모래를 모으는 것이 다 불도를 이루리니【법화에 이르시되 만약에 넓은 들 가운데에 흙을 모아 불묘를 만들며, 아이의 놀이에 모래를 모아 불탑을 만들면, 이 같은 많은 사람들이 다 벌써 불도를 이루었다고 하시니라】 곧 위의 여러 행에 연을 만나 힘이 미치기에 곧 병을 좇으며, 고침을 좇아, 망념을 따르지 아니할 것이다. 오직 망이 다하는 것을 얻으면, 성이 스스로 열려 밝으며, 없으면 곧 고제이거니 어찌 밖으로부터 얻겠는가?
Ⓒ 역자 | 한재영 / 2007년 10월 9일

주석
주001)
망념(妄念):미망(迷妄)한 집념(執念). 범부가 6진(塵) 경계에 탐착하는 마음. 육진(六塵)은 육경(六境)으로, 6식(識)으로 인식하는 대경(對境). 색경(色境)·성경(聲境)·향경(香境)·미경(味境)·촉경(觸境)·법경(法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