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하3의1
  • 10. 보각보살장(普覺菩薩章)
  • 4. 스승에 의지하여 병을 고칠 것
  • 4-5) 발심하는 방법 2
메뉴닫기 메뉴열기

4-5) 발심하는 방법 2


【종밀주석】 二 別明心相이니 此 同金剛經中具四心也니 四心者 彼經彌勒頌애 云샤 廣大第一常과 其心不顚倒ㅣ라 시니라

원각경언해 하3의1:128ㄴ

今此文이 二니 文二ㅣ 合故로 一은 廣大와 第一왜오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둘흔 心相 各別히 기샤미니 이 金剛經 주001)
금강경(金剛經):
1권. 요진(姚秦)의 구마라습 번역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이르는 말. 〈금강반야경〉이라고도 한다. 석존이 사위국에서 수보리 등을 위하여 처음에 경계가 공(空)함을 말하고 다음에 혜(慧)가 공함을 보이고, 뒤에 보살공(菩薩空)을 밝히다. 이 경은 공혜로써 체를 삼고 일체법 무아의 이치를 말한 것을 요지로 한다. 예전부터 이 경을 강설하는 이가 많았고, 특히 후세에는 선종에서 중요하게 여기었다. 다른 번역으로는 구마라습 번역 밖에 북위의 보리류지 번역(같은 제목). 진의 진체(眞諦) 번역(같은 제목), 수의 달마급다 번역 〈금강능단반야바라밀경〉, 당나라 현장의 번역 〈능단금강분〉, 당나라 의정의 번역 〈능단금강반야바라밀경〉의 5본이 있다.
中ㅅ 四心 주002)
사심(四心):
① 육단심(肉團心), 연노심(緣盧心), 집기심(集起心), 견실심(堅實心) 〈선원제전집도서〉에 있다. ② 지혜심(智慧心), 방편심(方便心), 무장심(無障心), 승진심(勝眞心), 이 네 가지의 청정한 공덕을 얻으면 5염문의 행을 완료하여 정토에 가서 난다 함. 〈정토론〉에 있다. ③ 직심(直心), 발행심(發行心), 심심(深心), 보리심(菩提心) 이것이 6도행의 근본이 된다. 〈유마경〉에 있다.
좀과 니 四心 뎌 經ㅅ 彌勒頌애 니샤 廣大와 第一와 常과 그 미 顚倒 아니홈괘라 시니라
이제 이 文이 둘

원각경언해 하3의1:129ㄱ

히니 文이 둘히 어운 젼로 나 廣大와 第一왜오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둘은 심상을 각별히 밝히시는 것이니, 이는 금강경 중의 네 가지 마음을 가지는 것과 같으니, 네 가지 마음은 저 경의 미륵송에 이르시되, 광대와 제일과 상과 그 마음이 전도되지 아니하는 것이라고 하신다.
이제 이 문이 둘이니, 문이 둘이 어우러진 까닭으로, 하나는 광대와 제일이고,
Ⓒ 역자 | 한재영 / 2007년 10월 9일

주석
주001)
금강경(金剛經):1권. 요진(姚秦)의 구마라습 번역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이르는 말. 〈금강반야경〉이라고도 한다. 석존이 사위국에서 수보리 등을 위하여 처음에 경계가 공(空)함을 말하고 다음에 혜(慧)가 공함을 보이고, 뒤에 보살공(菩薩空)을 밝히다. 이 경은 공혜로써 체를 삼고 일체법 무아의 이치를 말한 것을 요지로 한다. 예전부터 이 경을 강설하는 이가 많았고, 특히 후세에는 선종에서 중요하게 여기었다. 다른 번역으로는 구마라습 번역 밖에 북위의 보리류지 번역(같은 제목). 진의 진체(眞諦) 번역(같은 제목), 수의 달마급다 번역 〈금강능단반야바라밀경〉, 당나라 현장의 번역 〈능단금강분〉, 당나라 의정의 번역 〈능단금강반야바라밀경〉의 5본이 있다.
주002)
사심(四心):① 육단심(肉團心), 연노심(緣盧心), 집기심(集起心), 견실심(堅實心) 〈선원제전집도서〉에 있다. ② 지혜심(智慧心), 방편심(方便心), 무장심(無障心), 승진심(勝眞心), 이 네 가지의 청정한 공덕을 얻으면 5염문의 행을 완료하여 정토에 가서 난다 함. 〈정토론〉에 있다. ③ 직심(直心), 발행심(發行心), 심심(深心), 보리심(菩提心) 이것이 6도행의 근본이 된다. 〈유마경〉에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