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하3의1
  • 9. 정제업장보살장(淨諸業障菩薩章)
  • 4. 네 가지 미혹을 밝혀주심
  • 4-3-라) 깨달음의 결과만 바라보다 인지수행을 미혹해서는 안 됨 2
메뉴닫기 메뉴열기

4-3-라) 깨달음의 결과만 바라보다 인지수행을 미혹해서는 안 됨 2


【경】 無令求悟고 惟益多聞야

아로 求티 아니코 오직 해 드로 더야

깨달음을 구하지 아니하고, 오직 많이 듣기를 더하여

【종밀주석】 迷因也ㅣ니 即知先須悟道然後에 多聞增慧니 末世之人이 多迷此意야 唯宗名數코 不務了心니 心旣不通 解義ㅣ 唯多디옷 我見이 唯長故로 下애 云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因을 迷호미니 곧 몬져 모로매 道 안 後에 해 드러 慧 더우 아롤 디니 주001)
아롤 디니:
‘알+오+ # +ㅣ+니’의 구조를 보인다. 이런 구조에서는 명사구 보문에 선어말어미 ‘-오-’의 통합이 필수적이라 할 만한데, 경우에 따라서는 ‘-오-’ 대신 ‘-아-’가 통합되기도 한다. ‘風化앳 위두니 아랄 디로다〈두시 15:42ㄴ〉’와 같은 예가 여기에 참조된다.
末世ㅅ 사미 해 이 들 몰라 주002)
몰라:
‘모-’의 활용형 ‘몰라’는 ‘몰라서’의 의미 외에 ‘모른 채, 모르고서’의 의미를 가진다. 여기서는 후자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기본형은 ‘모다’이다. ‘모거늘, 모고, 몰라, 몰롤’ 등으로 활용하여 비자동적 교체를 보이는 예이다. ‘-[乾]’, ‘므르-[退]’, ‘-[速]’, ‘부르-[呼]’, ‘흐르-[流]’ 등이 같은 유형의 교체 양상을 보인다.
오직 名數 주003)
명수(名數):
명목의 수. 3계·5온·5위 등과 같이 수를 가진 법문의 수량.
주004)
종(宗):
① 인도의 논리학인 인명(因明)에서 삼단논법과 비슷한 삼지작법(三支作法)을 세우는데, 그 처음에 내세우는 입론자의 주장 또는 단안. ② 종취(宗趣). 모든 교법의 귀취로서, 그 인생관·세계관을 체계 있게 주장하는 근본 요지. ③ 종파. 각자의 특수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스승 제자가 서로 이어 받아 전해 가는 것.
고  아로 힘

원각경언해 하3의1:66ㄴ

디 아니니 미 마 通티 몯  아논 디 오직 하디옷 주005)
하디옷:
‘-디옷’은 ‘-수록, -을수록’의 의미를 가지는 어미이다.
我見 주006)
아견(我見):
신견(身見)이라고도 한다. 5견의 하나. 보통 ‘나’라고 함은 5온이 화합한 것으로서 참으로 ‘나’라고 할 것이 없는데 ‘내’가 있는 것으로 잘못 아는 견해.
이 오직 길  아래 니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인에 열중하는 것이니, 곧 먼저 모름지기 도를 안 후에야 많이 들어 지혜를 더하는 것을 알 것이니, 말세의 사람이 많이 이 뜻을 모르고, 오직 법문의 수만을 전하고 마음으로 깨달음을 힘쓰지 아니하니, 마음이 이미 통하지 못하기에, 아는 뜻이 오직 많을수록 잘못된 견해가 오직 길기에 아래 이르시는 것이다.
Ⓒ 역자 | 한재영 / 2007년 10월 9일

주석
주001)
아롤 디니:‘알+오+ # +ㅣ+니’의 구조를 보인다. 이런 구조에서는 명사구 보문에 선어말어미 ‘-오-’의 통합이 필수적이라 할 만한데, 경우에 따라서는 ‘-오-’ 대신 ‘-아-’가 통합되기도 한다. ‘風化앳 위두니 아랄 디로다〈두시 15:42ㄴ〉’와 같은 예가 여기에 참조된다.
주002)
몰라:‘모-’의 활용형 ‘몰라’는 ‘몰라서’의 의미 외에 ‘모른 채, 모르고서’의 의미를 가진다. 여기서는 후자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기본형은 ‘모다’이다. ‘모거늘, 모고, 몰라, 몰롤’ 등으로 활용하여 비자동적 교체를 보이는 예이다. ‘-[乾]’, ‘므르-[退]’, ‘-[速]’, ‘부르-[呼]’, ‘흐르-[流]’ 등이 같은 유형의 교체 양상을 보인다.
주003)
명수(名數):명목의 수. 3계·5온·5위 등과 같이 수를 가진 법문의 수량.
주004)
종(宗):① 인도의 논리학인 인명(因明)에서 삼단논법과 비슷한 삼지작법(三支作法)을 세우는데, 그 처음에 내세우는 입론자의 주장 또는 단안. ② 종취(宗趣). 모든 교법의 귀취로서, 그 인생관·세계관을 체계 있게 주장하는 근본 요지. ③ 종파. 각자의 특수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스승 제자가 서로 이어 받아 전해 가는 것.
주005)
하디옷:‘-디옷’은 ‘-수록, -을수록’의 의미를 가지는 어미이다.
주006)
아견(我見):신견(身見)이라고도 한다. 5견의 하나. 보통 ‘나’라고 함은 5온이 화합한 것으로서 참으로 ‘나’라고 할 것이 없는데 ‘내’가 있는 것으로 잘못 아는 견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