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하3의1
  • 10. 보각보살장(普覺菩薩章)
  • 4. 스승에 의지하여 병을 고칠 것
  • 4-2) 스스의 조건 17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스스의 조건 17


【경】 彼圓覺性은 非止合故로

뎌 圓覺性은 그쳐 마좀 아닌 젼로

저 원각성은 그쳐서 맞은 것이 아닌 까닭으로

【종밀주석】 覺本無念커늘 見念니 旣乖며 性本靈明커늘 迷照야 亦失니 念이 無커늘 而有야 旣止息

원각경언해 하3의1:106ㄱ

야 令無고 照ㅣ 有커늘 而隱니 何不觀察야 令顯고
又眞本無念커늘 念니 旣乖眞며 性本無止커늘 止니 亦遠性故로 言非止合故ㅣ라 시니 故로 前에 云샤 於諸妄心에 亦不息滅이라 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3의1:106ㄴ

覺은 本來 念 업거늘 念 보니 마 어긔며 性은 本來 靈히 거늘 照 迷야  일흐니 念이 업거늘 이셔 마 그쳐 업게 고 照ㅣ 잇거늘 수므니 엇뎨 보아 펴 낟게 아니커뇨
 眞이 本來 念 업거늘 念니 마 眞에 어긔며 性이 本來 止 업거늘 止니  性에 어긜  止야 마좀 아닌 젼라 니시니 그럴  알 니샤 한 妄心에  그쳐 滅티 아니타 주001)
아니타:
중세국어에서 ‘다’는 유성음 뒤에서 ‘타’로 교체되어 나올 수 있었다. 이러한 교체는 대개 ‘-’가 대동사나 형식동사, 또는 접미사로 사용되었을 경우에 일어났으나, 간혹 본동사로 사용된 경우에도 그러한 교체 현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깨달음은 본래 생각이 없거늘, 생각을 보니 이미 어기며, 성은 본래 신령스럽게 밝거늘, 비춤을 미혹하여 또 잃으니, 생각이 없거늘, 있어 이미 그쳐 없게 하고, 비춤이 있지만 숨으니, 어찌 보아 살펴 나타나게 아니하였는가?
또 진이 본래 생각이 없거늘, 생각하니 이미 진에 어긋나며, 성이 본래 멈춤이 없거늘 멈추니 또 성에 어긋나기에, 멈추어 맞지 않는 까닭이라고 이르시니, 그러기에 앞에 이르시되 많은 망심에 또 그쳐 멸하지 않는다고 하신다.
Ⓒ 역자 | 한재영 / 2007년 10월 9일

주석
주001)
아니타:중세국어에서 ‘다’는 유성음 뒤에서 ‘타’로 교체되어 나올 수 있었다. 이러한 교체는 대개 ‘-’가 대동사나 형식동사, 또는 접미사로 사용되었을 경우에 일어났으나, 간혹 본동사로 사용된 경우에도 그러한 교체 현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