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하3의1
  • 9. 정제업장보살장(淨諸業障菩薩章)
  • 4. 네 가지 미혹을 밝혀주심
  • 4-4) 미혹을 끊고 성불의 원인을 완성 6
메뉴닫기 메뉴열기

4-4) 미혹을 끊고 성불의 원인을 완성 6


【경】 貪瞋愛慢과

貪과 瞋과 주001)
애(愛):
① 12인연의 하나. 애지(愛支). 〈구사론〉에서는 남녀 16~17세 이후에 애욕이 생기기 시작하나 아직 음욕을 만족함에 이르지 못한 때. 〈성유식론〉에서는 다음 생을 받을 인연이 될 탐번뇌가 한다. 모두 임종시에 일어나는 탐애. ② 남녀의 성용에 근거하여 서로 사랑하는 연애, 처자애, 명리애 등, 좋지 못한 마음에서 일어나는 것이므로 염오애(染汚愛)라 한다. ③ 불보살 등이 중생을 구제하려는 것같이 아무데도 치우치지 아니한 대자비심으로서 순전한 정에서 일어나는 사랑. 이것은 불염오애(不染汚愛).
와 慢과

탐욕과 성냄과 사람함과 교만함과

【종밀주석】 根本煩惱中三也ㅣ니 愛無別性야 貪數所攝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3의1:69ㄱ

根本 煩惱 中에 세히니 愛 各別 性 업서 貪數에 지피니라 주002)
지피니라:
‘자피니라’의 잘못으로 보인다. 원본의 내용은 잘못이 아닐 가능성이 더 높다.
【唯識頌애 닐오 根本 煩惱ㅣ 여스시 잇니 性이 이 根本애 자필  煩惱ㅅ 일후믈 得니 頌애 닐오 煩惱 닐오 貪과 瞋과 癡와 慢과 주003)
의(疑):
① 미(迷)의 인과나 오(悟)의 인과의 도리에 대하여, 유예하고 결정하지 못하는 정신 작용. ② 대상에 대하여 마음이 주저하고, 결정하지 못하는 정신. ③ 신(信)에 대가 되는 말.
惡見 주004)
악견(惡見):
모든 법의 진리에 대하여 가지는 잘못된 견해.
괘라 니 여슷이라 이 隨煩惱ㅅ 根本인 쳔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근본 번뇌 가운데에 셋이니 사랑함은 각별한 성질이 없어 탐수에 잡힌다.【유식송에 이르되 근본 번뇌가 여섯이 있으니 성질이 이 근본에 잡히기에 번뇌의 이름을 득하니, 송에 이르되 번뇌는 이르되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과 교만함과 의심과 잘못된 견해라 하니 여섯이다. 이 수번뇌의 근본인 까닭이다.】
Ⓒ 역자 | 한재영 / 2007년 10월 9일

주석
주001)
애(愛):① 12인연의 하나. 애지(愛支). 〈구사론〉에서는 남녀 16~17세 이후에 애욕이 생기기 시작하나 아직 음욕을 만족함에 이르지 못한 때. 〈성유식론〉에서는 다음 생을 받을 인연이 될 탐번뇌가 한다. 모두 임종시에 일어나는 탐애. ② 남녀의 성용에 근거하여 서로 사랑하는 연애, 처자애, 명리애 등, 좋지 못한 마음에서 일어나는 것이므로 염오애(染汚愛)라 한다. ③ 불보살 등이 중생을 구제하려는 것같이 아무데도 치우치지 아니한 대자비심으로서 순전한 정에서 일어나는 사랑. 이것은 불염오애(不染汚愛).
주002)
지피니라:‘자피니라’의 잘못으로 보인다. 원본의 내용은 잘못이 아닐 가능성이 더 높다.
주003)
의(疑):① 미(迷)의 인과나 오(悟)의 인과의 도리에 대하여, 유예하고 결정하지 못하는 정신 작용. ② 대상에 대하여 마음이 주저하고, 결정하지 못하는 정신. ③ 신(信)에 대가 되는 말.
주004)
악견(惡見):모든 법의 진리에 대하여 가지는 잘못된 견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