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하3의1
  • 9. 정제업장보살장(淨諸業障菩薩章)
  • 5. 게송으로 요약하심
  • 5. 게송으로 요약하심 12
메뉴닫기 메뉴열기

5. 게송으로 요약하심 12


【경】 此人이 求善友면 終不堕邪見려니와 所求에 别生心면 究竟非成就ㅣ리라

이 사미 이든 버들 求면 내 邪見 주001)
사견(邪見):
5견(見)의 하나. 10악(5이사·5둔사)의 하나. 주로 인과의 도리를 무시하는 옳지 못한 견해. 온갖 망견(妄見)은 다 정리(正理)에 어기는 것이므로 사견이라 하거니와, 특히 인과의 도리를 무시하는 것은 그 허물이 중대하므로 사견이라 함.
에 러디디 아니려니와 求호매 各別히  내면 究竟 주002)
구경(究竟):
최상(最上)·필경(畢竟)·구극(究極)의 뜻. 지상(至上)의 오(悟), 곧 부처님의 각오(覺悟)를 구경각이라 하고, 성자(聖者)의 가장 높은 지위를 구경위라 함.
에 成就 아니리라

이 사람이 좋은 벗을 구하면 마침내 사견에 떨어지지 아니할 것이거니와, 구함에 있어 각별하게 마음을 내게 되면 구경에 성취하는 것이 아닐 것이다.

【종밀주석】 四也ㅣ라 悟刹와 我身관 皆長無偈有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3의1:75ㄱ

四ㅣ라 悟刹와 我身관 다 長애 업고 주003)
게(偈):
가타(伽陀). 9부교(部敎)의 하나. 12부경(部經)의 하나. 가타(伽他)·게타(偈陀) 혹은 게(偈)라고만 쓰기도 함. 풍송(諷誦·諷頌)·게송(偈頌)·조송(造頌)·고기송(孤起頌)·송(頌)이라 번역. 노래라는 뜻을 가진 어근(語根) gai에서 생긴 명사. 가요(歌謠)·성가(聖歌) 등의 뜻으로 쓰임. 지금은 산문체(散文體)로 된 경전의 1절 또는 총결(總結)한 끝에 아름다운 귀글로써 묘한 뜻을 읊어 놓은 운문(韻文). 또 이것을 고기송·부중송게(不重頌偈)라고 함은 본문의 내용을 거듭 말한 중송(重頌)에 대하여, 본문과 관계없이 노래한 운문이란 뜻.
예 잇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사이다. 깨달음의 나라와 나의 몸은 다 장에 없고 게에 있느니라.
Ⓒ 역자 | 한재영 / 2007년 10월 9일

주석
주001)
사견(邪見):5견(見)의 하나. 10악(5이사·5둔사)의 하나. 주로 인과의 도리를 무시하는 옳지 못한 견해. 온갖 망견(妄見)은 다 정리(正理)에 어기는 것이므로 사견이라 하거니와, 특히 인과의 도리를 무시하는 것은 그 허물이 중대하므로 사견이라 함.
주002)
구경(究竟):최상(最上)·필경(畢竟)·구극(究極)의 뜻. 지상(至上)의 오(悟), 곧 부처님의 각오(覺悟)를 구경각이라 하고, 성자(聖者)의 가장 높은 지위를 구경위라 함.
주003)
게(偈):가타(伽陀). 9부교(部敎)의 하나. 12부경(部經)의 하나. 가타(伽他)·게타(偈陀) 혹은 게(偈)라고만 쓰기도 함. 풍송(諷誦·諷頌)·게송(偈頌)·조송(造頌)·고기송(孤起頌)·송(頌)이라 번역. 노래라는 뜻을 가진 어근(語根) gai에서 생긴 명사. 가요(歌謠)·성가(聖歌) 등의 뜻으로 쓰임. 지금은 산문체(散文體)로 된 경전의 1절 또는 총결(總結)한 끝에 아름다운 귀글로써 묘한 뜻을 읊어 놓은 운문(韻文). 또 이것을 고기송·부중송게(不重頌偈)라고 함은 본문의 내용을 거듭 말한 중송(重頌)에 대하여, 본문과 관계없이 노래한 운문이란 뜻.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