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하3의1
  • 9. 정제업장보살장(淨諸業障菩薩章)
  • 4. 네 가지 미혹을 밝혀주심
  • 4-1) 미혹이 생긴 까닭 4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미혹이 생긴 까닭 4


【경】 認四顛倒야 爲實我體

顚倒 주001)
전도(顚倒):
항상하고 순리대로 흐르는 이치를 어기고 뒤바뀐 것으로, 번뇌의 다른 이름이다. 2전도·3전도·7전도 등이 있다.
 아라 眞實

원각경언해 하3의1:9ㄴ

我體 사 

네 가지 전도를 알아 진실한 아체를 삼으므로

【종밀주석】 真我 本有ㅣ어늘 迷之謂無고 妄我 本空이어늘 執之爲有니 四皆橫計故로 云爾也ㅣ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眞實ㅅ 我 本來 잇거늘 주002)
잇거늘:
중세어의 연결어미 ‘-거늘’은 매우 다양한 기능을 보인다. 그 중의 하나가 ‘역접’ 내지 ‘대조’의 기능이라고 할 것인바, 여기서의 ‘-거늘’이 그러한 용법을 보인다.
迷야 업스니라 너기고 妄 我 本來 空커늘 자바 이슈믈 삼니 네히 다 빗근 혜밀  그리 니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진실의 아(我)는 본래 있거늘 미혹하여 없다 여기고 허망한 아는 본래 공허하거늘 잡아 있음을 삼으니 넷이 다 비낀 헤아림이기에 그리 말하시니라.
Ⓒ 역자 | 한재영 / 2007년 10월 9일

주석
주001)
전도(顚倒):항상하고 순리대로 흐르는 이치를 어기고 뒤바뀐 것으로, 번뇌의 다른 이름이다. 2전도·3전도·7전도 등이 있다.
주002)
잇거늘:중세어의 연결어미 ‘-거늘’은 매우 다양한 기능을 보인다. 그 중의 하나가 ‘역접’ 내지 ‘대조’의 기능이라고 할 것인바, 여기서의 ‘-거늘’이 그러한 용법을 보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