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하3의1
  • 9. 정제업장보살장(淨諸業障菩薩章)
  • 4. 네 가지 미혹을 밝혀주심
  • 4-2) 네 가지 미혹 20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네 가지 미혹 20


【경】

원각경언해 하3의1:29ㄱ

備殫證理라도

證理 주001)
증리(證理):
진리를 증득함. 증득(證得)은 ‘바른 지혜로써 진리를 깨달아 얻음’을 뜻한다.
 초 다 야도

증리를 갖추어 모두 다 하여도

【종밀주석】 無非不盡故로 曰備니 殫은 盡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외요 다디 아니홈 업슬  니샤 초미니 殫 다 시라 주002)
다 시라:
한자에 대한 뜻풀이 방식을 보이는 것으로, ‘V는 ~ 시{라, 니 …}’ 형식은 V에 해당하는 한자가 용언성을 가질 때 사용되는 뜻풀이 형식이다. 현대어로 번역할 때에는 “~하는 것이{다, 니 …}”나 “~한다는 {말, 뜻}이{다, 니 …}”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각자병서가 쓰인 원각경언해 이전의 문헌에서는 ‘- 씨{라, 니 …}’로 표기되었다.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그릇됨을 다하지 아니함이 없기에 이르시되 갖추는 것이니 탄은 다한다는 것이다.
Ⓒ 역자 | 한재영 / 2007년 10월 9일

주석
주001)
증리(證理):진리를 증득함. 증득(證得)은 ‘바른 지혜로써 진리를 깨달아 얻음’을 뜻한다.
주002)
다 시라:한자에 대한 뜻풀이 방식을 보이는 것으로, ‘V는 ~ 시{라, 니 …}’ 형식은 V에 해당하는 한자가 용언성을 가질 때 사용되는 뜻풀이 형식이다. 현대어로 번역할 때에는 “~하는 것이{다, 니 …}”나 “~한다는 {말, 뜻}이{다, 니 …}”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각자병서가 쓰인 원각경언해 이전의 문헌에서는 ‘- 씨{라, 니 …}’로 표기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