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하3의1
  • 10. 보각보살장(普覺菩薩章)
  • 4. 스승에 의지하여 병을 고칠 것
  • 4-1) 안목이 있는 스승을 모실 것 6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안목이 있는 스승을 모실 것 6


【경】 不著聲聞緣覺境界며

聲聞 주001)
성문(聲聞):
3승의 하나. 가장 원시적 해석으로는 석존의 음성을 들은 불제자를 말함. 대승의 발달에 따라서 연각과 보살에 대할 때는 석존의 직접 제자에 국한한 것이 아니고, 부처님의 교법에 의하여 3생(生) 60겁(劫) 동안 4제(諦)의 이치를 관하고, 스스로 아라한 되기를 이상으로 하는 1종의 저열한 불도 수행자를 말함. 그러므로 대승교에서는 성문을 소승의 다른 이름처럼 보고, 성문으로 마치는 이와 대승으로 전향(轉向)하는 이를 구별하여 우법(愚法)·불우법(不愚法)의 2종으로 나눔. 또 3종성문·4종성문의 말도 있음.
緣覺 주002)
연각(緣覺):
2승(乘)의 하나. 발랄예가불타(鉢剌翳迦佛陀)·필륵지저가불(畢勒支底迦佛)이라 음역. 벽지가불(辟支迦佛). 줄여서 벽지불(辟支佛)이라 번역. 부처님의 교화에 의하지 않고 홀로 깨달아 자유경(自由境)에 도달한 성자. 독각(獨覺)이라고도 함. 연각(緣覺)·인연각(因緣覺)이라 하는 것은 12인연의 이치를 관찰하여 홀로 깨달았다는 뜻. 이에 부행(部行)·인각유(麟角喩)의 2종이 있음.
境界예 着디 아니며

성문과 연각의 경계에 집착하지 아니하며

【종밀주석】 離二乘의 滞寂境界니 稱讚大衆經에 云

원각경언해 하3의1:82ㄴ

샤 寧在地獄야 經百千劫이언 終不發二乘之心이라 시니라 亦可正知見者 簡外道ㅣ오 不住相은 简凡夫ㅣ오 不著等은 簡二乘이니 上은 皆順行이오 下 逆行云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二乘의 寂에 걸인 境界 여희요미니 稱讚大乘經에 니샤 하리 地獄애 이셔 百千劫을 디낼 니언 내 二乘의  發티 아니호리라 시니라  어로 주003)
어로:
가(可)는 ‘어루’나 ‘어로’의 두 가지 표기 양상을 보이는 부사로 언해되는데 ‘어로’보다는 ‘어루’가 더 많이 보이지만, 여기에서는 ‘어로’가 쓰였다.
正知見은 外道 주004)
외도(外道):
① 외교, 외학, 외법이라고도 한다. 인도에서의 불교 이외의 모든 교학. 종류가 많아 96종이 있고, 부처님 당시에 6종의 외도가 있었다. ② 불교 이외의 종교, 곧 외도의 법을 받드는 이도 외도라고 한다.
샤미오 住相 아니호 凡夫 샤미오 着디 아니홈 二乘 샤미니 우흔 다 順 行이오 아랜 逆 行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승의 적에 걸린 경계를 잃는 것이니, 칭찬대승경에 이르시되, 차라리 지옥에 있어 백천 겁을 지낼 뿐이더라도, 마침내 이승의 마음을 발하지 아니 하겠다고 하신다. 또 가히 정지견은 외도를 가려내시는 것이고, 주상을 아니 하는 것은 범부를 가려내시는 것이고, 집착하지 아니하는 것들은 이승을 가려내시는 것이니, 위는 다 이치에 따르는 행이고, 아래는 거스르는 행이다.
Ⓒ 역자 | 한재영 / 2007년 10월 9일

주석
주001)
성문(聲聞):3승의 하나. 가장 원시적 해석으로는 석존의 음성을 들은 불제자를 말함. 대승의 발달에 따라서 연각과 보살에 대할 때는 석존의 직접 제자에 국한한 것이 아니고, 부처님의 교법에 의하여 3생(生) 60겁(劫) 동안 4제(諦)의 이치를 관하고, 스스로 아라한 되기를 이상으로 하는 1종의 저열한 불도 수행자를 말함. 그러므로 대승교에서는 성문을 소승의 다른 이름처럼 보고, 성문으로 마치는 이와 대승으로 전향(轉向)하는 이를 구별하여 우법(愚法)·불우법(不愚法)의 2종으로 나눔. 또 3종성문·4종성문의 말도 있음.
주002)
연각(緣覺):2승(乘)의 하나. 발랄예가불타(鉢剌翳迦佛陀)·필륵지저가불(畢勒支底迦佛)이라 음역. 벽지가불(辟支迦佛). 줄여서 벽지불(辟支佛)이라 번역. 부처님의 교화에 의하지 않고 홀로 깨달아 자유경(自由境)에 도달한 성자. 독각(獨覺)이라고도 함. 연각(緣覺)·인연각(因緣覺)이라 하는 것은 12인연의 이치를 관찰하여 홀로 깨달았다는 뜻. 이에 부행(部行)·인각유(麟角喩)의 2종이 있음.
주003)
어로:가(可)는 ‘어루’나 ‘어로’의 두 가지 표기 양상을 보이는 부사로 언해되는데 ‘어로’보다는 ‘어루’가 더 많이 보이지만, 여기에서는 ‘어로’가 쓰였다.
주004)
외도(外道):① 외교, 외학, 외법이라고도 한다. 인도에서의 불교 이외의 모든 교학. 종류가 많아 96종이 있고, 부처님 당시에 6종의 외도가 있었다. ② 불교 이외의 종교, 곧 외도의 법을 받드는 이도 외도라고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