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하3의1
  • 10. 보각보살장(普覺菩薩章)
  • 2. 대답해 주실 것을 허락하심 3. 조용히 말씀을 기다림
  • 2. 대답해 주실 것을 허락하심 3. 조용히 말씀을 기다림 1
메뉴닫기 메뉴열기

2. 대답해 주실 것을 허락하심 3. 조용히 말씀을 기다림 1


【경】 作是語已시고 五體投地샤 如是三請샤 終而復始야시 爾時世尊이 告普覺菩薩言샤 善哉善哉라 善男子아 汝等이 乃能諮問

원각경언해 하3의1:78ㄱ

如來如是脩行야 能施末世一切衆生애 無畏道眼야 令彼衆生으로 得成聖道니 汝今諦聽라 當爲汝說호리라 時普覺菩薩이 奉教歡喜와 及諸大衆과 默然而聽시더니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이 말 시고 五體 주001)
오체(五體):
① 전신(全身). ② 머리, 왼손, 오른손, 왼쪽 무릎, 오른쪽 무릎을 말한다. 오체투지(五體投地)는 이 오체를 땅에 붙이는 인도에서의 최경례법이다.
 해 더디샤 이티 세 번 請샤 고 다시 비르서시 그  世尊이 普覺 菩薩려 니샤 됴타 됴타 善男子아 너희히 能히 如來 주002)
여래(如來):
‘게’는 원래 의존명사이다. 여기서처럼 속격조사 ‘-’나 ‘-ㅅ’ 뒤에 오기도 하고, 관형사형 뒤에 오기도 한다. 현대국어의 ‘-에게’나 ‘-께’의 직접적인 소급형인 ‘-게’나 ‘-’는 이미 중세어 단계에서 거의 조사화해 가는 면모를 보이나 아직 완전히 조사로 굳어진 것은 아니었다.
이 修行 무러 能히 末世ㅅ 一切 衆生게 저훔 업슨 道眼 施야 뎌 衆生로 聖道 일우믈 得게 니 네 이제 仔細히 드르라 반기 너 爲야 닐오리라 時예 주003)
시(時)예:
여기서는 ‘그 때에, 그러자’ 정도로 해석하는 것이 좋다.
普覺 菩薩이

원각경언해 하3의1:78ㄴ

敎 받와 歡喜와 諸大衆과 야셔 듣오시더니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 말 하시고, 오체를 땅에 던지시어, 이같이 세 번 청하시어 마치고 다시 시작하시거늘, 그 때에 세존이 보각보살에게 이르시되, 좋다, 좋다. 선남자야. 너희들이 능히 여래께 이 같은 수행을 물어 능히 말세의 일체 중생에게 두려움 없는 도안을 베풀어 저 중생으로 〈하여금〉 성도를 이룸을 얻게 하니, 네 이제 자세히 들어라. 반드시 너를 위하여 이르리라. 그러자 보각보살이 교 받아 환희하시어 여러 대중과 잠잠히 들으시더니
Ⓒ 역자 | 한재영 / 2007년 10월 9일

주석
주001)
오체(五體):① 전신(全身). ② 머리, 왼손, 오른손, 왼쪽 무릎, 오른쪽 무릎을 말한다. 오체투지(五體投地)는 이 오체를 땅에 붙이는 인도에서의 최경례법이다.
주002)
여래(如來):‘게’는 원래 의존명사이다. 여기서처럼 속격조사 ‘-’나 ‘-ㅅ’ 뒤에 오기도 하고, 관형사형 뒤에 오기도 한다. 현대국어의 ‘-에게’나 ‘-께’의 직접적인 소급형인 ‘-게’나 ‘-’는 이미 중세어 단계에서 거의 조사화해 가는 면모를 보이나 아직 완전히 조사로 굳어진 것은 아니었다.
주003)
시(時)예:여기서는 ‘그 때에, 그러자’ 정도로 해석하는 것이 좋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