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9집 하3의1
  • 9. 정제업장보살장(淨諸業障菩薩章)
  • 4. 네 가지 미혹을 밝혀주심
  • 4-1) 미혹이 생긴 까닭 5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미혹이 생긴 까닭 5


【종밀주석】 二 明過患滋多ㅣ니 文이 四

원각경언해 하3의1:10ㄱ

ㅣ니
一은 展轉生妄이오 二 違拒覺心이오 三은 動息俱迷오 四 結成障道ㅣ라
今初展轉者ㅣ 初四句 由迷起惑이오 次二句 由惑造業이오 次二句 由業招報ㅣ오 後二句 及於五道나 墮於二乘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둘흔 過患이 더욱 히 주001)
히:
‘하’의 잘못인 것으로 보인다.
기샤미니 文이 네히니 나 올며 올마 妄 나미오 둘흔 覺心에 어긔여 거스로미오 세흔 뮈윰과 주002)
뮈윰과:
‘뮈윰’은 ‘뮈-[動]’에서 나온 활용형이다.
그츔괘 다 迷호미오 네흔 道 마고 結야 일우샤미라 이제 처 주003)
처:
중세어의 ‘처’은 현대어에서와 같이 “처음”이란 의미 외에 “맨 처음에”라는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여기서는 후자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올며 올모미 첫 네 句 迷 브터 惑 니르와도미오 버근 주004)
버근:
‘벅-’[次]의 활용형이다. 대개 ‘버거’라는 부사형으로 많이 나타나나 드물지만 여기에 보이는 것과 같이 ‘버근’, ‘벅고’와 같은 활용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버거’를 부사화한 것으로 파악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두 句 惑을 브터 業 지미오 버

원각경언해 하3의1:10ㄴ

근 두 句 業을 브터 報 블로미오 後ㅅ 두 句 五道 주005)
오도(五道):
5취(趣)라고도 한다. 도(道)는 중생이 업인(業因)에 따라 왕래하는 곳. 지옥·아귀·축생·인도·천도.
드위혀나 주006)
드위혀나:
능엄경언해나 법화경언해 등에서는 ‘드위다’로 나타나던 예이다.
二乘 주007)
이승(二乘):
2종의 교법. ① 성문승(聲聞乘)·연각승(緣覺乘). ② 성문승·보살승. ③ 별교일승(別敎一乘)·3승(三乘). ④ 소승·대승.
에 듀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둘은 잘못이 더욱 많음을 밝히심이니 문이 넷이니 하나는 옮으며 옮아 망령됨이 나는 것이고, 둘은 각심에 어기어 거스름이고, 셋은 움직임과 그침이 다 미혹함이고, 넷은 도를 막음을 맺어 이루심이다. 이제 처음 옮으며 옮음이 첫 네 구는 미혹함으로부터 일으킴이고, 다음 두 구는 미혹함으로부터 업을 지음이고, 다음 두 구는 업으로부터 보를 부름이고, 후의 두 구는 오도에 거스르나 이승에 떨어짐이다.
Ⓒ 역자 | 한재영 / 2007년 10월 9일

주석
주001)
히:‘하’의 잘못인 것으로 보인다.
주002)
뮈윰과:‘뮈윰’은 ‘뮈-[動]’에서 나온 활용형이다.
주003)
처:중세어의 ‘처’은 현대어에서와 같이 “처음”이란 의미 외에 “맨 처음에”라는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여기서는 후자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주004)
버근:‘벅-’[次]의 활용형이다. 대개 ‘버거’라는 부사형으로 많이 나타나나 드물지만 여기에 보이는 것과 같이 ‘버근’, ‘벅고’와 같은 활용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버거’를 부사화한 것으로 파악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주005)
오도(五道):5취(趣)라고도 한다. 도(道)는 중생이 업인(業因)에 따라 왕래하는 곳. 지옥·아귀·축생·인도·천도.
주006)
드위혀나:능엄경언해나 법화경언해 등에서는 ‘드위다’로 나타나던 예이다.
주007)
이승(二乘):2종의 교법. ① 성문승(聲聞乘)·연각승(緣覺乘). ② 성문승·보살승. ③ 별교일승(別敎一乘)·3승(三乘). ④ 소승·대승.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