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능엄경언해 제8

  • 역주 능엄경언해
  • 역주 능엄경언해 제8
  • 셋째, 선나(禪那)를 말하여 수행의 단계를 보이다 ②
  • [운허]2. 수행하는 계위(階位)와 경명(經名)
  • 2-2. 보살수행의 단계○6) 사가행○2-1. 난지(煖地)
메뉴닫기 메뉴열기

2-2. 보살수행의 단계○6) 사가행○2-1. 난지(煖地)


二. 詳開行位 四○一. 煖位
〔경문〕 卽以佛覺로 用爲已心야 若出未出이 猶如鑽火야 欲然其木호미 名爲煖地라

〔경문〕 곧 佛覺로 주001)
-로:
-으로써.
 주002)
:
마음.
사마  호 주003)
 호:
날 듯하되.
나미 주004)
나미:
나는 것이.
브를 주005)
브를:
불을. 블[火].
비븨여 주006)
비븨여:
비비어.
그 나모 브튜려 주007)
브튜려:
붙이려.
호미 일후미 煖地라

〔경문〕 곧 부처님의 ‘각’으로 나의 마음을 삼아서, 날 듯하되 나지 못한 것이 〈마치〉 불을 비비어 그 나무를 불붙이려 하듯함이 이름이 난지 주008)
난지:
4가행위의 첫째 지위.
이다.

〔주해〕 佛覺 果覺也ㅣ라 前에 雖能齊나 未能正證야니와 今極賢位야 將趨聖果릴 卽須用佛果覺야 爲已因心야 復加功行야 以求正證이니라 火 喩果覺시고 木 喩因心시고 鑽 喩加行시니 初入因位야 未卽得果故로 譬鑽火야 方得煖相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1년(세조 7)

〔주해〕

능엄경언해 권8:41ㄴ

佛覺 果覺이라 알 비록 能히 나 주009)
나:
가지런하나.
能히 正히 證티 몯야니와 주010)
몯야니와:
못하거니와. 몯-+아/어니와.
이제 賢位 차 주011)
차:
마치고.
 聖果애 가릴 주012)
가릴:
갈 것이므로.
곧 모로매 부텻 果覺  내 因心을 사마 功行  더야 正히 證호 求디니라 주013)
-디니라:
-할, 지니라.
브른 주014)
브른:
불은.
果覺 가비시고 남 주015)
남:
나무는.
因心 가비시고 주016)
가비시고:
견주시고.
비븨요 加行 가비시니 처 因位예 드러 즉재 주017)
즉재:
즉시.
果 得디 몯 젼로 브를 비븨여 주018)
:
갓. 방금.
더운 相 得호 가비시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2년(세조 8)

〔주해〕 부처님의 ‘각’은 과각이다. 앞에 비록 능히 가지런하나, 능히 정히 증득치 못하거니와 이제 현위를 마치고 장차 성과 주019)
성과:
성자(聖子)가 되는 수행을 쌓아서 얻은 진정한 과(果). 열반.
에 갈 것이므로 곧, 모름지기 부처님의 과각을 써서 나의 인심을 삼아, 공행을 또 더하여 정말로 증〈득〉함을 구할지니라. 불은 과각을 견주시고 나무는 인심을 견주시고 비비는 것은 가행을 견주시니, 처음 인위 주020)
인위:
부처가 되려고 수행하는 기간.
에 들어 즉시 ‘과’를 얻지 못한 까닭으로 불을(=나무를) 비비어(=불을 일으켜) 갓 더운 ‘상’ 얻음을 견주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7년 10월 23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로:-으로써.
주002)
:마음.
주003)
 호:날 듯하되.
주004)
나미:나는 것이.
주005)
브를:불을. 블[火].
주006)
비븨여:비비어.
주007)
브튜려:붙이려.
주008)
난지:4가행위의 첫째 지위.
주009)
나:가지런하나.
주010)
몯야니와:못하거니와. 몯-+아/어니와.
주011)
차:마치고.
주012)
가릴:갈 것이므로.
주013)
-디니라:-할, 지니라.
주014)
브른:불은.
주015)
남:나무는.
주016)
가비시고:견주시고.
주017)
즉재:즉시.
주018)
:갓. 방금.
주019)
성과:성자(聖子)가 되는 수행을 쌓아서 얻은 진정한 과(果). 열반.
주020)
인위:부처가 되려고 수행하는 기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