洗肝散
當歸尾 川芎 羌活 薄荷 梔子 防風 大黃 甘草【各等分】
右剉每二錢水煎服若加蟬退[殼]石決明穀精草蛤粉黑豆皮白蒺藜猪肝同煮服尤妙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셰간산은 당귀 리과 쳔궁 강활 박하 치 방픙 대황 감쵸 각 티 야 이 싸라 각 두 돈식 믈에 달혀 머기라 션각 셕결명 곡졍초 합분과 거믄 콩겁질과 질려과
도주001) 간과 달혀 머기
언해두창집요 하58ㄴ
면 더
됴니라주002) 됴니라:좋으니라. 기본형은 ‘둏다’인데 서술형 어미 ‘-니라’가 통합되어 쓰였다.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08월 일
세간산은 당귀 꼬리와 천궁, 강활과 박하, 치자와 방풍, 대황과 감초 각 같은 양으로 하여 이를 썰어 각 두 돈씩 물에 달여 먹이라. 또 선각과 석결명, 곡정초와 합분, 검은 콩 껍질과 백질려, 돼지 간과 한 데 달여 먹이면 더 좋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