錢仲陽曰 腹脹由脾胃 虛氣攻作也 又脾虛 則腹脹 陰水多 則亦作腹脹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젼듕양이 오
턍호주001) 턍호:배가 창만함은(배가 불러 옴은). 구개음화와 단모음화를 따라서 ‘턍만〉챵만〉창만’으로 소리가 변하여 쓰인다. ‘배가 창만하다’의 뜻이 한 단어로 굳어지면서 ‘턍다’로 되었다, 말하자면 통사적인 구성체가 형태적인 구성체로 바뀐 것이다. 형태분석은 ‘턍-(어간)+-오-(의향법선어말어미)+-ㅁ(명사형어미)+-(주제격조사)’와 같다.
비위 허야 긔운이
드리혀주002) 된 디라주003) 된 디라:된 것이라. ‘디’는 의존명사 ‘+-이(주격조사)’가 유착된 형태로 굳어져 쓰이다가 구개음화에 따라서 ‘디〉지’로 굳어져 어미 혹은 의존명사로 쓰인다.
비위 허면 턍고
믈을주004) 믈을:물을. 원순모음화를 따라서 ‘믈〉물’로 소리가 바뀐 것이다.
만히 머거도 턍만 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08월 일
전중양이 일렀으되, 배의 병이 남은 비위가 허약하여 기운이 들어 된 것이다. 또 비위가 허약하면 배병이 나고 물을 많이 먹어도 또한 배병이 난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