陳文中曰 痘瘡煩渴飮水渴轉甚者 皆非熱也 乃脾胃許津液少也 宜木香散【一云 脹渴瀉渴驚悸渴寒戰渴咬牙渴 亦多屬熱 不可不察 若誤用則禍如反掌】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언해두창집요 하4ㄱ
딘문즁이 오 역의 번갈여 믈을 머구 갈이 더욱 심니 열이 아니라 이 비위 허여 진이 져근디니
목향산주001) 목향산(木香散):목향, 양강, 승마, 빈랑, 인삼, 백출 각 2전 반, 신곡, 2전 육두구, 오수유, 건강, 진 피, 사인 각 5분을 가루내어 매 5전을 달여서 빈속에 복용한다. 소화되지 않은 것 설사와 이질[水穀痢]과 대변보기 전 하혈 설사를 다스린다.
이 맛당니라 나 닐우 턍고 갈며 즈츼고 갈며 놀라고 갈며
너털고주002) 너털고:덜덜 떨고. 기본형은 ‘너털다’이고 형태분석은 ‘너털-(어간)+-고(부사형어미)’와 같다. ¶치워 너털어[寒振]〈구급간이방 1:79〉.
갈며 니고 갈니 열로 그러리 만니 그르 면
홰주003) 홰:재난과 앙화가. 형태분석을 하면, ‘재화(주어)+-이(주격조사)’와 같다.
즉제 나니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08월 일
진문중이 일렀으되, 마마에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여 물을 먹되 목마름이 더욱 심한 이는 열이 아니고 비위가 약하여 진액이 적은 것이다. 목향산이 마땅하다. 달리 이르되 부르고 목마르며 설사하고 목마르며 놀라고 목마르며 덜덜 떨며 목마르고 이 갈고 목마르는 이 또한 열로 그런 이 많다. 만일 잘못 쓰면 재앙이 즉시 난다.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