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두창집요 권하

  • 역주 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 권하(諺解痘瘡集要 卷下)
  • 짓무름[斑爛]
  • 짓무름 007-만병회춘
메뉴닫기 메뉴열기

짓무름 007-만병회춘


萬病回春曰 擦破周身 不能回水 或痘靨濕爛淋漓粘淖 並宜甄陶散糝之最妙 或乾痂堆積內有窨膿 亦宜甄陶散【取鴨卵淸調傅之】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만병회츈의 오 온몸을 처주001)
처:
스쳐. 기본형은 ‘다’이고 형태분석은 ‘-(어간)+-어(부사형어미)’와 같다. 두음법칙에 띠라서 ‘-〉쑻-〉슻-’으로 소리가 변하였다.
헐워 믈이 도디 몯며 혹 더데 즛믈러 믈 흐르고 오새 븓거든 견도산을 허 미 장 됴코 혹  더데 사혀 소개 고롬 드럿거든  견도산을 올희 알 흰예주002)
흰예:
흰자위에. 여기 부사격 조사 ‘-예’는 ‘’의 끝 음절이 모음이기에 모음동화를 따라서 소리가 바뀐 것이다.
라 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08월 일

만병회춘에 일렀으되, 온몸을 스쳐 헐어 물이 돋지 못하며 혹 딱지 짓물러 물 흐르고 옷에 붙거든 견도산을 섞어 바름이 가장 좋고 혹 마른 딱지 쌓여 속에 고름 들었거든 또 견도산을 오리 알 흰자위에 말아 바르라.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처:스쳐. 기본형은 ‘다’이고 형태분석은 ‘-(어간)+-어(부사형어미)’와 같다. 두음법칙에 띠라서 ‘-〉쑻-〉슻-’으로 소리가 변하였다.
주002)
흰예:흰자위에. 여기 부사격 조사 ‘-예’는 ‘’의 끝 음절이 모음이기에 모음동화를 따라서 소리가 바뀐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