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언해두창집요 권하

  • 역주 언해두창집요
  • 언해두창집요 권하(諺解痘瘡集要 卷下)
  • 가래가 끓어 숨이 참[痰喘]
  • 포룡환(抱龍丸)
메뉴닫기 메뉴열기

포룡환(抱龍丸)


抱龍丸
牛膽南星【四兩無則炒者代之】 天竺黃 【一兩】 雄黃 【水飛】 朱砂 【水飛各五錢】 麝香 【一錢】
右爲末煮甘草爲膏臘雪水주001)
납설수(臘雪水):
동지 뒤의 셋째 양의 날(未日)에 내린 눈을 받아 녹인 물을 이른다. 이때 따는 차를 ‘납다(臘茶)’라고 이른다.
煮膏尤佳和作丸如大豆 許甘草薄荷湯化下 百日內 兒一丸分三次服 三歲服一丸 五歲服二丸【錢仲陽方】
Ⓒ 저자 | 임원준 / 1446년(세종 28) 월 일

포룡환은 우담의 녀헛던 텬남셩 넝냥 업거든 봇

언해두창집요 하3ㄴ

니로 용라 텬튝황  냥 셕 웅황 슈비니주002)
슈비니:
수비(水飛)하니. 단모음화에 따라서 ‘슈비〉수비’가 되었다.
쥬사 슈비주003)
수비(水飛):
곡식의 가루나 그릇을 만드는 흙을 물에 넣고 휘저어 잡물을 없이 하는 일을 이른다.
니 각 다 돈 샤향  돈 이를  라 감초 달힌 건 믈에 납셜슈주004)
납셜슈:
납설수(臘雪水).
로 달히미 더 됴니라 약 를 라 환을 큰 콩낫 마곰주005)
마곰:
만큼. 비교의 뜻을 드러내는 조사. 예) 어버이의 은혜가 하늘만큼 높았다.
여 감초 박하 달힌 물레 플어 머기라 일 안해주006)
아내:
안에. ‘안’은 히읗 종성체언이므로 ‘ㅎ’이 조사와 함께 쓰인다.
아란  환을 세헤주007)
세헤:
세 번. ‘세’가 히읗 종성체언이므로 조사와 함께 쓰인 보기다. 형태분석은 ‘세ㅎ+-에(부사격조사)’와 같다.
고 세 설주008)
세 설:
세 살. 모음변이를 따라서 ‘설〉살’로 소리가 변동하였다.
이어든  환 머기고 다설이어든 두 환 머기라
Ⓒ 언해 | 허준 / 1608년(선조 41) 08월 일

포룡환은 우담에 넣었던 천남성 넉 냥을, 없거든 볶은 것으로 대신 써라. 천축황 한 냥과 웅황 수비한 것과 주사 수비 한 것 각 다섯 돈 사향 한 돈 이를 가루 만들어 감초 달인 물에, 특히 섣달 눈 녹인 물에 달임이 더욱 좋다. 약 가루를 말아 환을 큰 콩알만큼 하여 감초와 박하를 달인 물에 풀어 먹이라. 백일 안 된 아이는 한 알을 세 번 나누어 쓰고 세 살이거든 한 알을 먹이고 다섯 살이거든 두 알을 먹이라.
Ⓒ 역자 | 정호완 / 2009년 9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납설수(臘雪水):동지 뒤의 셋째 양의 날(未日)에 내린 눈을 받아 녹인 물을 이른다. 이때 따는 차를 ‘납다(臘茶)’라고 이른다.
주002)
슈비니:수비(水飛)하니. 단모음화에 따라서 ‘슈비〉수비’가 되었다.
주003)
수비(水飛):곡식의 가루나 그릇을 만드는 흙을 물에 넣고 휘저어 잡물을 없이 하는 일을 이른다.
주004)
납셜슈:납설수(臘雪水).
주005)
마곰:만큼. 비교의 뜻을 드러내는 조사. 예) 어버이의 은혜가 하늘만큼 높았다.
주006)
아내:안에. ‘안’은 히읗 종성체언이므로 ‘ㅎ’이 조사와 함께 쓰인다.
주007)
세헤:세 번. ‘세’가 히읗 종성체언이므로 조사와 함께 쓰인 보기다. 형태분석은 ‘세ㅎ+-에(부사격조사)’와 같다.
주008)
세 설:세 살. 모음변이를 따라서 ‘설〉살’로 소리가 변동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