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1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제1
  • 서품 제1
  • 1. 설법한 때와 장소
메뉴닫기 메뉴열기

1. 설법한 때와 장소


文四○一. 說法時處
如是 我聞오니 一時예 佛이 住王舍城耆闍崛山中샤

〔본문〕

법화경언해 권1:19ㄴ

닐 주001)
닐:
같은 것을.
듣오니 주002)
듣오니:
듣자오니. 들으니.
주003)
:
때. 때에. 「」[時].
부톄 王舍城 주004)
왕사성:
인도 마갈타국의 서울.
耆闍堀山 주005)
기사굴산:
왕사성 동북에 있는 산으로 부처님이 설법하시던 곳.
中에 住샤

〔본문〕 이와 같은 것을 내가 듣자오니, 한 때 부처님께서 왕사성 기사굴 산중에 머무르시어,

如是之法을 我從佛聞이라호 此 阿難이 結集時예 陞座야 最初之唱이니 以證法이 有所授而已라 不必玄說이니라 一時之語

법화경언해 권1:20ㄱ

도 乃佛ㅅ 遺言이시니 諸經에 通用故로 不定指也시니라 王舍城은 卽靈山所附之城이니 摩竭陀國之屬境也ㅣ니 卽西域人間이라 耆闍崛山은 此云鷲頭山이니 從形得名니 卽古佛住處ㅣ시니 以古佛所住로 故稱靈鷲니라 夫說法所依ㅣ 各隨宗趣ㅣ시니 華嚴에 展轉十處 爲圓彰法界시고 圓覺애 依大光明藏은 爲直示本起시고 此애 依人間之城者 同染淨샤 以明蓮華之義시

법화경언해 권1:20ㄴ

니라 據古佛之處者 示祖述샤 以繼燈明之道耳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이  法을 내 부텨조와 주006)
조와:
좇아. 따라.
듣오라 호 주007)
호:
함은.
이 阿難 주008)
아난:
아난타. 부처님 10대 제자의 한 사람.
이 結集 쩨 주009)
 쩨:
할 적에.
【結集은 뫼홀씨니 주010)
뫼홀씨니:
모으는 것이니.
부텻 말 뫼화 經  씨라】
座애 올아 주011)
올아:
올라.
 처 주012)
 처:
맨 처음.
唱이니 【唱은 몬져 니 씨라 주013)
니 씨라:
이르는 것이다.
法이 심기샨  주014)
심기샨 :
전하신 곳에.
겨샤 주015)
겨샤:
계심을.
證 미라 구틔여 기픈 말 홀 띠 주016)
홀 띠:
할 것이.
아니라 一時 주017)
-랏:
-라는.
말도 부텻 기티샨 주018)
기티샨:
남기신.
마리시니 여러 經에 通히 논 주019)
논:
쓰는 「-」[用].
젼로 一定야 치디 아니시니라 王舍城은 곧 靈山브툰 주020)
브툰:
붙은.
城이니 摩竭陀國 주021)
마갈타국:
중인도에 있던 옛 왕국.
의 屬 히니 주022)
히니:
땅이니. 곳이니.
곧 西域 人間이라 耆闍堀山 예셔 닐오매 수릐 주023)
수릐:
수리의. 「수리+의」.
머리 山이니 얼구를 주024)
얼구를:
모양을.
브터 일후믈 어드니 곧 녯 부텻 住處ㅣ시니 녯 부텨 住더

법화경언해 권1:21ㄱ

주025)
-더신:
-하시던.
힐 주026)
힐:
땅이므로. 곳이므로.
靈鷲 주027)
영취:
기사굴산의 번역.
ㅣ라 일니라 주028)
일니라:
일컬었다.
說法실 쩨 브트신 히 各各  주029)
:
으뜸가는 것의. 중요한.
들 조시니 주030)
조시니:
따르시니.
華嚴에 열 주031)
화엄의 열 곳:
화엄경을 설한 장소를 이르는데, 보통은 ‘보리도량, 보광법당, 도리천, 야마천, 도솔천, 타화천, 중각강당’의 일곱 곳[7處]으로 알려져 있음.
고 주032)
고:
곳을. 「곧」[所].
올샤 주033)
올샤:
옮으심은.
法界 두려이 나토 爲시고 圓覺애 大光明藏 브트샤 주034)
브트샤:
의지하심은.
根源 니와샨 주035)
니와샨:
일으키신.
 바 주036)
바:
바로.
뵈샤 爲시고 이 人間城을 브트샤 더러우며 조호 주037)
조호:
깨끗함을. 「좋-」[淨].
게 샤 蓮華ㅅ 들 기시니라 녯 부텻 해 브트샤 祖述샤 【祖 法 바씨오 주038)
바씨오:
받는 것이고.
述은  주039)
:
남의.
이  주040)
:
마저.
일울 씨라 주041)
일울 씨라:
이루는 것이다.
燈明 주042)
등명:
불·보살의 지혜가 밝은 표시로 밝은 표시로 불·보살 앞에 받드는 등불.
ㅅ 道 니샤 주043)
니샤:
이으심을.
뵈실 미시니라 주044)
미시니라:
따름이시〈었〉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이와 같은 법을 내가 부처님을 좇아 들었다.’ 함은 이는 아난이 결집할 제 【‘결집’은 모으는 것이니 부처님의 말씀을 모아 경을 만드는 것이다.】 자리에 올라 맨 처음에 ‘창’한 것이니 【‘창’은 먼저 말하는 것이다.】 법이 전하여지신 데가 있으심을 인증할 따름이다. 구태여 깊은 말 할 것이 아니다. ‘한 때’라는 말도 부처님이 남기신 말씀이시니, 여러 경전에 두루 쓰는 까닭으로 일정하게 가리키지 아니하신 것이다. 왕사성은 곧 영취산에 붙은 성이니 마갈타국에 속한 땅이니 곧 서역 세상이다. 기사굴산은 여기에서 일컬음에 수리의 머리〈와 같은〉 산이니, 형체를 말미암아 이름을 얻으니 곧 옛날 부처님의 사시던 곳이시니, 옛날 부처님 사시던 땅이므로 영취라 일컬은 것이다. 설법하실 제 의지하신 곳이 각각 중요한 뜻을 좇으시니, 화엄경에서 열 곳을 옮으심은 법계를 원만하게 나타냄을 위하신 것이고, 원각경에 대광명장 의지하심은 근원 일으키신 마음을 바로 보이심을 위하신 것이고, 여기에 세간의 성(城)을 의지하심은 더러우며 깨끗함을 같게 하시어 연꽃의 뜻을 밝히신 것이다. 옛 부처님의 땅에 의지하심은 조술하셔서 【‘조’는 법을 받는 것이고, ‘술’은 남의 일을 마저 이루는 것이다.】 등명의 도 이으심을 보이실 따름이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8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닐:같은 것을.
주002)
듣오니:듣자오니. 들으니.
주003)
:때. 때에. 「」[時].
주004)
왕사성:인도 마갈타국의 서울.
주005)
기사굴산:왕사성 동북에 있는 산으로 부처님이 설법하시던 곳.
주006)
조와:좇아. 따라.
주007)
호:함은.
주008)
아난:아난타. 부처님 10대 제자의 한 사람.
주009)
 쩨:할 적에.
주010)
뫼홀씨니:모으는 것이니.
주011)
올아:올라.
주012)
 처:맨 처음.
주013)
니 씨라:이르는 것이다.
주014)
심기샨 :전하신 곳에.
주015)
겨샤:계심을.
주016)
홀 띠:할 것이.
주017)
-랏:-라는.
주018)
기티샨:남기신.
주019)
논:쓰는 「-」[用].
주020)
브툰:붙은.
주021)
마갈타국:중인도에 있던 옛 왕국.
주022)
히니:땅이니. 곳이니.
주023)
수릐:수리의. 「수리+의」.
주024)
얼구를:모양을.
주025)
-더신:-하시던.
주026)
힐:땅이므로. 곳이므로.
주027)
영취:기사굴산의 번역.
주028)
일니라:일컬었다.
주029)
:으뜸가는 것의. 중요한.
주030)
조시니:따르시니.
주031)
화엄의 열 곳:화엄경을 설한 장소를 이르는데, 보통은 ‘보리도량, 보광법당, 도리천, 야마천, 도솔천, 타화천, 중각강당’의 일곱 곳[7處]으로 알려져 있음.
주032)
고:곳을. 「곧」[所].
주033)
올샤:옮으심은.
주034)
브트샤:의지하심은.
주035)
니와샨:일으키신.
주036)
바:바로.
주037)
조호:깨끗함을. 「좋-」[淨].
주038)
바씨오:받는 것이고.
주039)
:남의.
주040)
:마저.
주041)
일울 씨라:이루는 것이다.
주042)
등명:불·보살의 지혜가 밝은 표시로 밝은 표시로 불·보살 앞에 받드는 등불.
주043)
니샤:이으심을.
주044)
미시니라:따름이시〈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