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1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제1
  • 방편품 제2
  • 9. 오직 일불승뿐이다 3
메뉴닫기 메뉴열기

9. 오직 일불승뿐이다 3


七. 自行道同

법화경언해 권1:185ㄴ

舍利弗아 我今에 亦復如是야 知諸衆生의 有種種欲과 深心所着야 隨其本性야 以種種因緣과 譬喩言辭와 方便力으로 而爲說法노니 舍利弗아 如此ㅣ 皆爲得一佛乘一切種智故ㅣ니라

〔본문〕

법화경언해 권1:185ㄴ

舍利弗아 내 이제  이 야 모 衆生

법화경언해 권1:186ㄱ

 種種 欲과 기픈 주001)
기픈:
깊은.
 주002)
:
마음의.
著혼 주003)
:
곳을. 데를.
아라 주004)
아라:
알아.
그 本性을 조차 種種 因緣과 譬喩와 말와 주005)
말와:
말과.
方便力으로 爲야 說法노니 舍利弗아 이 호미 다 一佛乘 一切種智 得호 爲논 젼라 주006)
젼라:
까닭이다.

〔본문〕 사리불아, 내가 지금 또 이와 같아서 모든 중생의 갖가지 욕망과 깊은, 마음이 집착한 곳을 알아 그 본성을 좇아 갖가지 인연과 비유와 말씀과 방편의 힘으로 위하여 설법하니, 사리불아, 이와 같은 것은 다 1불승의 일체종지를 얻기를 위한 까닭이다.

我今說法이 皆或諸佛也ㅣ샷다 種種欲着者 或依濁業면 欲五塵야 着愛染고 或依淨業면 欲小果야 着二乘씨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내 이제 說法호미 다 諸佛을 法 바샷다 주007)
법바샷다:
〈본〉받았도다. 〈법〉받-[式].
種種 欲 著 시혹 주008)
시혹:
혹은[或]. 때때로.
흐린 業을 브트면 주009)
브트면:
의지하면.
五塵 주010)
5진: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의 5경. 5종의 대경은 우리들의 진성(眞性)을 더럽혀 번뇌를 일으키므로 진(塵)이라 한다.
을 欲야 愛染 주011)
애염:
대상을 탐애하고 집착함.
에 著고 시혹 조 業을 브트면 小果 주012)
소과:
소승의 깨달음.
 欲야 二乘에 著 씨라 주013)
- 씨라:
-하는, 것이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내가 이제 설법하는 것은 다 모든 부처님을 본받았도다. 갖가지 욕망과 집착은 때로는 흐린 업을 의지하면 5진을 탐하여 ‘애염’에 집착하고, 때로는 깨끗한 ‘업’을 의지하면 소과를 탐하여 2승에 집착하는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기픈:깊은.
주002)
:마음의.
주003)
:곳을. 데를.
주004)
아라:알아.
주005)
말와:말과.
주006)
젼라:까닭이다.
주007)
법바샷다:〈본〉받았도다. 〈법〉받-[式].
주008)
시혹:혹은[或]. 때때로.
주009)
브트면:의지하면.
주010)
5진: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의 5경. 5종의 대경은 우리들의 진성(眞性)을 더럽혀 번뇌를 일으키므로 진(塵)이라 한다.
주011)
애염:대상을 탐애하고 집착함.
주012)
소과:소승의 깨달음.
주013)
- 씨라:-하는,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