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1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제1
  • 방편품 제2
  • 8. 일대사인연으로 오시다 1
메뉴닫기 메뉴열기

8. 일대사인연으로 오시다 1


四. 正說 二○初. 全提
佛告舍利弗샤 如是妙法을

〔본문〕

법화경언해 권1:174ㄱ

부톄 舍利弗려 주001)
-려:
-에게.
니샤 이  주002)
이 :
이와 같은.
妙法을

〔본문〕 부처님이 사리불에게 이르시되, “이와 같은 묘법을,

直指妙法全體也시니 下애 明一大事와 佛知見과 與所謂是法은 非思量分別所解者ㅣ 盡此矣시니 直可非思量分別로 而解之니라

〔요해〕 妙法 주003)
온:
모든.
읏드믈 주004)
읏드믈:
으뜸을.
바 치시니 주005)
치시니:
가리키시니. 치-[指].
아래 기샨 一大事 주006)
일대사:
극히 중요한 일.
佛知見 주007)
불지견:
제법 실상의 이치를 깨닫고, 비쳐보는 부처님 지혜.
과 니샨 이 法은 思量야 요 주008)
요:
가림에.
아롤 꺼시 주009)
아롤 꺼시:
알 것이.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샤미 이 다시니 바 思量야 요로 아롤 꺼시 아니니라

〔요해〕 묘법의 모든 으뜸을(=전체를) 바로 가리키시니, 아래 밝히신 일대사와 불지견과 이르신 이 법은 생각하고 헤아려 가림에서 알 것이 아니라 하시는 것이 여기에 다한 것이니, 바로 생각하고 헤아려 분별함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이다.

諸佛如來ㅣ 時乃說之시니 如優曇鉢華ㅣ 時一現耳니라

〔본문〕

법화경언해 권1:174ㄴ

諸佛 如來ㅣ 時節에 니시니 주010)
니시니:
이르신 것이니.
優曇鉢華 주011)
우담발화:
우담바라. 상과(桑科)에 딸린 무화과의 1종. 3천년만에 한 번 꽃이 핀다 하여, 아주 희유한 일에 비유한다.
ㅣ 時節에 주012)
-에:
-에야.
 번 現호미 니라 주013)
-호미 니라:
-함과 같은 것이다.

〔본문〕 모든 부처님과 여래께서 시절에야(=때가 되어야) 이르시는 것이니, 우담발화가 시절에야 한 번 나타남과 같은 것이다.

優曇은 此云靈瑞華ㅣ니 三千年에 一現니 現면 則金輪王이 出니 譬妙法을 爲一大事샤 時乃說之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1:175ㄱ

優曇 예셔 주014)
예셔:
여기에서.
닐오매 靈 祥瑞ㅅ 고지니 주015)
고지니:
꽃이니.
三千年에 번 現니 現면 金輪王 주016)
금륜왕:
4윤왕(輪王)의 하나. 전륜왕 중에서 가장 수승한 윤왕.
나니 주017)
나니:
나니. 나는 것이니.
妙法을  큰 일 爲샤 時節에 니샤 가비시니라 주018)
가비시니라:
비유하신 것이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우담’은 여기서 이르기를 신령한 상서로운 꽃이니 3천년에야 한 번 나타나니, 나타나면 금륜왕이 나니 묘법을 한 큰 일로 삼으시어 시절에야 (3천년이 되어야) 이르심을 비유하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려:-에게.
주002)
이 :이와 같은.
주003)
온:모든.
주004)
읏드믈:으뜸을.
주005)
치시니:가리키시니. 치-[指].
주006)
일대사:극히 중요한 일.
주007)
불지견:제법 실상의 이치를 깨닫고, 비쳐보는 부처님 지혜.
주008)
요:가림에.
주009)
아롤 꺼시:알 것이. 알 수 있는 것이.
주010)
니시니:이르신 것이니.
주011)
우담발화:우담바라. 상과(桑科)에 딸린 무화과의 1종. 3천년만에 한 번 꽃이 핀다 하여, 아주 희유한 일에 비유한다.
주012)
-에:-에야.
주013)
-호미 니라:-함과 같은 것이다.
주014)
예셔:여기에서.
주015)
고지니:꽃이니.
주016)
금륜왕:4윤왕(輪王)의 하나. 전륜왕 중에서 가장 수승한 윤왕.
주017)
나니:나니. 나는 것이니.
주018)
가비시니라:비유하신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