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1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제1
  • 방편품 제2
  • 10. 게송으로 거듭 밝히다 [1] 오직 일불승 4
메뉴닫기 메뉴열기

10. 게송으로 거듭 밝히다 [1] 오직 일불승 4


二. 頌欵啓十四 一頌明權
無量方便力으로 而爲衆生說호 衆生心所念과 種種所行道와 若千諸欲性과 先世善惡業을 佛悉知是巳야 以諸緣譬喩와 言辭方便力으로 令一切歡喜케야 或說修多羅와 伽陀及本事와 本生未曾有며 亦說於因緣과 譬喩幷祇夜와 優婆提舍經호라

〔본문〕

법화경언해 권1:198ㄱ

無量 方便力으로 衆生 爲야 닐오 주001)
닐오:
이르되.
衆生 맷 주002)
맷:
마음의.
念과 種種 行논 道와 여러 가짓 주003)
한:
큰.
欲性 주004)
욕성:
중생의 여러 욕망과 본성.
과 先世옛 善惡業 주005)
선악업:
이전에 행한 선한 일과 악한 일.
을 부톄 이 다 아라 주006)
아라:
알아.
諸緣 譬喩와 言辭 方便力으로 一切 깃게 주007)
깃게:
기뻐하게. -[歡喜].
야 시혹 주008)
시혹:
혹시. 때로.
脩多羅 주009)
수다라:
12부경의 하나. 경문에서 “여시아문(如是我聞)”으로부터 “환희봉행(歡喜奉行)”까지의 산문체로 된 〈아함경〉과 대승의 모든 경전.

법화경언해 권1:198ㄴ

伽陀 주010)
가타:
게송(偈頌).
本事 주011)
본사:
12부경의 하나. 경전 가운데 불제자들의 지난 세상에 대한 행업(行業)·사실 등을 말한 부분.
本生 주012)
본생:
본생경. 부처님이 전생에 하신 6도(度)의 행업 등을 말한 부분.
未曾有 주013)
미증유:
미증유법. 12부경의 하나. 경 가운데 불가사의한 일을 말한 부분.
를 니며  因緣과 譬喩와 衹夜 주014)
기야:
12부경의 하나. 산문(散文)의 끝에 다시 그 뜻을 거듭 말하는 운문(韻文).
와 優波提舍經을 닐오라

〔본문〕 한량없는 방편의 힘으로 중생을 위하여 이르되, ‘중생의 마음의 생각과 갖가지 행하는 도와 여러 가지 많은 욕성과 전생의 선악업을 부처님이 이를 다 알아서 모든 인연, 비유와 언사, 방편의 힘으로 일체를 기쁘게 하여 때로는 수다라와 가타와 본사경과 본생경과 미증유를 이르며, 또 인연과 비유와 기야, 우바제사경을 이르(=설법하)도다.

明應小機샤 開權也시니라 言衆生心所念等者 謂知其所念小法과 所行小道와 所欲小果와 所繫濁業실 故로 以方便으로 說九部法시니라 修多羅 云契經이시고 伽陀 云孤起頌이시고 本事 說佛本行이시고 本生은 說佛前因이시고 未曾有 卽希有之瑞시고 因緣은 卽種種緣法이시고 譬喩 引事顯法이시고 祇夜 云應頌이시고 優婆提舍 云論議시니 此ㅣ 小乘九部也ㅣ라 大乘은 加方廣과 自說와 授記와야 爲十二部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1:199ㄱ

져근 주015)
기:
종교의 대상인 교법에 대한 주체(=중생)를 통틀어서 이르는 말.
 應샤 주016)
권:
방편의 다른 이름. 곧 수단을 말한다.
여르샤 주017)
여르샤:
여시믈.
기시니라 주018)
기시니라:
밝히신 것이다.
衆生 맷 念 주019)
-:
-들을.
니샤 念논 주020)
-논:
-하는.
小法과 行논 小道와 欲논 小果와 욘 주021)
욘:
매인. 이-[被繫].
흐린 業을 아실 주022)
아실:
아시므로.
方便으로 九部法 니샤 주023)
니샤:
이르심을.
니시니라 脩多羅 닐오매 마 주024)
마:
맞은. 맞-[契].
經이시고 伽陀 닐오매 외이 주025)
외이:
외로이.
주026)
닌:
일어난. 닐-[起].
頌이시고 本事 부텻 本來ㅅ 行 니샤니시고 주027)
니샤니시고:
이르신 것이고.
本生 부텻 아 因을 니샤니시고 未曾有는 곧 希有 瑞시

법화경언해 권1:199ㄴ

고 因緣은 곧 種種앳 緣法이시고 譬喩 이 샤 주028)
샤:
이끌어서. -[引].
法을 나토샤니시고 주029)
나토샤니시고:
나타내신 것이고.
衹夜 닐오매 주030)
닐오매:
이른바.
맛 주031)
맛:
응대하는. 응하는. 맛-[應].
頌이시고 優婆提舍 닐오매 論議 주032)
논의:
논의경. 12부경의 하나.
시니 이 小乘 九部 주033)
소승 9부:
소승에서 경문을 9부류로 나눈 것.
ㅣ라 大乘은 方廣 주034)
방광:
12부경의 제11.
自說 주035)
자설:
12부경의 제10.
授記 주036)
수기:
12부경의 제12.
더어 주037)
더어:
더해. 더으-[加].
十二部ㅣ 외니라 주038)
외니라:
된 것이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작은 근기를 응하시어 ‘권’을 여심을 밝히신 것이다. ‘중생의 마음의 생각’들을 이르신 것은 작은 법과 행하는 작은 도와 욕심내는 작은 ‘과’와 매인 흐린 ‘업’을 아시므로, 방편으로 9부법을 이르심을 이르신 것이다. 수다라는 이름에 맞은 경[契經]이시고 가타는 이른바 외롭게 일어난 송이시고, 본사는 부처님 본래의 ‘행’을 이르신 것이고, 본생은 부처님의 예전의 ‘인’을 이르신 것이고, 미증유는 곧 희귀한 상서이시고, 인연은 곧 갖가지의 인연법이시고, 비유는 일을 이끌어서 법을 나타내시는 것이고, 기야는 이른바 응대하는 ‘송’이시고, 우바제사는 이른바 논의이시니, 이것이 소승 9부이다. 대승은 방광과 자설과 수기를 더해 12부가 된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닐오:이르되.
주002)
맷:마음의.
주003)
한:큰.
주004)
욕성:중생의 여러 욕망과 본성.
주005)
선악업:이전에 행한 선한 일과 악한 일.
주006)
아라:알아.
주007)
깃게:기뻐하게. -[歡喜].
주008)
시혹:혹시. 때로.
주009)
수다라:12부경의 하나. 경문에서 “여시아문(如是我聞)”으로부터 “환희봉행(歡喜奉行)”까지의 산문체로 된 〈아함경〉과 대승의 모든 경전.
주010)
가타:게송(偈頌).
주011)
본사:12부경의 하나. 경전 가운데 불제자들의 지난 세상에 대한 행업(行業)·사실 등을 말한 부분.
주012)
본생:본생경. 부처님이 전생에 하신 6도(度)의 행업 등을 말한 부분.
주013)
미증유:미증유법. 12부경의 하나. 경 가운데 불가사의한 일을 말한 부분.
주014)
기야:12부경의 하나. 산문(散文)의 끝에 다시 그 뜻을 거듭 말하는 운문(韻文).
주015)
기:종교의 대상인 교법에 대한 주체(=중생)를 통틀어서 이르는 말.
주016)
권:방편의 다른 이름. 곧 수단을 말한다.
주017)
여르샤:여시믈.
주018)
기시니라:밝히신 것이다.
주019)
-:-들을.
주020)
-논:-하는.
주021)
욘:매인. 이-[被繫].
주022)
아실:아시므로.
주023)
니샤:이르심을.
주024)
마:맞은. 맞-[契].
주025)
외이:외로이.
주026)
닌:일어난. 닐-[起].
주027)
니샤니시고:이르신 것이고.
주028)
샤:이끌어서. -[引].
주029)
나토샤니시고:나타내신 것이고.
주030)
닐오매:이른바.
주031)
맛:응대하는. 응하는. 맛-[應].
주032)
논의:논의경. 12부경의 하나.
주033)
소승 9부:소승에서 경문을 9부류로 나눈 것.
주034)
방광:12부경의 제11.
주035)
자설:12부경의 제10.
주036)
수기:12부경의 제12.
주037)
더어:더해. 더으-[加].
주038)
외니라:된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