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1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제1
  • 방편품 제2
  • 10. 게송으로 거듭 밝히다 [4] 과거 부처님의 방편과 진실 5
메뉴닫기 메뉴열기

10. 게송으로 거듭 밝히다 [4] 과거 부처님의 방편과 진실 5


二. 造像善行
若人이 爲佛故로 建立諸形像호 刻雕成衆相닌 皆已成佛道며 或以七寶成며 鍮石赤白銅과 白鑞及鉛錫과 鐵木及與泥며 或以膠添布로 嚴飾作佛像닌 如是諸人等이 皆巳成佛道며 彩畫作佛像百福莊嚴相호 自作거나 若使人닌 皆巳成佛道며 乃至童子ㅣ 戱야 若草木及筆이어나 或以指爪甲으로 而畫作佛像닌 如是諸人等이 漸漸積功德야 具足大悲心야 皆已成佛道야 但化諸菩薩야 度脫無量衆니라

〔본문〕

법화경언해 권1:219ㄱ

다가 주001)
다가:
만일.
사미 부텨 爲혼 젼로 주002)
젼로:
까닭으로.
여러 가짓 形像 셰요 주003)
셰요:
세우되.
刻야 여러 相 이닌 주004)
이닌:
이루는 것은.
다 마 佛道 일우며 주005)
일우며:
이루며. 일우-[成].
시혹 七寶로 이며 鍮鉐과 赤白銅과 【鍮 金  돌히니 주006)
돌히니:
돌이니.
鍮鉐은 돌 藥으로 구리예 노길 씨라 주007)
노길 씨라:
녹이는 것이다.
銅은 구리라】
鑞과 鈆과 錫과 【세 거시  호 實엔 다니 鑞은 주008)
:
가장.
오 주009)
오:
희고.
鈆은 누르고 오 錫은 프르고 거므니라】
鐵와 나모와 로 주010)
로:
흙으로.
며 시혹 뵈예 주011)
뵈예:
베에. 뵈[布].
膠漆호로 주012)
-호로:
-함으로.
【膠 프리오 주013)
프리오:
풀이고. 플[糊].
漆은 오시라 주014)
오시라:
옻이다. 옷[漆].
싁싀기 며 佛像 닌 주015)
닌:
만든 이는.
이  사히 다 마 주016)
마:
이미.

법화경언해 권1:219ㄴ

道 일우며 彩色로 그려 佛像 百福 莊嚴相 주017)
백복 장엄상:
32상(相)을 말함. 부처님의 32상은 낱낱이 인위(因位)에서 백 가지 복을 쌓은 공덕에 의하여 갖추어진 까닭.
로 제 어나  브리닌 주018)
브리닌:
부린 이는.
다 마 佛道 일우며 아 노야 프리나 남기나 부디어나 주019)
부디어나:
붓이거나. 붇[筆].
시혹 가락 주020)
가락:
손가락. 가락[指].
토로 주021)
토로:
손톱으로. 톱[爪甲].
그려 佛像 로매 니르닌 이  사히 漸漸 功德을 모도아 주022)
모도아:
모아. 모도-[合].
大悲心 주023)
대비심:
모든 중생의 괴로움을 없애려는 마음.
자 주024)
자:
구비되어.
다 마 佛道 일워 오직 諸菩薩 敎化야 無量衆을 度脫 주025)
도탈:
해탈하는 것. 생사의 바다를 건너서, 미계(迷界)를 벗어나 오계(悟界)에 들어가는 것.
니라

〔본문〕 만일 사람이 부처님을 위하는 까닭으로 여러 가지 형상을 세우되, 조각하여 여러 모양 이룬 이는 다 이미 불도를 이룬 것이며, 혹은 칠보로 이루며, 유석과 적백동과 【‘유’는 쇠같은 돌이니, 유석을 돌약으로 구리에 녹인 것이다. ‘동’은 구리이다.】 ‘납’과 ‘연’과 ‘석’과 【셋은 같은 듯하되, 사실은 다르니, ‘납’은 가장 희고 ‘연’은 누르고 희며, ‘석’은 푸르고 검은 것이다.】 ‘철’과 나무와 ‘흙’으로 하며, 혹은 베에 아교를 칠하는 것으로 【‘교’는 풀이고, ‘칠’은 옻이다.】 엄숙히 꾸며 불상 만든 이는 이와 같은 사람들이 다 이미 불도를 이루며, 채색으로 그려 불상 백복 장엄상을 만들되, 스스로가 만들거나 남을 부린(=부려서 만든) 이는(=이일지라도) 다 이미 불도를 이루며, 아이들이 장난하여 풀이나 나무나 붓이거나, 혹은 손가락, 손톱으로 그려 불상 만드는 것에 이른 이는, 이와 같은 사람들이 점점 공덕을 모아 대비심이 갖추어져, 다 이미 불도를 이루어 다만 모든 보살을 교화하여 한량없는 대중을 도탈〈하게〉 한 것이다.

諸形像者 或木雕漆布ㅣ어나 或泥塑寶鑽이어나 或金銀이어나 乃至錫鐵而鑄커나 或衆彩어나 乃至指爪而畫ㅣ니 若形若影之精朴이 等妙相也ㅣ시며 自作使人之專略이 等妙心也ㅣ니 至若漸積功德야 具足大悲히 如是種種이 無非實相이며 皆第一義ㄹ 所以皆成佛道ㅣ니 然이나 此 非二乘所及故로 曰但化諸菩薩也ㅣ라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1:220ㄱ

諸形像 시혹 남 주026)
남:
나무에. 남ㄱ[木].
刻며 뵈예 주027)
뵈예:
베에. 뵈[布].
漆커나 시혹 泥塑寶鑽 주028)
이소보찬:
진흙으로 빚어 곱게 꾸밈.
이어나 【塑 로   씨오 주029)
 씨오:
만드는 것이고.
鑽은 들울 씨라 주030)
들울 씨라:
뚫는 것이다. 들우-.
시혹 金銀이어나 錫鐵로 디오매 주031)
디오매:
쇠물을 부어 만드는 것에. 디-[鑄].
니를어나 주032)
니를어나:
이르거나.
시혹 한 彩色이어나 가락 토로 그리오매 주033)
그리오매:
그림에.
니르니 얼구리어시나 주034)
얼구리어시나:
형상이시거나.
그리메어시나 주035)
그리메어시나:
그림자이시거나.
精며 朴호미 【朴 나못거피라 주036)
나못거피라:
나무껍질이다.
가짓 微妙 相이시며 제 이거나 주037)
이거나:
이루거나.
브리거나 주038)
브리거나:
부리거나. 브리-[使].
올며 주039)
올며:
온전하며. 올-[全].
畧호미 가짓 微妙

법화경언해 권1:220ㄴ

 미니 漸漸 功德을 모도아 大悲 조매 니르리 주040)
니르리:
이르도록.
이  種種이 實相 아니니 업스며 다 第一義ㄹ 주041)
-ㄹ:
-이므로.
다 佛道 일운 고디니 그러나 이 二乘의 미출 띠 주042)
미출 띠:
미칠 데가.
아닐 니샤 오직 諸菩薩 敎化타 시니라 주043)
시니라:
하신 것이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모든 형상’은 혹 나무에 조각하며 베에 옻칠하거나 혹은 이소보찬이거나 【‘소’는 흙으로 모양을 만드는 것이고, ‘찬’은 뚫는 것이다.】 혹은 금, 은이거나, 주석으로 쇠물을 부어 만드는 것에 이르거나, 혹은 많은 채색이거나, 손가락 손톱으로 그림에 이른 것이 형상이시거나, 그림자이시거나 정미롭고 순박한 것이 【‘박’은 나무껍질이다.】 한가지의(=다 같은) 미묘한 모양이시며, 스스로가 이루거나 남을 부리거나 온전하며 생략하는 것이 한가지 미묘한 마음이니, 점점 공덕을 모아 큰 자비를 갖추는 것에 이르도록, 이와 같은 갖가지가 실상이 아닌 것이 없으며, 다 제1의이므로 다 불도를 이룬 것(=까닭)이니, 그러나 이는 2승이 미치는 것이 아니므로 이르시되, ‘오직 모든 보살을 교화한다.’고 하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가:만일.
주002)
젼로:까닭으로.
주003)
셰요:세우되.
주004)
이닌:이루는 것은.
주005)
일우며:이루며. 일우-[成].
주006)
돌히니:돌이니.
주007)
노길 씨라:녹이는 것이다.
주008)
:가장.
주009)
오:희고.
주010)
로:흙으로.
주011)
뵈예:베에. 뵈[布].
주012)
-호로:-함으로.
주013)
프리오:풀이고. 플[糊].
주014)
오시라:옻이다. 옷[漆].
주015)
닌:만든 이는.
주016)
마:이미.
주017)
백복 장엄상:32상(相)을 말함. 부처님의 32상은 낱낱이 인위(因位)에서 백 가지 복을 쌓은 공덕에 의하여 갖추어진 까닭.
주018)
브리닌:부린 이는.
주019)
부디어나:붓이거나. 붇[筆].
주020)
가락:손가락. 가락[指].
주021)
토로:손톱으로. 톱[爪甲].
주022)
모도아:모아. 모도-[合].
주023)
대비심:모든 중생의 괴로움을 없애려는 마음.
주024)
자:구비되어.
주025)
도탈:해탈하는 것. 생사의 바다를 건너서, 미계(迷界)를 벗어나 오계(悟界)에 들어가는 것.
주026)
남:나무에. 남ㄱ[木].
주027)
뵈예:베에. 뵈[布].
주028)
이소보찬:진흙으로 빚어 곱게 꾸밈.
주029)
 씨오:만드는 것이고.
주030)
들울 씨라:뚫는 것이다. 들우-.
주031)
디오매:쇠물을 부어 만드는 것에. 디-[鑄].
주032)
니를어나:이르거나.
주033)
그리오매:그림에.
주034)
얼구리어시나:형상이시거나.
주035)
그리메어시나:그림자이시거나.
주036)
나못거피라:나무껍질이다.
주037)
이거나:이루거나.
주038)
브리거나:부리거나. 브리-[使].
주039)
올며:온전하며. 올-[全].
주040)
니르리:이르도록.
주041)
-ㄹ:-이므로.
주042)
미출 띠:미칠 데가.
주043)
시니라:하신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