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법화경언해 권1

  • 역주 법화경언해
  • 역주 법화경언해 제1
  • 서품 제1
  • 7. 문수보살이 답하다○일월등명불 3
메뉴닫기 메뉴열기

7. 문수보살이 답하다○일월등명불 3


次復有佛샤 亦名日月燈明이시며 次復有佛샤 亦名日月燈明이샤 如是二萬佛이 皆同一字샤 號ㅣ 日月燈明이시며 又同一姓샤 姓이 頗羅墮ㅣ러시니 彌勤아 當知라 初佛後佛이 皆同一字샤 名이 日月燈明十號ㅣ 貝足시고 所可說法은 初中後善이러시니 其最後佛이 未出家時예 有八王子더니 一名有意오 二名善意오 三名無量意오 四名寶意오 五名增意오 六名除疑意오 七名響意오 八名法意러니 是八王子ㅣ 威德이 自在야 各領四天下더니 是諸王子ㅣ 聞父ㅣ 出家샤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고 悉捨王位고 亦隨出家야 發大乘意야 常修梵行야 皆爲法師니

법화경언해 1:99ㄴ

已於千萬佛所애 植諸善本니라

〔본문〕

법화경언해 권1:98ㄴ

버거 주001)
버거:
다음.
 부톄 겨샤  일후미 日月燈明이시며 버거  부톄 겨샤  일후미 日月燈明이샤 이티 二萬佛이 다 가지로  字ㅣ샤 주002)
-ㅣ샤:
-이시어.
주003)
-ㅣ:
-이/가.
日月燈明이시며  가지로  姓이샤 姓이 頗羅墮ㅣ러

법화경언해 권1:99ㄱ

시니 彌勒아 반기 알라 첫 부텨 後ㅅ 부톄 다 가지로  字ㅣ샤 일후미 日月燈明 十號ㅣ 시고 니시논 法은 初中後善이러시니  後ㅅ 부톄 出家 아니야 겨신 제 여듧 주004)
여듧:
여덟.
王子ㅣ 잇더니 一名은 有意 주005)
-오:
-(이)고.
二名은 善意오 三名은 無量意오 四名은 寶意오 五名은 增意오 六名은 除疑意오 七名은 響意오 八名은 法意러니 주006)
-러니:
-(이)더니.
이 여듧 王子ㅣ 威德이 自在야 各各 四天下 領더니 이 王子히 아바니미 出家샤 阿耨多羅三藐三菩提 得시다 듣고 다 王位 리고 주007)
리고:
버리고.
 조차 出家야 大乘ㅅ 들 發야 녜 조 行 닷가 주008)
닷가:
닦아.
다 法師ㅣ 외니

법화경언해 권1:99ㄴ

마 주009)
마:
이미.
千萬 佛ㅅ게 여러 가짓 善 미틀 시므니라

〔본문〕 다음에 또 부처님이 계시되 또 이름이 일월등명이시며, 다음 또 부처님이 계시되 또 이름이 일월등명이시어서, 이와 같이 2만의 부처님이 모두 다 한가지로 같은 자(字)이시고 호(號)가 일월등명이시며, 또 마찬가지로 한 성(姓)이시어 성이 파라타(頗羅墮)이시니, 미륵아, 마땅히 알아라. 처음 부처님과 그 후의 부처님이 다 마찬가지로 같은 자(字)이시고 이름이 일월등명〈이시며〉, 10호가 갖추어지시고 설하시는 바 법은 처음과 중간과 나중이 좋으시더니, 맨 뒤의 부처님이 출가하지 아니하신 때에 여덟 명의 왕자가 있었는데, 그 첫째 이름은 유의(有意)고, 둘째 이름은 선의(善意)고, 섯째 이름은 무량의(無量意)고, 넷째 이름은 보의(寶意)고, 다섯째 이름은 증의(增意)고, 여섯째 이름은 제의의(除疑意)고, 일곱째 이름은 향의(響意)고, 여덟째 이름은 법의(法意)더니, 이 여덟 왕자가 위덕(威德)이 자재(自在)하여 각각 사천하를 영도하였는데, 이 왕자들이 아버님이 출가하시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셨다는 〈말을〉 듣고 모두 왕위를 버리고 또 따라서 출가하여 대승의 뜻을 내어 늘 깨끗한 행적을 닦아 모두 법사(法師)가 되니, 이미 천만 부처님께 여러 가지의 선의 근본을 심은 것이다.

此 又引然燈本始샤 以明妙法傳續之由也시니라 自初燈明으로 至最後燈明히 有二萬佛시거든 然燈은 卽最後燈明之王子也ㅣ시니라 名字姓이 皆同者 明道同也ㅣ시니라 有八王子者 聖人ㅅ 示跡表法也ㅣ시니 依燈明샤 有八意 表從妙明眞心야 出妙觀察意호 其用이 有八也시니 妙心이 本空호 而能有用故로 名有意니 此 妙有也ㅣ오 出乎妙心야 用無不善故로 名善意니 此 妙善也ㅣ오 量不可測이 名無量意니 此 妙量也ㅣ오 對境利用이 名寶意니 此 妙寶也ㅣ오 觸類而長이 名增意니 此 妙增也ㅣ오 善能覺了ㅣ 名除疑意니 此 妙覺也ㅣ오 應物如響이 名響意니 此 妙響也ㅣ오 建立萬法이 名法意니 此 妙法也ㅣ라 領四天下者 未出家時예 未免物累也ㅣ라 聞父得道고 捨位出家者 離情去累샤 乃趣正覺之表也ㅣ라 智勝王子ㅣ 有珍玩之具시다가 聞父得道고 捨之而往시니 其意同此시니 心王이 出三界家면 則八識之子ㅣ 隨出야 而爲諸法師샤미 亦若是矣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법화경언해 권1:100ㄴ

이  然燈ㅅ 믿 처믈 주010)
처믈:
처음을.
샤 주011)
샤:
이끄시어.
妙法의 傳持야 나 주012)
나:
나아간.
젼 기시니라 첫 燈明브터 주013)
:
맨.
後ㅅ 燈明에 니르리 주014)
니르리:
이르도록. 이르기까지.
二萬 佛이 겨시거든 然燈은 곧  後ㅅ 燈明ㅅ 王子ㅣ시니라 名字姓이 다 샤 주015)
샤:
같으심은.
道理 샤 기시니라 八王子 겨샤 주016)
겨샤:
계심은.
聖人ㅅ 자최 보샤 法 表

법화경언해 권1:101ㄱ

샤미니
주017)
샤미니:
하심이니.
燈明을 브트샤 주018)
브트샤:
붙으시어. 의지하시어.
八意 겨샤 주019)
겨샤:
계심은.
微妙히  眞實ㅅ  브터 微妙히 보아 피논 디 나 그 用이 여들비 잇  주020)
잇 :
있는 줄.
表시니 微妙 미 本來 뷔요 주021)
뷔요:
비되. 「뷔-」[空].
能히 用이 겨실 일후미 有意시니 이 微妙 有ㅣ시고 微妙 매셔 주022)
매셔:
마음에서.
나 用이 됴티 몯니 주023)
몯니:
못한 이가.
업스실 일후미 善意시니 이 微妙 善이시고 量을 혜아리디 주024)
혜아리디:
헤아리지.
몯오미 주025)
몯오미:
못함이.
일후미 無量意시니 이 微妙 量이시고 境을 對야 利히 샤미 주026)
샤미:
쓰심이.
일후미 寶意시니 이 微妙 寶ㅣ시고 類 觸야 길우샤미 주027)
길우샤미:
길게 하심이. 「길우-」.
일후미 增意시니 이 微妙 增이시고 【增 더을 씨라 주028)
더을 씨라:
더하는 것이다.
이대 能히 아샤미 일후미 除疑意시니 【除疑

법화경언해 권1:101ㄴ

疑心을 덜 씨라 주029)
덜 씨라:
더는 것이다.
이 微妙 覺이시고 物應 호미 뫼리 주030)
뫼리:
메아리.
샤미 일후미 響意시니 이 微妙 響이시고 萬法을 셰샤미 주031)
셰샤미:
세우심이.
일후미 法意시니 이 微妙 法이시니라 四天下 領샤 주032)
샤:
하심은.
出家 몯신 時節에 物 버므로 주033)
버므로:
얽매임을. 걸림을.
免티 몯실 씨라 아바님 道 得시다 듣고 位 리시고 出家샤 들 여희시며 버므롬 아샤 주034)
아샤:
빼앗으시어야.
正覺 주035)
정각:
등정각. 부처님 10호의 하나.
가시논 주036)
가시논:
가시는.
表ㅣ라 智勝王子ㅣ 보 노리개옛 주037)
노리개옛:
노리개의.
거슬 두겨시다 주038)
두겨시다:
두어 계시다가. 두시다가.
가 아바님 道 得시다 듣고 리시고 가시니 그 디 이 시니 주039)
이 시니:
이와 같으시니.
心王 주040)
심왕:
의식작용의 본체.
이 三界 지븨 주041)
지븨:
집에. 집에서.
나면 八識 주042)
8식: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말나식·아뢰야식.
아리 조차 나 여러 法師 주043)
법사:
불법에 정통하고 청정한 행을 닦아서 세간의 모범이 되어 중생을 교화하는 스님.
외샤미 주044)
외샤미:
되심이.
 이 시니라 【八識은 六識과 第七 末那識과 第

법화경언해 권1:102ㄱ

八 阿賴耶識괘라 眼耳鼻舌身意 六根이오 色聲香味觸法은 六塵이니 누네 보미 色塵 주045)
색진:
5진의 하나. 물질세계.
이오 귀예 주046)
귀예:
귀에.
드로미 주047)
드로미:
들음이.
聲塵 주048)
성진:
6진의 하나. 유정·무정의 온갖 소리.
이오 고해 주049)
고해:
코에. 「고ㅎ」[鼻].
마토미 주050)
마토미:
맡음이.
香塵 주051)
향진:
6진의 하나. 향기롭거나 구린 냄새로 정식(情識)을 어지럽게 하는 것.
이오 혀에 맛 보미 味塵 주052)
미진:
설근·설식의 대경(對境)은 맛.
이오 주053)
-이오:
-이고.
모매 더러우미 觸塵 주054)
촉진:
몸으로 대하는 차고·덥고·굳고·무거운 경계.
이오 데 著호미 法塵 주055)
법진:
온갖 법으로서 의근의 대경이 되어 정식을 물들게 하는 것.
이니 어울워 주056)
어울워:
어울러. 어우르게 하여.
十二處ㅣ라 주057)
-ㅣ라:
-이다.
 六識은 本來 제  미로 주058)
미로:
마음이로되.
六根 다 브터 六識이 외니 주059)
외니:
되니.
보 조차 眼識이 외며 드러 조차 耳識이 외며 마토 조차 鼻識이 외며 맛보 조차 舌識이 외며 더러우 조차 身識이 외며 分別호 조차 意識이 외니 根塵識이 어우러 주060)
어우러:
어울러. 합하여.
十八界 외니라 阿賴耶 예셔 주061)
예셔:
여기에서.
닐오매 種子ㅣ며  藏識이

법화경언해 권1:102ㄴ

주062)
혼:
하는.
마리니 世出世間 諸法 種子 能히 다 디녀 촐 주063)
촐:
갖추므로. 간직하므로. 감추므로.
니라 末那 意라 혼 마리니 時常 仔細히 思量 일후미 意라 第八을 야 주064)
야:
생각하여.
혜아려 나 삼니 이티 思量호 오직 第七에 잇고 녀느 주065)
녀느:
여느.
識에 업슬 오 주066)
오:
혼자.
일후믈 意라 니라 알 六識은 根 從야 일후믈 얻고 이 第七識은 體 當야 일후믈 셰니라 주067)
셰니라:
세운 것이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3년(세조 9) 월 일

〔요해〕 이것은 또 연등의 근본을 끄시어 묘법이 전지(傳持)되어 지내온 경위를 밝히신 것이다. 첫 등명(燈明)부터 맨 뒤의 등명에 이르기까지 2만 명의 부처님이 계셨는데, 연등은 곧 최후의 등명 왕자이신 것이다. 〈각각의〉 이름과 자와 성이 모두 같으심은 도리가 같으심을 밝히신 것이다. 여덟 왕자가 계심은 성인의 자취를 살펴보시어 ‘법’을 표하심이니 등명에 의거하시어, 팔의(八意)가 계심은 미묘하게 밝은 진실한 마음에 의거하여 미묘하게 보아 살피는 뜻이 나되, 그 쓰임이 여덟이 있음을 나타내신 것이니, 미묘한 마음이 본래는 비어 있으되 능히 쓰임이 있으므로 이름이 유의(有意)이시니, 이것은 미묘한 유(有)이시고, 미묘한 마음에서 나와 쓰임이 좋지 못함이 없으므로 이름이 선의(善意)이시니 이는 미묘한 ‘선’이시고, 양을 헤아리지 못함이, 이름이 무량의(無量意)이시니 이는 미묘한 양이시고, 경(境)을 대하여 이롭게 쓰심이, 이름이 보의(寶意)이시니 이는 미묘한 보(寶)이시고, 유(類)를 〈접〉촉하여 기르심이 이름이 증의(增意)이시니 이는 미묘한 증(增)이시고 【‘증’은 더한다는 것이다.】 잘 능히 아심이, 이름이 제의의(除疑意)시니 【‘제의’는 의심을 던다는 것이다.】 이는 미묘한 각(覺)이시고, 사물 응답함이 메아리 같으심이, 이름이 향의(響意)시니 이는 미묘한 메아리이시고, 만법을 세우심이, 이름이 법의(法意)이시니 이는 미묘한 법이신 것이다. 사천하를 영〈도〉하심은 출가하지 않으신 시절에 사물에 얽매임을 면하지 못하심이다. 아버님이 ‘도’를 득하셨다는 소식을 듣고 왕위 버리시고 출가하심은 뜻을 여의시며 얽매임을 제거하셔야 정각(正覺)에 가시는 바를 나타냄이다. 지승왕자가 보배 노리개를 두고 계시다가 아버님이 도를 득하셨다는 말을 듣고 〈그것을〉 버리시고 가시니, 그 뜻이 이와 같으시니, 심왕(心王)이 삼계(三界)란 집에서 나면 8식 아들이 따라 나서 여러 법사가 되시는 것이 또 이와 같으신 것이다. 【8식은 6식과 제7 말나식과 제8 아뢰야식이다. 안·이·비·설·신·의는 6근이고 색·성·향·미·촉·법은 6진이니, 눈에 보이는 것이 색진이고, 귀에 들림이 성진이고, 코로 맡음이 향진이고, 혀로 맛 봄이 미진이고, 몸에 더러움이 촉진이고 뜻에 집착함이 법진이니, 모두 합하여 12처이다. 또 6식은 본래 스스로가 한 마음이로되 6근에 다 의지하여 6식이 되니, 보는 것을 따라 인식이 되며, 들음을 따라 이식(耳識)이 되며, 맡음을 따라 비식이 되며, 맛봄을 따라 설식(舌識)이 되며, 더러움을 따라 신식이 되며, 분별함을 따라 의식(意識)이 되니, 근·진·식(根塵識)이 합하여 18계가 되는 것이다. 아뢰야는 여기서 일컫기로는 종자(種子)이며 또 장식(藏識)이라는 말이니, 세출세간(世出世間) 제법 종자를 능히 다 지녀 갖추었기 때문이다. ‘말나’는 의(意)라는 말이니, 시상(時常) 자세히 생각하므로 이름이 의이다. 제8을 생각하여 헤아려 나를 삼으니, 이와 같이 헤아림은 오직 제7에 있고 다른 식(識)에는 없으므로 홀로 이름을 의라고 하는 것이다. 앞의 6식은 근(根)을 따라서 이름을 얻고, 이 제7식은 체(體)를 당하여 이름을 세운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2000년 9월 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버거:다음.
주002)
-ㅣ샤:-이시어.
주003)
-ㅣ:-이/가.
주004)
여듧:여덟.
주005)
-오:-(이)고.
주006)
-러니:-(이)더니.
주007)
리고:버리고.
주008)
닷가:닦아.
주009)
마:이미.
주010)
처믈:처음을.
주011)
샤:이끄시어.
주012)
나:나아간.
주013)
:맨.
주014)
니르리:이르도록. 이르기까지.
주015)
샤:같으심은.
주016)
겨샤:계심은.
주017)
샤미니:하심이니.
주018)
브트샤:붙으시어. 의지하시어.
주019)
겨샤:계심은.
주020)
잇 :있는 줄.
주021)
뷔요:비되. 「뷔-」[空].
주022)
매셔:마음에서.
주023)
몯니:못한 이가.
주024)
혜아리디:헤아리지.
주025)
몯오미:못함이.
주026)
샤미:쓰심이.
주027)
길우샤미:길게 하심이. 「길우-」.
주028)
더을 씨라:더하는 것이다.
주029)
덜 씨라:더는 것이다.
주030)
뫼리:메아리.
주031)
셰샤미:세우심이.
주032)
샤:하심은.
주033)
버므로:얽매임을. 걸림을.
주034)
아샤:빼앗으시어야.
주035)
정각:등정각. 부처님 10호의 하나.
주036)
가시논:가시는.
주037)
노리개옛:노리개의.
주038)
두겨시다:두어 계시다가. 두시다가.
주039)
이 시니:이와 같으시니.
주040)
심왕:의식작용의 본체.
주041)
지븨:집에. 집에서.
주042)
8식: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말나식·아뢰야식.
주043)
법사:불법에 정통하고 청정한 행을 닦아서 세간의 모범이 되어 중생을 교화하는 스님.
주044)
외샤미:되심이.
주045)
색진:5진의 하나. 물질세계.
주046)
귀예:귀에.
주047)
드로미:들음이.
주048)
성진:6진의 하나. 유정·무정의 온갖 소리.
주049)
고해:코에. 「고ㅎ」[鼻].
주050)
마토미:맡음이.
주051)
향진:6진의 하나. 향기롭거나 구린 냄새로 정식(情識)을 어지럽게 하는 것.
주052)
미진:설근·설식의 대경(對境)은 맛.
주053)
-이오:-이고.
주054)
촉진:몸으로 대하는 차고·덥고·굳고·무거운 경계.
주055)
법진:온갖 법으로서 의근의 대경이 되어 정식을 물들게 하는 것.
주056)
어울워:어울러. 어우르게 하여.
주057)
-ㅣ라:-이다.
주058)
미로:마음이로되.
주059)
외니:되니.
주060)
어우러:어울러. 합하여.
주061)
예셔:여기에서.
주062)
혼:하는.
주063)
촐:갖추므로. 간직하므로. 감추므로.
주064)
야:생각하여.
주065)
녀느:여느.
주066)
오:혼자.
주067)
셰니라:세운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