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1
  • 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 4. 수행에는 크게 세 종류의 관법이 있음
  • 다) 선나 : 일체를 초월하여 원각성과 하나 되는 관찰 수행 26
메뉴닫기 메뉴열기

다) 선나 : 일체를 초월하여 원각성과 하나 되는 관찰 수행 26


【경】 自他身心의 所不能及이며

自와 他탕왓 身신心심의 能히 밋디 몯홀 고디며

나와 남의 몸과 마음이 능히 미치지 못할 바이며

【종밀주석】 唯獨自明了ㅣ오 餘人所不見故로 他不及이오 自己心識之量도 亦不能造호미 如螢燒順彌니 必須離情야 方契故로 自不及이라 又依體起智ㅣ 爲自ㅣ오 根塵發識이 名他ㅣ니 不可識으로 識며 智로 知故로 皆不及

원각경언해 하2의1:52ㄱ

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오직 오 제 기 알오 나 사 보디 몯논 고딜 他탕ㅣ 밋디 주001)
밋디:
미치지[及]. 및-[及]+디(어미). 8종성가족용법의 제약으로 ‘및디’를 ‘밋디’로 표기함. 후대에 어간 ‘및-’이 ‘미치-’로 음절이 더 증가해 재구조화됨.
몯호미오 내 心심識식 주002)
심식(心識):
인식하고 식별하는 마음의 작용.
ㅅ 量도  能히 나가디 몯호미 반되 주003)
반되:
반딧불. 반딧불이의 꽁무니에서 나오는 빛[형화(螢火)]. 16세기 문헌에는 간혹 ‘반도’도 보인다. ¶반되爲螢(정음해례:용자례). 螢 반도(자회, 상11ㄴ).
須슝彌밍 주004)
수미(須彌):
수미산. 불교의 우주론에 나오는 상상의 산으로 세계의 중심에 솟아 있는 거대한 산. 수미는 산스크리트로 메루(Meru) 또는 수메루(Sumeru)라 한다.
 롬 니 반기 모로매 情을 여희여 주005)
여희여:
여의어야. ‘-’는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로 고대 및 중세국어 이두 자료 ‘沙’와 관련되며, 16세기부터는 ‘-, -아, -야’ 등이 쓰인 용례가 나타난다. ¶ 頓修를 因야(법집별행록97ㄴ). 大人은 否여아 亨리라(주역1:75ㄴ). 主喪여야(가례9:13ㄴ).
비르서 마릴 自 밋디 몯호미라  體톙 브터 智딩 니르와도미 주006)
니르와도미:
일으킴이. 니르왇-[起]+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왇-’은 강조[힘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능엄경언해(1461) 이전에는 ‘-/왇-’형이 공존하였다. ¶恢復 도로 니씨라(삼강, 충22). 衆生이 想念을 니르와다(월석8:6ㄱ).
自ㅣ오 根塵띤 주007)
근진(根塵):
근(根)은 감각기관이니 눈[眼]·귀[耳]·코[鼻]·혀[舌]·몸[身]·의식[意]의 6근(六根)이고, 진(塵)은 6근의 대상인 6진(六塵)이니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이다.
에 識식을 發호미 일후미 他탕ㅣ니 識식으로 알며 智딩로 아디 몯릴 다 밋디 몯호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오직 혼자 자기가 밝히 알고 나머지 사람은 보지 못하는 바이므로 남[他]이 미치지 못함이고, 나의 심식(心識)의 헤아림[量]도 또한 능히 나아가지 못하는 것이 〈마치〉 반딧불이 수미산(須彌山)을 사르는 것과 같으니, 반드시 모름지기 정(情)을 여의어야만 비로소 〈적멸 경계를〉 맞을 것이므로 자기가 미치지 못함이라 한 것이다. 또한 체(體)에 의지하여 지혜를 일으킴이 자기[自]이고, 근진(根塵)에 식(識)을 일으키는 것이 이름이 남이니, 식(識)으로 알며 지혜로 알지 못하므로 모두 미치지 못함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밋디:미치지[及]. 및-[及]+디(어미). 8종성가족용법의 제약으로 ‘및디’를 ‘밋디’로 표기함. 후대에 어간 ‘및-’이 ‘미치-’로 음절이 더 증가해 재구조화됨.
주002)
심식(心識):인식하고 식별하는 마음의 작용.
주003)
반되:반딧불. 반딧불이의 꽁무니에서 나오는 빛[형화(螢火)]. 16세기 문헌에는 간혹 ‘반도’도 보인다. ¶반되爲螢(정음해례:용자례). 螢 반도(자회, 상11ㄴ).
주004)
수미(須彌):수미산. 불교의 우주론에 나오는 상상의 산으로 세계의 중심에 솟아 있는 거대한 산. 수미는 산스크리트로 메루(Meru) 또는 수메루(Sumeru)라 한다.
주005)
여희여:여의어야. ‘-’는 강조를 나타내는 보조사로 고대 및 중세국어 이두 자료 ‘沙’와 관련되며, 16세기부터는 ‘-, -아, -야’ 등이 쓰인 용례가 나타난다. ¶ 頓修를 因야(법집별행록97ㄴ). 大人은 否여아 亨리라(주역1:75ㄴ). 主喪여야(가례9:13ㄴ).
주006)
니르와도미:일으킴이. 니르왇-[起]+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왇-’은 강조[힘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능엄경언해(1461) 이전에는 ‘-/왇-’형이 공존하였다. ¶恢復 도로 니씨라(삼강, 충22). 衆生이 想念을 니르와다(월석8:6ㄱ).
주007)
근진(根塵):근(根)은 감각기관이니 눈[眼]·귀[耳]·코[鼻]·혀[舌]·몸[身]·의식[意]의 6근(六根)이고, 진(塵)은 6근의 대상인 6진(六塵)이니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