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1
  • 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 4. 수행에는 크게 세 종류의 관법이 있음
  • 나) 삼마발제 : 자성 없는 법으로 번뇌를 녹이는 관찰 수행 2
메뉴닫기 메뉴열기

나) 삼마발제 : 자성 없는 법으로 번뇌를 녹이는 관찰 수행 2


【경】

원각경언해 하2의1:26ㄱ

以淨覺心으로 知覺心性과 及與根塵이 皆因幻化야

淨覺각心심으로 心심性 주001)
심성(心性):
마음[心]과 본성[性].
根塵띤 주002)
근진(根塵):
육근(六根)과 육진(六塵). ‘육진’은 육경(六境). 6근은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이고, 6경은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이다.
괘 다 幻化황 주003)
환화(幻化):
실체가 없는 것을 현재 있는 것처럼 환술로 만들어내는 것.
 因  아라

청정(淸淨)한 원각(圓覺)의 마음으로써 심성(心性)과 근진(根塵)이 모두 환화(幻化)로 인한 것임을 알고(=깨닫고)

【종밀주석】 躡前엣 標解也시니라 心性이 是識이니 識與根塵三이 和合야 有ㅣ언뎡 各無自性야 但是無明의 迷眞而起故로 名幻化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알 標샨 解 드듸시니라 주004)
드듸시니라:
밟으신 것이다. 거치신 것이다. 한문의 ‘躡(섭)’에 대한 번역으로서 “순서나 절차를 거쳐나가다”의 뜻.
心심性이 이 識식이니 識식이 根과 塵띤과 세히 섯거 어우러 이실 니언 各각各각 제 性이 업서 오직 이 無뭉明 주005)
무명(無明):
인간의 근본적인 무지(無知). 번뇌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 잘못된 의견이나 집착 때문에 진리를 깨닫지 못하는 어리석은 마음 상태.
이 眞진을 迷몡

원각경언해 하2의1:26ㄴ

니밀 주006)
니밀:
일어나는 것이므로. 15세기 국어의 일반적 경향으로 보면 ‘니로밀/니루밀’가 옳다. 닐-[起]+(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ㄹ(통합형어미). ‘/음’은 16세기 중반까지는 명사 파생접사로 사용되었으며 명사형어미로는 ‘옴/움’이었다. ¶니로미니(원각,하1-2:122ㄴ). 니루미라(원각,상2-1:37ㄱ).
일후미 幻化황ㅣ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앞에서 표하신 해(解=견해)를 밟으신 것이다. 심성(心性) 이것은 식(識)이니 식(識)이 근(根)과 진(塵)의 셋이 섞어 어우러져 있을 뿐이지 각각 자기의 성(性=불변하는 고유의 어떤 것)이 없어 오직 이 무명(無明)이 진(眞)에 미혹하여 일어나는 것이므로 이름이 환화(幻化)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심성(心性):마음[心]과 본성[性].
주002)
근진(根塵):육근(六根)과 육진(六塵). ‘육진’은 육경(六境). 6근은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이고, 6경은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이다.
주003)
환화(幻化):실체가 없는 것을 현재 있는 것처럼 환술로 만들어내는 것.
주004)
드듸시니라:밟으신 것이다. 거치신 것이다. 한문의 ‘躡(섭)’에 대한 번역으로서 “순서나 절차를 거쳐나가다”의 뜻.
주005)
무명(無明):인간의 근본적인 무지(無知). 번뇌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 잘못된 의견이나 집착 때문에 진리를 깨닫지 못하는 어리석은 마음 상태.
주006)
니밀:일어나는 것이므로. 15세기 국어의 일반적 경향으로 보면 ‘니로밀/니루밀’가 옳다. 닐-[起]+(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ㄹ(통합형어미). ‘/음’은 16세기 중반까지는 명사 파생접사로 사용되었으며 명사형어미로는 ‘옴/움’이었다. ¶니로미니(원각,하1-2:122ㄴ). 니루미라(원각,상2-1:37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