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4) 수행할 것을 총체적으로 지시하심 5
메뉴닫기 메뉴열기

4-4) 수행할 것을 총체적으로 지시하심 5


【경】

원각경언해 하2의2:40ㄴ

求哀懺悔호 經三七日야

求哀 주001)
구애(求哀):
애절하게 무엇을 구함. 슬피 구함. 소원을 들어 달라고 슬피 구함.
懺참悔횡 주002)
참회(懺悔):
‘懺’은 범어 참마[懺摩; ksama]의 음역이며, 회(悔)는 그 한역어로 추회(追悔)한다는 것이 본래 의미이다. 부끄러워하고 뉘우치는 것. 이로써 모든 과실을 여의므로 모든 악법을 그치고 더 이상 자라지 않게 한다. 수행에 장애가 많으면 장애를 제거하기 위한 방편으로 참회를 한다. 예컨대, 모든 부처님께 예배하는 것은 모든 부처님의 가피로 온갖 장애에서 벗어나려는 총체적인 방법이며, 악업의 장애는 뜻을 오롯이 하여 신구의(身口意)를 단속해 참회해 없애고, 타인이 잘되는 것을 질투하는 것은 수희(隨喜) 즉 남이 잘된 일을 내 일처럼 함께 기뻐해주는 것으로 대치하는 것과 같은 것들이 있다.
호 주003)
구애 참회(求哀懺悔)호:
애절하게 참회(懺悔) 구하기를.
三삼七日을 디내야

구애(求哀) 참회(懺悔)함을 삼칠일(三七日=21일)을 지내어

【종밀주석】 多生業累ㅣ 恐障淨心일 懺悔求哀야 發露先罪니 日數ㅣ 若少면 慮不精誠이어니와 三七日中엔 已彰懇禱ㅣ니라 懺悔之義 下道場加行中에 當釋이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生 주004)
생(生):
여러 가지의 원인과 조건이 모여 생멸 변화하는 현상계의 모든 사물이 생겨나는 것. 언해문의 ‘한 生’은 한문 ‘多生’에 대한 번역. 불교에서는 ‘다생부모(多生父母)’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현재의 나는 오랜 윤회에서 잠시 이 육신으로 나와 있다는 것이니, 세상에 내 부모가 아닌 사람이 하나도 없다는 뜻이며 또한 내 자식이 아닌 사람도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생사를 넘어서 보면 전부가 하나라는 말이겠다.
業 주005)
업(業):
미래에 선악의 결과를 가져오는 원인이 된다고 하는, 몸과 입과 마음으로 짓는 선악의 소행.
주006)
:
때가. [垢]+Ø(무형의 주격조사). ‘’는 성불을 방해하는 악업·장애·번뇌 등을 가리킴.
조  리올가 저 懺참悔횡 주007)
참회(懺悔):
과거에 몸과 입과 뜻으로 지은 모든 죄업을 부처나 보살들의 원행과 비교해 잘못되었으면 뉘우치고 고쳐나가는 것.
求哀 주008)
구애(求哀):
애절하게 (…을) 구함. 슬피 구함. 어떤 소원을 들어 달라고 슬피 구함.
야 몬졋 罪쬥 發露롱 주009)
발로(發露):
자기의 죄와 허물을 여러 사람에게 고백하여 참회함.
호미니 日數숭ㅣ 다가 져그면 精誠티 몯가 너기려니와 三삼七日 中엔 마 精誠엣 비로 나토니라 懺참悔횡ㅅ 든 아랫 道場 주010)
도량(道場):
도량(道場)은 부처나 보살이 깨달음을 얻으려고 수행하는 곳. 불도를 수행하는 절. 한자는 같으나 음이 다른 도장(道場)은 무예를 닦는 곳을 가리킨다. ¶도복을 꿍쳐 메고 도장을 드나들며 유도로 단련이 된 몸은 날렵하면서도 튼튼했다.(박경리, 토지)
加강行 주011)
가행(加行):
목적을 이루려고 더욱 힘을 써서 마음과 계행을 닦는 일.

원각경언해 하2의2:41ㄱ

中에 반기 사굘디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많은 생애(生涯)에서 지은 업(業)의 때가 깨끗한 마음을 가리게 할까 두려우므로, 참회(懺悔)를 구애(求哀=애절하게 구함)하여 먼저[=과거에] 지은 죄를 발로(發露)함[=고백해 드러내 참회함]이다. 만약에 일수(日數)가 적으면 〈남들이 나의 참회가〉 정성(精誠)스럽지 못하다고 여기려니와, 삼칠일[=21일] 중에는 이미 정성(精誠)으로 비는 것을 나타내게 되느니라. 참회(懺悔)의 뜻은 아래의 도량(道場)에서 가행(加行)하는 가운데 반드시 새겨야 할 것이니라.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구애(求哀):애절하게 무엇을 구함. 슬피 구함. 소원을 들어 달라고 슬피 구함.
주002)
참회(懺悔):‘懺’은 범어 참마[懺摩; ksama]의 음역이며, 회(悔)는 그 한역어로 추회(追悔)한다는 것이 본래 의미이다. 부끄러워하고 뉘우치는 것. 이로써 모든 과실을 여의므로 모든 악법을 그치고 더 이상 자라지 않게 한다. 수행에 장애가 많으면 장애를 제거하기 위한 방편으로 참회를 한다. 예컨대, 모든 부처님께 예배하는 것은 모든 부처님의 가피로 온갖 장애에서 벗어나려는 총체적인 방법이며, 악업의 장애는 뜻을 오롯이 하여 신구의(身口意)를 단속해 참회해 없애고, 타인이 잘되는 것을 질투하는 것은 수희(隨喜) 즉 남이 잘된 일을 내 일처럼 함께 기뻐해주는 것으로 대치하는 것과 같은 것들이 있다.
주003)
구애 참회(求哀懺悔)호:애절하게 참회(懺悔) 구하기를.
주004)
생(生):여러 가지의 원인과 조건이 모여 생멸 변화하는 현상계의 모든 사물이 생겨나는 것. 언해문의 ‘한 生’은 한문 ‘多生’에 대한 번역. 불교에서는 ‘다생부모(多生父母)’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은 현재의 나는 오랜 윤회에서 잠시 이 육신으로 나와 있다는 것이니, 세상에 내 부모가 아닌 사람이 하나도 없다는 뜻이며 또한 내 자식이 아닌 사람도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생사를 넘어서 보면 전부가 하나라는 말이겠다.
주005)
업(業):미래에 선악의 결과를 가져오는 원인이 된다고 하는, 몸과 입과 마음으로 짓는 선악의 소행.
주006)
:때가. [垢]+Ø(무형의 주격조사). ‘’는 성불을 방해하는 악업·장애·번뇌 등을 가리킴.
주007)
참회(懺悔):과거에 몸과 입과 뜻으로 지은 모든 죄업을 부처나 보살들의 원행과 비교해 잘못되었으면 뉘우치고 고쳐나가는 것.
주008)
구애(求哀):애절하게 (…을) 구함. 슬피 구함. 어떤 소원을 들어 달라고 슬피 구함.
주009)
발로(發露):자기의 죄와 허물을 여러 사람에게 고백하여 참회함.
주010)
도량(道場):도량(道場)은 부처나 보살이 깨달음을 얻으려고 수행하는 곳. 불도를 수행하는 절. 한자는 같으나 음이 다른 도장(道場)은 무예를 닦는 곳을 가리킨다. ¶도복을 꿍쳐 메고 도장을 드나들며 유도로 단련이 된 몸은 날렵하면서도 튼튼했다.(박경리, 토지)
주011)
가행(加行):목적을 이루려고 더욱 힘을 써서 마음과 계행을 닦는 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