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1
  • 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 4. 수행에는 크게 세 종류의 관법이 있음
  • 4-2) 세 종류의 관찰하는 수행 가) 사마타 : 일체의 이미지를 없애 정신을 맑히는 관찰 수행 4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세 종류의 관찰하는 수행 가) 사마타 : 일체의 이미지를 없애 정신을 맑히는 관찰 수행 4


【경】 由澄諸念야 覺識의 煩動야

한 念념 교 브터 識식의 어즈러이 뮈유믈 아라

모든 염(念=생각)이 맑아짐으로 의거해 식(識)이 어지럽게 움직인다는 것을 알고[=깨닫고]

【종밀주석】 由前以靜澄心야 諸念이 不起야 心合靜源야 體非分別故로 見分別之識의 煩勞動擾ㅣ니 若自是識이면 則不能見識호미 如眼不自見이어늘 今由念澄야 智顯故로 覺識也ㅣ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알 靜으로  교 브터 한 念념이 니디 아니

원각경언해 하2의1:18ㄴ

야 미 靜 根源에 어우러 體톙ㅣ 分분別 아닐 分분別 識식 주001)
식(識):
대상을 다르게 아는 마음의 작용. 식 자체로서의 식별 작용.
어즈러이 주002)
어즈러이:
어지러니. 어지럽게. 제자리에 있지 못하고 널려 있어 너저분하게. 어즈럽-[煩]+이(부사 파생접사). 능엄경언해(1461) 이전에 원고가 완성된 문헌은 ‘어즈러’로 적었으나, 그 문헌부터는 ‘어즈러이’로 ‘ㅸ→ㅇ’로 표기되었다. ¶羅刹도 어즈러 닐(월석7:28ㄱ). 妄覺이 어즈러이 닐어(월석4:22ㄱ). 이 변화의 원인을 일반적으로는 실재하던 ‘ㅸ’ 음소가 소멸된 결과로 알려져 있으나, 표기법에서 ‘ㅸ’(절충적 표기)을 폐지한 결과라는 주장이 근래에 제기되었다.
뮈유믈 보샤미니 다가 제 이 識식이면 能히 識식을 보디 몯호미 누니 제 보디 몯홈 거늘 이제 念념이 고 브터 智딩 나 識식을 아샤미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앞에서 정(靜=고요함)으로써 마음을 맑게 함에 의거해 많은 생각이 일어나지 않아 마음이 고요한 근원과 어우러져 체(體)가 분별이 되지 않으므로 분별하는 식(識=의식)이 어지럽게 움직이는 것을 보시는 것이니, 만약에 스스로 이와 같은 식(識)이면 능히 식(識)을 보지 못하는 것이 눈 그것이 보지 못함과 같거늘, 이제 생각이 맑아짐에 의거해 지(智=지혜)가 나타나므로 식(識)을 아시는[=깨닫는]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식(識):대상을 다르게 아는 마음의 작용. 식 자체로서의 식별 작용.
주002)
어즈러이:어지러니. 어지럽게. 제자리에 있지 못하고 널려 있어 너저분하게. 어즈럽-[煩]+이(부사 파생접사). 능엄경언해(1461) 이전에 원고가 완성된 문헌은 ‘어즈러’로 적었으나, 그 문헌부터는 ‘어즈러이’로 ‘ㅸ→ㅇ’로 표기되었다. ¶羅刹도 어즈러 닐(월석7:28ㄱ). 妄覺이 어즈러이 닐어(월석4:22ㄱ). 이 변화의 원인을 일반적으로는 실재하던 ‘ㅸ’ 음소가 소멸된 결과로 알려져 있으나, 표기법에서 ‘ㅸ’(절충적 표기)을 폐지한 결과라는 주장이 근래에 제기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