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2. 대답해 주실 것을 허락하심 3. 조용히 말씀을 기다림
  • 2. 대답해 주실 것을 허락하심 3. 조용히 말씀을 기다림 2
메뉴닫기 메뉴열기

2. 대답해 주실 것을 허락하심 3. 조용히 말씀을 기다림 2


【종밀주석】 正說長行中이 四ㅣ니 一은 擧意標數ㅣ오 二 觀網交羅ㅣ오 三은 結成正因이오 四 摠示修習이라 今初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正히 주001)
정(正)히:
올바로. 올바르게. 말이나 생각, 행동 따위가 이치나 규범에서 벗어남이 없이 옳고 바르게. ¶正遍知 正히 초 아실씨라(석상9:3ㄱ).
니샨 長行 주002)
장행(長行):
산문체의 긴 경문(經文). 운문인 게송(偈頌)과 대립 개념으로 사용됨.
中이 네히니 나 들 드르

원각경언해 하2의2:4ㄴ

주003)
드르샤:
드시어. 들어 올리시어. 아래에 있는 것을 위로 올리시어. 들-[擧]+으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 ‘시’의 이형태) +아(어미).
數숭 標샤미오 둘흔 觀관 주004)
관(觀):
온갖 현상을 전체적이고 객관적으로 관찰하며 판단하여 스스로 대처하는 것.
그므리 주005)
그므리:
그물이. 그믈[網]+이(주격조사). ‘그믈〉그물’로 원순모음화한 것은 주해천자문(1752)을 포함해 18세기 후반 문헌부터 증가하기 시작함. ¶羅그물 라(주해천자21ㄴ).
서르 버러쇼미오 주006)
버러쇼미오:
벌여 있음이고. 나열해 있는 것이고. 벌-[羅]+어(어미)#시-[有]+옴(명사형)+이(서술격)+오(연결어미 ‘고’의 이형태). ‘시-’는 ‘이시-’의 이형태로서 ① 이시-: 모음 앞에서, ② 잇-: 자음 어미 앞에서, ③ 시-: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 또는 부사 ‘마니’의 뒤에서 실현된다.
세흔 正因 結야 일우샤미오 주007)
일우샤미오:
이루어지게 하심이고. 일우-[使成]+샤(주체높임 ‘시’의 이형태)+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오(연결어미 ‘고’의 이형태).
네흔 修習씹을 뫼화 뵈샤미라 이제 처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올바르게 말씀하신 긴 경문(經文)이 넷인데, 하나는 뜻을 일으키시어 수(數)를 표(標)하신 것이고, 둘은 관(觀)의 그물이 서로 벌여 있음이고, 셋은 정인(正因) 주008)
정인(正因):
물(物)·심(心)의 여러 법을 내는 직접적인 원인. 부처가 될 바른 원인. 바른 법을 발생시키는 원인.
을 결정하여 맺어 이루어지게 하심이고, 넷은 수습(修習
닦고 익힘
)을 모아 보이시는 것이다. 지금 것은 처음의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정(正)히:올바로. 올바르게. 말이나 생각, 행동 따위가 이치나 규범에서 벗어남이 없이 옳고 바르게. ¶正遍知 正히 초 아실씨라(석상9:3ㄱ).
주002)
장행(長行):산문체의 긴 경문(經文). 운문인 게송(偈頌)과 대립 개념으로 사용됨.
주003)
드르샤:드시어. 들어 올리시어. 아래에 있는 것을 위로 올리시어. 들-[擧]+으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 ‘시’의 이형태) +아(어미).
주004)
관(觀):온갖 현상을 전체적이고 객관적으로 관찰하며 판단하여 스스로 대처하는 것.
주005)
그므리:그물이. 그믈[網]+이(주격조사). ‘그믈〉그물’로 원순모음화한 것은 주해천자문(1752)을 포함해 18세기 후반 문헌부터 증가하기 시작함. ¶羅그물 라(주해천자21ㄴ).
주006)
버러쇼미오:벌여 있음이고. 나열해 있는 것이고. 벌-[羅]+어(어미)#시-[有]+옴(명사형)+이(서술격)+오(연결어미 ‘고’의 이형태). ‘시-’는 ‘이시-’의 이형태로서 ① 이시-: 모음 앞에서, ② 잇-: 자음 어미 앞에서, ③ 시-: 모음 앞이되 연결어미 ‘-어/아, -고’ 또는 부사 ‘마니’의 뒤에서 실현된다.
주007)
일우샤미오:이루어지게 하심이고. 일우-[使成]+샤(주체높임 ‘시’의 이형태)+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오(연결어미 ‘고’의 이형태).
주008)
정인(正因):물(物)·심(心)의 여러 법을 내는 직접적인 원인. 부처가 될 바른 원인. 바른 법을 발생시키는 원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