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⑥ (사마타와 삼마발제를 동시)-선나 1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⑥ (사마타와 삼마발제를 동시)-선나 1


【경】 若諸菩薩이 以至靜力으로 資發變化고

다가 諸졍菩뽕薩이 至징極끅 靜 히므로  變변化황 주001)
변화(變化):
여러 가지로 모습으로 바꿔서 나타내는 것. 형태와 모양이 갖가지로 변하는 것.
도아 주002)
도아:
도와. 어간 ‘돕-’[資助]에 어미 ‘아’가 통합한 활용형 중의 하나. 정음 초기 관판문헌에는 ‘도’로 표기되었으나, 능엄경언해(1461)부터는 ‘도아/도와’ 2가지 활용형이 나타난다. ¶여듧가짓 일로 도 일울(석상9:18ㄱ). 智와로 도와(원각, 상1-2:118). 實로 서르 도아 發샨 젼로(법화1:14). 오늘날 경상도 방언에서 유일하게 ‘ㅂ’불규칙활용을 하는 용언이다. 그러나 함경북도 육진 방언에서는 ‘도바’로 규칙활용을 한다.
發고

만약에 보살들이 지극히 고요한 힘으로써 변화(變化)를 도와 일으키고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2의2:22ㄱ

齊標靜幻시니 以至靜力으로 資助策發變化之力샤 以度衆生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靜과 幻과 기 標시니 至징極끅 靜 히므로 變변化황ㅅ 히믈 도아 주003)
채:
채찍[鞭]. 한자 ‘策’에 대한 번역은 ‘채 텨’에 해당하며, ‘채[鞭]#티-[策]+어(어미)’로 분석된다. ¶채 爲鞭(정음해례:용자).  채 텨 뵈시니[策馬以示](용가36).
텨 發샤 衆生 度똥샤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정(靜)과 환(幻)을 가지런히 표(標)를 하시니, 지극히 고요한 힘으로써 변화의 힘을 도와 채찍을 쳐 일으키시어 중생을 제도하시는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변화(變化):여러 가지로 모습으로 바꿔서 나타내는 것. 형태와 모양이 갖가지로 변하는 것.
주002)
도아:도와. 어간 ‘돕-’[資助]에 어미 ‘아’가 통합한 활용형 중의 하나. 정음 초기 관판문헌에는 ‘도’로 표기되었으나, 능엄경언해(1461)부터는 ‘도아/도와’ 2가지 활용형이 나타난다. ¶여듧가짓 일로 도 일울(석상9:18ㄱ). 智와로 도와(원각, 상1-2:118). 實로 서르 도아 發샨 젼로(법화1:14). 오늘날 경상도 방언에서 유일하게 ‘ㅂ’불규칙활용을 하는 용언이다. 그러나 함경북도 육진 방언에서는 ‘도바’로 규칙활용을 한다.
주003)
채:채찍[鞭]. 한자 ‘策’에 대한 번역은 ‘채 텨’에 해당하며, ‘채[鞭]#티-[策]+어(어미)’로 분석된다. ¶채 爲鞭(정음해례:용자).  채 텨 뵈시니[策馬以示](용가36).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