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서문
메뉴닫기 메뉴열기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서문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2의2:1ㄱ

自此야 第二明單複修習이니 文이 四ㅣ니 初三之初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이브터 第똉二 單단과 復복괏 닷가 주001)
닷가:
닦아[修]. ‘다’(석상13:20)로도 표기함. 두 표기 모두 발음에 큰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이표기(異表記)가 가능했을 것이다. 닷가[tatˀka]≈다[takˀa]. 어간 ‘-’에 어미 ‘-아’가 결합한 것을 음절화한 표기이다.
니교 주002)
니교:
익힘[習]을. 어근 ‘닉-’[熟]에 사동접미사 ‘-이-’가 결합한 사동사 ‘니기-’에 명사형어미 ‘옴’과 목적격조사 ‘’의 통합형.
기샤미니 주003)
기샤미니:
밝히심이니, 밝히신 것이니. -[明]+이(사동접미사)+샤(주체높임법 선어말 ‘시’의 이형태)+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어미).
文문이 네히니 주004)
네히니:
넷이니[四]. 오늘날 ‘네·넷’이 중세 및 근대국어에서는 조사가 결합할 때 ‘네ㅎ[四]’처럼 ‘ㅎ’이 종성으로 실현되었다. ‘ㅎ’종성체언 또는 ‘ㅎ’곡용어라 한다.
첫 세헷 처미라 주005)
처미라:
처음이다. ‘처[初]’은 ‘첫/’에 접미사 ‘엄’이 결합한 파생명사. ‘처엄’(번소9:43)을 거쳐 오늘날과 같은 ‘처음’(마경, 상6ㄴ)으로 바뀌어 감. ‘처엄〉처음’은 유추적 변화.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여기부터 제2에서 단수(單數
)와 복수(複數
)로 닦아 익힘을 밝히신 것인데, 문이 넷이니 〈이것은〉 처음의 셋 가운데 처음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닷가:닦아[修]. ‘다’(석상13:20)로도 표기함. 두 표기 모두 발음에 큰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이표기(異表記)가 가능했을 것이다. 닷가[tatˀka]≈다[takˀa]. 어간 ‘-’에 어미 ‘-아’가 결합한 것을 음절화한 표기이다.
주002)
니교:익힘[習]을. 어근 ‘닉-’[熟]에 사동접미사 ‘-이-’가 결합한 사동사 ‘니기-’에 명사형어미 ‘옴’과 목적격조사 ‘’의 통합형.
주003)
기샤미니:밝히심이니, 밝히신 것이니. -[明]+이(사동접미사)+샤(주체높임법 선어말 ‘시’의 이형태)+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어미).
주004)
네히니:넷이니[四]. 오늘날 ‘네·넷’이 중세 및 근대국어에서는 조사가 결합할 때 ‘네ㅎ[四]’처럼 ‘ㅎ’이 종성으로 실현되었다. ‘ㅎ’종성체언 또는 ‘ㅎ’곡용어라 한다.
주005)
처미라:처음이다. ‘처[初]’은 ‘첫/’에 접미사 ‘엄’이 결합한 파생명사. ‘처엄’(번소9:43)을 거쳐 오늘날과 같은 ‘처음’(마경, 상6ㄴ)으로 바뀌어 감. ‘처엄〉처음’은 유추적 변화.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