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가) 3관을 홑으로 닦는 방법 세 가지 9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가) 3관을 홑으로 닦는 방법 세 가지 9


【경】 煩惱ㅣ 斷盡야 便證實相면

煩뻔惱ㅣ 그처 다아 곧 實相 주001)
실상(實相):
진실 자체의 모습. 있는 그대로의 존재의 진실한 모습. 존재의 본성. 불변의 이치. 진리. 진여(眞如).
 證면

번뇌(煩惱)가 끊어져 다하여 곧 실상(實相)을 증(證)하면[=깨달으면]

【종밀주석】 但與靈心과 相應먼 煩惱ㅣ 自無所有리니 無所有處ㅣ 卽爲證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오직 靈 과 서르 應면 煩뻔惱 주002)
번뇌(煩惱):
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노여움이나 욕망 따위의 망념(妄念). 심신을 괴롭히고 번거롭게 만드는 정신 작용의 총칭. 탐욕[貪]과 화냄[嗔]과 어리석음[癡]의 삼독(三毒)에 만(慢=교만함), 의(疑=의심), 악견(惡見=그릇된 견해)을 추가한 6종을 근본번뇌(根本煩惱)라고 한다.
ㅣ 제 이숄 주003)
이숄:
있어야 할. 있을. 이시-[有]+오(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곧 업스리니 이숄 곧 업슨 고디 주004)
곧:
곳. 바[所]. 것[處]. 의존명사. 원각경언해(1465) 이전 문헌에서는 관형사형어미 ‘-ㄹ’과 체언(무성평음인 초성)이 통합할 때에는 대개 2가지 방식으로 표기되었다. ① -ㄹ#꼳/껏/쭐, ② -ㅭ#곧/것/줄. 이 문헌부터 각자병서(ㄲ, ㄸ, ㅃ, ㅆ, ㅉ)와 ‘ㆆ’의 폐지로 ‘이숄 곧’처럼 표기하게 되었다.
證호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오직 신령한 마음과 서로 응(應)하면 번뇌(煩惱)가 스스로 있어야 할 곳이 없을 것이니, 있어야 할 곳이 없는 것이 곧 〈진리를〉 깨닫는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실상(實相):진실 자체의 모습. 있는 그대로의 존재의 진실한 모습. 존재의 본성. 불변의 이치. 진리. 진여(眞如).
주002)
번뇌(煩惱):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노여움이나 욕망 따위의 망념(妄念). 심신을 괴롭히고 번거롭게 만드는 정신 작용의 총칭. 탐욕[貪]과 화냄[嗔]과 어리석음[癡]의 삼독(三毒)에 만(慢=교만함), 의(疑=의심), 악견(惡見=그릇된 견해)을 추가한 6종을 근본번뇌(根本煩惱)라고 한다.
주003)
이숄:있어야 할. 있을. 이시-[有]+오(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주004)
곧:곳. 바[所]. 것[處]. 의존명사. 원각경언해(1465) 이전 문헌에서는 관형사형어미 ‘-ㄹ’과 체언(무성평음인 초성)이 통합할 때에는 대개 2가지 방식으로 표기되었다. ① -ㄹ#꼳/껏/쭐, ② -ㅭ#곧/것/줄. 이 문헌부터 각자병서(ㄲ, ㄸ, ㅃ, ㅆ, ㅉ)와 ‘ㆆ’의 폐지로 ‘이숄 곧’처럼 표기하게 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