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가) 3관을 홑으로 닦는 방법 세 가지 8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가) 3관을 홑으로 닦는 방법 세 가지 8


【경】

원각경언해 하2의2:12ㄱ

獨斷煩惱야

오 煩뻔惱 그처

혼자 번뇌(煩惱)를 끊어

【종밀주석】 獨者 不假諸行也ㅣ니 正是絶待之義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오 주001)
오:
혼자. 홀로. 다른 사람과 어울리거나 함께 하지 않고 홀로인 상태. 용비어천가(1445~1447)에는 ‘’였던 것이 석보상절(1447)부터는 ‘오’로 바뀜. 16세기 문헌에는 ‘호, 호은자, 호온자’ 형도 나타남. ¶스 軍馬 이길  믈리조치샤(용가37). 사 믈리시고 오 기픈 道理 더시니(석상3:19ㄴ). 叔咸이 호셔 侍病며 어 大便을 맛보니 더니(속삼, 효22ㄱ). 내 호은자 아도 이긔요리라(박초, 상55ㄱ). 덕기 호온자 아니라 모 이우지 잇니라 (정속13ㄴ).
호 諸졍行 븓디 주002)
븓디:
붙지. 의지하지. 생활 같은 것을 남에게 기대지. ~을 좇아 따르지.
아니호미니 正히 이 待 주003)
대(待):
대상. 절대(絶待)에서 ‘待’는 대상(對象). ‘절대’ 즉 ‘대를 끊었다’ 함은 일체의 번뇌와 망상이 사라진 자리미며, 아상(我相)·인상(人相)·중생상(衆生相)·수자상(壽者相)이 끊어진 자리이며, 일체의 법상(法相)과 비법상(非法相)마저도 끊어진 자리, 본래의 내 마음 자리에 돌아가 있는 상태.
그츤 디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혼자 〈번뇌를 끊는다는 것은〉 모든 행(行)에 기대지[=의거하지] 아니한다는 것이니 정(正)히 이것은 대(待=대상)가 끊어졌다는 뜻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오:혼자. 홀로. 다른 사람과 어울리거나 함께 하지 않고 홀로인 상태. 용비어천가(1445~1447)에는 ‘’였던 것이 석보상절(1447)부터는 ‘오’로 바뀜. 16세기 문헌에는 ‘호, 호은자, 호온자’ 형도 나타남. ¶스 軍馬 이길  믈리조치샤(용가37). 사 믈리시고 오 기픈 道理 더시니(석상3:19ㄴ). 叔咸이 호셔 侍病며 어 大便을 맛보니 더니(속삼, 효22ㄱ). 내 호은자 아도 이긔요리라(박초, 상55ㄱ). 덕기 호온자 아니라 모 이우지 잇니라 (정속13ㄴ).
주002)
븓디:붙지. 의지하지. 생활 같은 것을 남에게 기대지. ~을 좇아 따르지.
주003)
대(待):대상. 절대(絶待)에서 ‘待’는 대상(對象). ‘절대’ 즉 ‘대를 끊었다’ 함은 일체의 번뇌와 망상이 사라진 자리미며, 아상(我相)·인상(人相)·중생상(衆生相)·수자상(壽者相)이 끊어진 자리이며, 일체의 법상(法相)과 비법상(非法相)마저도 끊어진 자리, 본래의 내 마음 자리에 돌아가 있는 상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