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1
  • 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 4. 수행에는 크게 세 종류의 관법이 있음
  • 다) 선나 : 일체를 초월하여 원각성과 하나 되는 관찰 수행 12
메뉴닫기 메뉴열기

다) 선나 : 일체를 초월하여 원각성과 하나 되는 관찰 수행 12


【경】 無礙境야

룜 업슨 境을 건너 디나 得득야

걸림 없는 경계를 건너 지남을 득하여

【종밀주석】 前取靜은 同於涅槃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2의1:41ㄱ

알 靜을 取츙호 涅槃빤 주001)
열반(涅槃):
탐(貪)·진(瞋)·치(痴) 3가지 독심(毒心)을 끊고, 고요해진 평정의 경지. 깨달음을 얻어 해탈한 경지. 3독심이 성한 중생의 마음은 마치 불길에 휩싸여 있는 것과 같지만, 깨달음을 얻어서 해탈한 마음은 번뇌의 불꽃이 모두 사그라진 재와 같아서, 오로지 기쁨과 즐거움으로 가득하게 된다.
애 니라䟽송 주002)
소(䟽):
경전이나 논서(論書)의 글귀를 풀이하여 놓은 글.
中에 세 들 머구머 룜과 룜 업수믈 사기니 나 처 靜을 取츙홈과 버거 幻 주003)
환(幻):
환영(幻影). 허깨비. 사물의 실체가 아니지만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것.

원각경언해 하2의1:41ㄴ

니르왇 주004)
니르왇:
일으키는. 니르왇-[起]+(관형사형어미). ‘-왇-’은 강조[힘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서 능엄경언해(1461) 이전에는 ‘-/왇-’형이 공존하였다. ¶恢復 도로 니씨라(삼강, 충22). 起 니와씨오(월석2:14).
두 門몬을 건너니 幻 니르와도 境 緣야 료미 외오 靜은 緣홈 업서 룜 업수미 외니 그럴 上文문에 니샤 幻化황와 한 靜相 取츙티 아니타 샤미라 둘흔 煩뻔惱와 涅槃빤 건너미니 煩뻔惱 여 료미 외오 涅槃빤 解脫 주005)
해탈(解脫):
진실을 깨달음. 번뇌 속박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곳에 이른 상태. 미혹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완전한 정신적 자유를 얻음. 고뇌의 세계로부터 해방된 평안한 상태. 15세기 관판 문헌에는 정음 창제 이후 1485년에 간행된 자료까지 동국정운 한자음을 사용했는데, 불교 관련 용어는 3차에 걸쳐 수정되었다. ① 제1기 문헌(1447~1462): 解脫[:갱·], ② 제2기 문헌(1463~1467): [:··], ③ 제3기 문헌(1482~1485): [:갱·]. 이와 같이 한자음이 수정된 용어로는 ‘般若, 阿耨多羅三藐三菩提, 阿難’ 등이 있다.
야 룜 업수미 외니 그럴 下文문에 니샤 煩뻔惱 涅槃빤이 서르 리디 아니타 샤미라 세흔 身신心심 塵띤域 等이 다 일후미 료미니 다가 로 여희면 일후미 룜 업수미니 이제 다 그리 아니 다 여희니 그럴 니샤 건너 디나미라 幻 니르와돔과 煩뻔惱 뫼화  들 삼고 靜 取츙홈과 涅槃빤을 뫼화  들 사마  對됭 사니 곧 웃 句궁中엣 涉쎱字와 아랫 句

원각경언해 하2의1:42ㄱ

궁中엣 同字ㅣ 이 그 디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앞에서 말한 정(靜=고요함)을 취함은 열반(涅槃)과 같은 것이다.【소(疏) 가운데에 세 가지 뜻을 머금어[=포함하여] 걸림[礙]과 걸림 없음을 새겼으니, 하나는 처음은 정(靜=고요함)을 취함과 다음으로 환(幻)을 일으키는 두 관문(觀門)을 건너니 환(幻)을 일으키는 것은 경계에 인연을 맺어 걸림이 되고 정(靜=고요함)은 인연 맺음이 없어 걸림 없음이 되니라. 그러므로 위의 글에서 이르시되 환화(幻化)와 온갖 정상(靜相=고요한 모습)을 취하지 아니한다고 하신 것이다. 둘은 번뇌(煩惱)와 열반(涅槃)을 건너는 것이니 번뇌는 매여 걸림이 되고 열반은 해탈(解脫)하여 걸림 없음이 되니, 그러므로 아래의 글에 이르시길 번뇌와 열반이 서로 걸리지 않는다고 하신 것이다. 셋은 신심(身心)과 진역(塵域) 등 이름이 모두 걸림이니, 만약에 마음으로 여의면[=끊으면] 이름이 걸림 없음이라고 하니, 이제 모두 그렇게 아니하므로 모두 여읜 것이니 그러므로 건너 지났다고 이르시니라. 환(幻)을 일으킴과 번뇌(煩惱)를 모아 하나의 뜻을 삼고, 정(靜=고요함)을 취함과 열반을 모아 하나의 뜻을 삼아 하나의 상대를 삼으니 〈이것은〉 곧 위의 글귀 중에 ‘섭(涉=건너다)’ 자와 아래의 글귀 중에 ‘동(同=같다)’ 자가 그 뜻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열반(涅槃):탐(貪)·진(瞋)·치(痴) 3가지 독심(毒心)을 끊고, 고요해진 평정의 경지. 깨달음을 얻어 해탈한 경지. 3독심이 성한 중생의 마음은 마치 불길에 휩싸여 있는 것과 같지만, 깨달음을 얻어서 해탈한 마음은 번뇌의 불꽃이 모두 사그라진 재와 같아서, 오로지 기쁨과 즐거움으로 가득하게 된다.
주002)
소(䟽):경전이나 논서(論書)의 글귀를 풀이하여 놓은 글.
주003)
환(幻):환영(幻影). 허깨비. 사물의 실체가 아니지만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것.
주004)
니르왇:일으키는. 니르왇-[起]+(관형사형어미). ‘-왇-’은 강조[힘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서 능엄경언해(1461) 이전에는 ‘-/왇-’형이 공존하였다. ¶恢復 도로 니씨라(삼강, 충22). 起 니와씨오(월석2:14).
주005)
해탈(解脫):진실을 깨달음. 번뇌 속박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곳에 이른 상태. 미혹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완전한 정신적 자유를 얻음. 고뇌의 세계로부터 해방된 평안한 상태. 15세기 관판 문헌에는 정음 창제 이후 1485년에 간행된 자료까지 동국정운 한자음을 사용했는데, 불교 관련 용어는 3차에 걸쳐 수정되었다. ① 제1기 문헌(1447~1462): 解脫[:갱·], ② 제2기 문헌(1463~1467): [:··], ③ 제3기 문헌(1482~1485): [:갱·]. 이와 같이 한자음이 수정된 용어로는 ‘般若, 阿耨多羅三藐三菩提, 阿難’ 등이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