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1) 본래는 닦을 게 없으나 방편은 여럿 1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본래는 닦을 게 없으나 방편은 여럿 1


【경】 善男子아 一切如來ㅅ 圓覺이 淸淨야 本無修習과 及修習者ㅣ언마

善쎤男남子아 一切촁 如來ㅅ 圓覺각이 淸淨야 本본來 修習씹과 修習씹리왜 주001)
수습(修習)리왜:
닦고 익힐 사람이. 수습할 사람이. 수습(修習)은 부처의 경지에 근접해가는 본격적인 수행 과정. 중세국어에는 체언이 접속조사 ‘와/과’로 이어질 때 마지막 체언 뒤에 ‘와/과’가 붙고 다시 조사(격조사는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가 붙는 것이 원칙이었다. ¶모 사과 六師왜 보고(석상6:30ㄱ). 누른 믈와 거품과 나면(구간6:56ㄱ).
업건마 주002)
업건마:
없건마는. ‘-건마’은 앞 절의 사태가 어떠하므로 뒤 절의 사태가 이럴 것이 기대되는데도 그렇지 못함을 나타내는 어미구조체. 15세기 문헌에는 ‘마’이 일반적이며, 임진란 전에 ‘마’형으로 일반화해감. ¶엇디 사이 업스리오마 이제 누의 나히 늙고 나도 늙그니(번소9:79ㄱ).

선남자여. 일체 여래의 원각(圓覺)은 청정하여 본래 닦아 익힐 것과 닦아 익힐 사람이 없건마는

【종밀주석】 明所依之本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브튼 根本본 기샤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의거한 근본을 밝히신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수습(修習)리왜:닦고 익힐 사람이. 수습할 사람이. 수습(修習)은 부처의 경지에 근접해가는 본격적인 수행 과정. 중세국어에는 체언이 접속조사 ‘와/과’로 이어질 때 마지막 체언 뒤에 ‘와/과’가 붙고 다시 조사(격조사는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가 붙는 것이 원칙이었다. ¶모 사과 六師왜 보고(석상6:30ㄱ). 누른 믈와 거품과 나면(구간6:56ㄱ).
주002)
업건마:없건마는. ‘-건마’은 앞 절의 사태가 어떠하므로 뒤 절의 사태가 이럴 것이 기대되는데도 그렇지 못함을 나타내는 어미구조체. 15세기 문헌에는 ‘마’이 일반적이며, 임진란 전에 ‘마’형으로 일반화해감. ¶엇디 사이 업스리오마 이제 누의 나히 늙고 나도 늙그니(번소9:79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