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⑥ (사마타와 삼마발제를 동시)-선나 2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⑥ (사마타와 삼마발제를 동시)-선나 2


【경】 後斷煩惱면

後에 煩뻔惱 그츠면

나중에 번뇌(煩惱)를 그치면[=끊으면]

【종밀주석】 兼寂이라 前에 二利ㅣ 備故로 入中道ㅣ라 此ㅣ 與前과 異니 前은 則靜이 獨爲初고 後에 始兼寂幻이오 此 則靜與幻이 齊爲初

원각경언해 하2의2:22ㄴ

고 後에 始單兼於寂일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2의2:22ㄴ

寂쪅을 兼겸샤미라 주001)
겸(兼)샤미라:
겸(兼)하신 것이다. 곁들이신 것이다. ‘겸하다’는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함께 지니다”는 뜻. ‘곁들이다’는 “주로 하는 일 외에 다른 일을 겸하여 하다”는 뜻.
알 두 利링 실 中道 주002)
중도(中道):
유(有)·공(空)의 어느 것에도 치우치지 않는 진실한 도리.
애 드르샤미라 이 앏과 주003)
앏과:
앞과. ‘앏’은 ‘앒’에서 ‘ㄿ’을 8종성가족용법에 따라서 ‘ㅍ’과 동일 서열의 전청자 ‘ㅂ’으로 표기한 것이다. ‘앒〉앞’과 같은 변화는 소학언해(1586)에 처음 보인다. ¶아프로 옷기슬 긔고 뒤후로 옷기 잇그러[前襟後裾야](5:70ㄴ).
다니 알 靜이 오 주004)
오:
혼자. 15, 16세기 문헌에서 용비어천가(1445~1447)에는 ‘’(38장), 그 이후 문헌에는 ‘오’, 속삼강행실도(1514)에는 ‘호’(효22), 번역박통사에(1517년 이전)는 ‘호은자’(상55) 등이 사용되었다.
처 외오 後에 비르서 寂쪅과 幻과 兼겸호미오 이 靜과 幻괘 기 처 외오 後에 비르서 주005)
비르서:
비로소. 어느 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던 사태가 이루어지거나 변화하기 시작하여. ‘비르서’가 가장 일반적이고, 이 밖에 비르수(두초6:22ㄴ)·비루수(두초7:23ㄴ)·비르소(몽산33ㄴ, 두초8:18ㄱ) 등이, 16세기에는 ‘비루소’(번소8:24)도 쓰였다.
寂쪅을 單단히 兼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위에서 닦는 관법은〉 적(寂)을 겸하신[=곁들이신] 것이다. 앞에 두 가지 이로움이 갖추어지신 것이므로 중도(中道)에 들어가신 것이다. 이것은 앞과 다르니 앞은 정(靜)이 혼자 처음이 되고 뒤에 비로소 적(寂)과 환(幻)을 겸하는 것이고, 이것은 정(靜)과 환(幻)이 가지런히 처음이 되는 것이고 뒤에 비로소 적(寂)을 단 하나로 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겸(兼)샤미라:겸(兼)하신 것이다. 곁들이신 것이다. ‘겸하다’는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함께 지니다”는 뜻. ‘곁들이다’는 “주로 하는 일 외에 다른 일을 겸하여 하다”는 뜻.
주002)
중도(中道):유(有)·공(空)의 어느 것에도 치우치지 않는 진실한 도리.
주003)
앏과:앞과. ‘앏’은 ‘앒’에서 ‘ㄿ’을 8종성가족용법에 따라서 ‘ㅍ’과 동일 서열의 전청자 ‘ㅂ’으로 표기한 것이다. ‘앒〉앞’과 같은 변화는 소학언해(1586)에 처음 보인다. ¶아프로 옷기슬 긔고 뒤후로 옷기 잇그러[前襟後裾야](5:70ㄴ).
주004)
오:혼자. 15, 16세기 문헌에서 용비어천가(1445~1447)에는 ‘’(38장), 그 이후 문헌에는 ‘오’, 속삼강행실도(1514)에는 ‘호’(효22), 번역박통사에(1517년 이전)는 ‘호은자’(상55) 등이 사용되었다.
주005)
비르서:비로소. 어느 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던 사태가 이루어지거나 변화하기 시작하여. ‘비르서’가 가장 일반적이고, 이 밖에 비르수(두초6:22ㄴ)·비루수(두초7:23ㄴ)·비르소(몽산33ㄴ, 두초8:18ㄱ) 등이, 16세기에는 ‘비루소’(번소8:24)도 쓰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