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1
  • 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 4. 수행에는 크게 세 종류의 관법이 있음
  • 4-2) 세 종류의 관찰하는 수행 가) 사마타 : 일체의 이미지를 없애 정신을 맑히는 관찰 수행 6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세 종류의 관찰하는 수행 가) 사마타 : 일체의 이미지를 없애 정신을 맑히는 관찰 수행 6


【경】 靜慧ㅣ 發生야

靜慧ㅣ 發야 나

정혜(靜慧=고요한 지혜)가 피어 나와서

【종밀주석】 由前念澄覺識야 慧性이 開明시니 因靜生慧故로 云靜慧오 比隱今顯故로 云發生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알 念념이 가 識식 아로 브터 慧性 주001)
혜성(慧性):
지혜의 특성. 지혜 쪽에 기울어져 있는 근기(근성).
이 여러 시니 靜을 因야 慧 날 니샤 靜慧오 아 주002)
아:
전에. 과거에. 일찍이. [:아·]와 [:아·래]는 같은 의미로 쓰였으나, [아·래]는 [下]의 뜻으로 변별되었다. ¶아 드렛던(월석21:120ㄴ). 千載 아래 盛德을 니(용가76). 이 나모 아래 金剛座ㅣ라 니(석상3:41ㄴ).
수멧다가 주003)
수멧다가:
숨어 있다가. 숨-[隱]+어#잇-[在]+다가. 15세기 문헌에는 결과의 지속을 나타내는 ‘-아/어#잇-’형과 축약형 ‘-앳/엣-’형, 그리고 이것이 문법화한 ‘-앗/엇-’형이 공존했다. ¶오 안자 잇더시니(월석1:6ㄱ). 精舍애 안잿더시니(월곡3). 누른 새 와 안잣고 (두초25:19ㄱ). 즈믄  누늘 머것고(두초25:20ㄴ).
이제 나 니샤 發야 나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앞에서 생각이 맑아 식(識=의식)을 앎[=깨달음]으로 말미암아 혜성(慧性)이 열리어 밝으시니, 정(靜=고요함)으로 인하여 지혜가 생겨나므로 정혜(靜慧=고요한 지혜)라 말씀하시고, 전에[=일찍이] 숨어 있다가 지금 나타나므로 ‘피어 나온 것’이라고 말씀하시니라.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혜성(慧性):지혜의 특성. 지혜 쪽에 기울어져 있는 근기(근성).
주002)
아:전에. 과거에. 일찍이. [:아·]와 [:아·래]는 같은 의미로 쓰였으나, [아·래]는 [下]의 뜻으로 변별되었다. ¶아 드렛던(월석21:120ㄴ). 千載 아래 盛德을 니(용가76). 이 나모 아래 金剛座ㅣ라 니(석상3:41ㄴ).
주003)
수멧다가:숨어 있다가. 숨-[隱]+어#잇-[在]+다가. 15세기 문헌에는 결과의 지속을 나타내는 ‘-아/어#잇-’형과 축약형 ‘-앳/엣-’형, 그리고 이것이 문법화한 ‘-앗/엇-’형이 공존했다. ¶오 안자 잇더시니(월석1:6ㄱ). 精舍애 안잿더시니(월곡3). 누른 새 와 안잣고 (두초25:19ㄱ). 즈믄  누늘 머것고(두초25:20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