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1
  • 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 4. 수행에는 크게 세 종류의 관법이 있음
  • 나) 삼마발제 : 자성 없는 법으로 번뇌를 녹이는 관찰 수행 8
메뉴닫기 메뉴열기

나) 삼마발제 : 자성 없는 법으로 번뇌를 녹이는 관찰 수행 8


【종밀주석】 四 簡濫이오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네흔 외요 주001)
외요:
그름을. 잘못됨을. 외-[非]+욤(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올니 외니 이시면 어즈러워 (능엄2:59ㄱ).
샤미오 주002)
샤미오:
가리시는 것이고. 분간하시는 것이고. -[辨]+샤(‘시’의 이형태)+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오(연결어미 ‘고’의 ‘j’ 뒤에서의 이형태). 어간 ‘-’는 근대국어 시기에는 ‘희-’로도 쓰였으며, 유성음 사이에서 ‘ㅎ’이 약화되고 다시 ‘~릐〉가리’처럼 단모음화와 아래아(ㆍ)의 비음운화에 따라 ‘가리-’로 정착되었다.
【외요 샤 能治띵 주003)
능치(能治):
불선(不善)을 고치고 바로잡는 주체(主體). 대개는 번뇌에 빠진 중생을 깨닫게 해주는 사람을 일컫는다.
와 所송治띵왜 다 이 幻化황 주004)
환화(幻化):
실체가 없는 것이 현재 있는 것처럼 환술로 만들어내는 것.
  듣고 닐오 幻智딩도  凡뻠識식과 니라 가 저흐실 첫 두 句궁에 샤 데 니샤 幻 주005)
환(幻):
환영(幻影). 허깨비. 헛것. 사물의 실체가 아닌 것. 참된 것이 아니고 거짓된 것. 환을 진짜로 생각하는 것은 범부의 생각이며, 중생심은 모두 환(幻)이다.
보 智딩ㄹ 일후

원각경언해 하2의1:31ㄴ

미 幻智딩 디위 智딩體톙 이 幻 아니라 그럴 알 니샤 幻 알면 곧 여희요미라 니시니라  能히 보미 幻 아니리 샤 듣고 주006)
듣고:
듣고. 여기서 ‘’은 객체(客體)에 대한 존대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음운환경에 따라 여러 이형태가 있음. ① ‘--’은 선행 용언의 어간 말음이 ‘ㄷ, ㅈ, ㅊ’이며 자음 어미 앞에서, ② ‘--’은 어간 말음이 모음이거나 ‘ㄴ, ㄹ(ㄹ탈락), ㅁ’이며 자음 어미 앞에서, ③ 그 밖의 자음 뒤이며 자음 어미 앞에서는 ‘--’으로 표기되었다. 이 선어말어미 뒤에 모음 어미나 매개모음을 가지는 어미가 통합될 때는 각각 ‘, , ’으로 교체 표기되었다. ¶① 일후믈 듣(석상9:20ㄴ), ② 韋提 希願 (월석8:1ㄴ), 婇女히 太子 드(석상3:24ㄱ), ③ 臥龍이 돕니(용가29).
곧 혜요 能히 보 相이 잇니라 가 저흐실 後ㅅ 두 句궁에  이 외요 시니 닐오 다가 能히 幻 正히 볼 時씽節에 所송觀관이 體톙 어루 여희욜 것 업수미 곧 眞진理링며 能觀관이 各각別 能히 여희욤 업수미 곧 이 本본智딩 주007)
본지(本智):
궁극의 진리를 깨달은 지혜. 절대적인 지혜. 진여(眞如)에 계합(契合)하여 분별을 여의고 일체 현상의 본질이 평등하여 차별이 없다는 것을 아는 지(智).
ㄴ 알면 自然히 볼 時씽節에 곧 凡뻠迷몡의 幻境과 디 아니려니와 다가 所송觀관 주008)
소관(所觀):
보이는 것. 보고 느껴지는 것. 선정(禪定)으로 관조되는 대상.
이 이 幻이라 이 어루 여희욜 法법이오 내 能觀관智딩 뎌 幻 디 아니야 여희디 몯리니 내 能히 이티 고 한 迷몡닌 能히 몯리라 보아 다가 우  미 이시면 이 智딩 조차

원각경언해 하2의1:32ㄱ

 幻이 외리니 能觀관 주009)
능관(能觀):
보는 것. 보고 느끼는 것. 관조하는 주체(主體).
 相 取츙 젼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넷은 그릇된 것을 가리신 것이고【그릇된 것을 가리신다는 것은 능치(能治)와 소치(所治)가 모두 이것이 환화(幻化)인 것을 듣고, 이르되 환지(幻智)도 또 범식(凡識)과 같은 것이라고 할까 저어하시므로, 처음 두 구(句)에 가리시어 뜻으로 이르시길 환(幻)을 보는 지혜이므로 이름이 환지(幻智)이지 지체(智體=지혜의 본체) 이것은 환(幻)이 아니다. 그러므로 앞에서 이르시되 환(幻)을 알면 곧 여읨이라고 이르신 것이다. 또 능히 볼 수 있는 것은 환(幻)이 아니라 말씀하신 것을 듣고 곧 생각하길 능히 볼 수 있는 상(相)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할까 저어하시어 뒤의 두 구(句)에서 또 이것의 그릇됨을 가리신 것이니라. 이르되 만일 능히 환(幻)을 올바르게 볼 수 있을 때 에 소관(所觀=보이는 것)이 본체를 가히 여읠 것 없는 것이 곧 진리(眞理)이며 능관(能觀=보는 것)이 각별히 능히 여읨 없는 것이 곧 이것이 본지(本智=절대적인 지혜)인 것을 알면 자연스럽게 볼 때에 곧 범미(凡迷=범부와 미혹한 자)의 환(幻)의 경계와 같지 아니할 것이다. 만약에 소관(所觀) 이것이 환(幻)이라고 한다면, 이는 가히 여의어야 할 법(法)이고, 나의 능관(能觀)의 지혜는 저 〈사람의〉 환(幻)과 같지 않아서 여의지 못할 것이니 내 능히 이와 같이 하고 많은 미혹(迷惑)한 사람은 능히 〈하지〉 못하리라고. 보아, 만약에 위와 같은 마음이 있다면 이 지혜조차도 또한 환(幻)이 될 것이니, 〈그것은〉 능관(能觀)한 상(相=모양)을 취하였기 때문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외요:그름을. 잘못됨을. 외-[非]+욤(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올니 외니 이시면 어즈러워 (능엄2:59ㄱ).
주002)
샤미오:가리시는 것이고. 분간하시는 것이고. -[辨]+샤(‘시’의 이형태)+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오(연결어미 ‘고’의 ‘j’ 뒤에서의 이형태). 어간 ‘-’는 근대국어 시기에는 ‘희-’로도 쓰였으며, 유성음 사이에서 ‘ㅎ’이 약화되고 다시 ‘~릐〉가리’처럼 단모음화와 아래아(ㆍ)의 비음운화에 따라 ‘가리-’로 정착되었다.
주003)
능치(能治):불선(不善)을 고치고 바로잡는 주체(主體). 대개는 번뇌에 빠진 중생을 깨닫게 해주는 사람을 일컫는다.
주004)
환화(幻化):실체가 없는 것이 현재 있는 것처럼 환술로 만들어내는 것.
주005)
환(幻):환영(幻影). 허깨비. 헛것. 사물의 실체가 아닌 것. 참된 것이 아니고 거짓된 것. 환을 진짜로 생각하는 것은 범부의 생각이며, 중생심은 모두 환(幻)이다.
주006)
듣고:듣고. 여기서 ‘’은 객체(客體)에 대한 존대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음운환경에 따라 여러 이형태가 있음. ① ‘--’은 선행 용언의 어간 말음이 ‘ㄷ, ㅈ, ㅊ’이며 자음 어미 앞에서, ② ‘--’은 어간 말음이 모음이거나 ‘ㄴ, ㄹ(ㄹ탈락), ㅁ’이며 자음 어미 앞에서, ③ 그 밖의 자음 뒤이며 자음 어미 앞에서는 ‘--’으로 표기되었다. 이 선어말어미 뒤에 모음 어미나 매개모음을 가지는 어미가 통합될 때는 각각 ‘, , ’으로 교체 표기되었다. ¶① 일후믈 듣(석상9:20ㄴ), ② 韋提 希願 (월석8:1ㄴ), 婇女히 太子 드(석상3:24ㄱ), ③ 臥龍이 돕니(용가29).
주007)
본지(本智):궁극의 진리를 깨달은 지혜. 절대적인 지혜. 진여(眞如)에 계합(契合)하여 분별을 여의고 일체 현상의 본질이 평등하여 차별이 없다는 것을 아는 지(智).
주008)
소관(所觀):보이는 것. 보고 느껴지는 것. 선정(禪定)으로 관조되는 대상.
주009)
능관(能觀):보는 것. 보고 느끼는 것. 관조하는 주체(主體).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