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1) 본래는 닦을 게 없으나 방편은 여럿 3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본래는 닦을 게 없으나 방편은 여럿 3


【경】 爾時예 便有二十五種淸淨定輪니

그  곧 二十씹五種 淸淨 定輪륜 주001)
정륜(定輪):
선정(禪定)의 바퀴. ‘바퀴’[輪]는 어떤 목표에 도달하도록 굴러가게 하는 도구. 즉 원각(圓覺)에 이르도록 도와주는 선정(禪定)의 방편.
이 잇니

그 때에 곧 이십오종(二十五種)의 청정한 선정(禪定)의 바퀴가 있나니

【종밀주석】 輪者 摧輾義니 能摧惑障야 今正智로 轉故로 各爲輪이라

원각경언해 하2의2:5ㄴ

二 觀網交羅ㅣ니 於中에 三이니 初有三輪니 單修三觀이오 次有二十一輪니 交絡三觀이오 後有一輪니 圓修三觀이라 慤䟽ㅣ 於此二十五觀애 約喩야 各立一名니 今全用之노라 初中이 三이니 一은 澄渾息用觀이오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輪륜은 것거 그우리논 디니 能히 惑障 주002)
혹장(惑障):
의혹의 장애. 번뇌장(煩惱障)과 같은 말. 지적인 장애와는 구별하여 정서적이거나 도덕적인 장애를 가리킴.

원각경언해 하2의2:5ㄴ

것거 正智딩 주003)
정지(正智):
진리에 들어맞는 지혜. 궁극의 진리를 깨닫는 바른 지혜. 깨달음.
로 옮기게  일후미 輪륜이라

원각경언해 하2의2:6ㄱ

둘흔 觀관ㅅ 그므리 서르 버루미니 그 中에 세히니 처 三삼輪륜 주004)
삼륜(三輪):
3가지 방편. 사마타·삼마발제·선나의 3가지를 홑으로 닦는 것을 말한다.
이 잇니 三삼觀관 單단修호미오 버거 二十씹一輪륜이 잇니 三삼觀관 서르 니미오 後에 一輪륜이 잇니 三삼觀관 두려이 닷고미라 慤칵䟽송 주005)
각소(慤疏):
유각(惟慤)의 소(疏). 유각이 지은 ‘원각경’의 주석서. 원각경 제일의 주석가이며 유포자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것은 당나라 규봉 종밀(圭峰宗密)이며 그의 ‘대방광원각경대소’가 있는데, 육각의 ‘소’는 그보다 앞서 나온 주석서이다.
ㅣ 이 二十씹五觀관애 가뵤 주006)
가뵤:
비유(譬喩)함을. 비교함을. 어간 ‘가비-’는 “어떤 현상이나 사물을 직접 설명하지 아니하고 다른 비슷한 현상이나 사물에 빗대어 설명하다.”는 뜻.
자바 各각各각  일후믈 셰니 이제 오로 주007)
오로:
온전히. 올-[全]+오(부사 파생접사). 15세기 문헌들에는 [:오·로]≈[오··로]≈[오·오·로]형이 공존한다. ¶오··로(석상13:28). 오·오·로(두초21:11).
노라 처 中이 세히니 나 흐리닐 겨 用 주008)
용(用):
사물의 운용 및 활동. 작용.
 그친 觀관이오【흐리닐 교 가뵤 자바 니니 닐오 므레 듣글와 기 잇거든 모로매 겨 게 홀디니 매 煩

원각경언해 하2의2:6ㄴ

뻔惱ㅣ 자바 緣  흐리요미 잇거든  그리 홀디니라 用 그쵸 오직 한 境에 緣티 아니  아니라  用 니르와다 幻과 幻 아뇸 觀관察 주009)
관찰(觀察):
고찰하는 것. 숙고하는 것. 대상을 마음에 떠올려 자세하고 분명하게 생각하는 것. 판단.
아니호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윤(輪)은 꺾어 굴린다는 뜻이니, 능히 혹장(惑障)을 꺾어 정지(正智)로 옮기게 하므로 이름이 윤(輪)이다. 둘은 관(觀)의 그물이 서로 벌여 있는 것이니 그 가운데에 셋인데, 처음은 삼륜(三輪)이 있나니 삼관(三觀)을 단수(單修
홑으로 닦음
)하는 것이고, 다음으로 이십일륜(二十一輪)이 있나니 삼관(三觀)을 서로 잇는 것이고, 뒤에 일륜(一輪)이 있나니 〈그것은〉 삼관(三觀)을 원만하게 닦는 것이다. 각소(慤疏
유각의 ‘소’
)에 이 이십오관(二十五觀)에 비유함을 잡아서 각각 하나의 이름을 세우니 이제 온전히 〈그 이름을〉 사용하노라. 처음의 가운데가 셋인데, 하나는 흐린 것을 맑게 하여 용(用)을 그치게 한 관(觀)이고.【흐린 것을 맑게 한다는 것은 비유한 것을 잡아서 말하는 것이니, 말하되 물에 티끌과 흙이 있는데 모름지기 맑게 해야 할 것이니, 마음에 번뇌가 잡아 결과를 만드는 때[垢]를 흐리게 함이 있는데 또 그렇게 해야 할 것이다. 용(用
작용
)을 그친다는 것은 오직 많은 경계(境界)에 인연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또 작용을 일으켜 환(幻)과 환(幻)이 아닌 것들을 관찰(觀察)하지 않는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정륜(定輪):선정(禪定)의 바퀴. ‘바퀴’[輪]는 어떤 목표에 도달하도록 굴러가게 하는 도구. 즉 원각(圓覺)에 이르도록 도와주는 선정(禪定)의 방편.
주002)
혹장(惑障):의혹의 장애. 번뇌장(煩惱障)과 같은 말. 지적인 장애와는 구별하여 정서적이거나 도덕적인 장애를 가리킴.
주003)
정지(正智):진리에 들어맞는 지혜. 궁극의 진리를 깨닫는 바른 지혜. 깨달음.
주004)
삼륜(三輪):3가지 방편. 사마타·삼마발제·선나의 3가지를 홑으로 닦는 것을 말한다.
주005)
각소(慤疏):유각(惟慤)의 소(疏). 유각이 지은 ‘원각경’의 주석서. 원각경 제일의 주석가이며 유포자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것은 당나라 규봉 종밀(圭峰宗密)이며 그의 ‘대방광원각경대소’가 있는데, 육각의 ‘소’는 그보다 앞서 나온 주석서이다.
주006)
가뵤:비유(譬喩)함을. 비교함을. 어간 ‘가비-’는 “어떤 현상이나 사물을 직접 설명하지 아니하고 다른 비슷한 현상이나 사물에 빗대어 설명하다.”는 뜻.
주007)
오로:온전히. 올-[全]+오(부사 파생접사). 15세기 문헌들에는 [:오·로]≈[오··로]≈[오·오·로]형이 공존한다. ¶오··로(석상13:28). 오·오·로(두초21:11).
주008)
용(用):사물의 운용 및 활동. 작용.
주009)
관찰(觀察):고찰하는 것. 숙고하는 것. 대상을 마음에 떠올려 자세하고 분명하게 생각하는 것. 판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