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⑱ 선나-삼마발제-사마타 5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⑱ 선나-삼마발제-사마타 5


【종밀주석】 五 多寶呈通觀이니 多寶佛이 先成道샤 證如體시고 後於塔中

원각경언해 하2의2:34ㄱ

에 發起法華시니 如靜幻無礙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다 多당寶 주001)
다보(多寶):
5여래의 하나. 동방의 보정 세계(寶淨世界)에 나타났다는 부처. 석가모니가 영취산에서 법화경(法華經)을 설할 때, 땅속에서 다보탑과 함께 올라와 소리쳐서 “석가모니의 설법이 참”이라고 증명했다고 한다.
ㅅ 通 나토샨 觀관이니 多당寶佛이 몬져 道 일우샤 如體톙 주002)
여체(如體):
체(體)와 같음. 사물의 본질로서 고정 불변의 특성을 지닌 것. 성(性)·본체(本體) 등과 같은 의미로 쓰임.
 證시고 後에 塔탑中에 法법華 주003)
법화(法華):
법화경(法華經). 가야성(迦耶城)에서 도를 이룬 부처가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것으로, 모든 불교 경전 가운데 가장 존귀하게 여겨지는 경전. 법화경을 소리 내어 찬양한 것은 ‘幻’이다.
 니르와시니 靜과 幻괘 주004)
정(靜)과 환(幻)괘:
정(靜)과 환(幻)이. 오늘날 같으면 ‘靜과 幻이’로 표현하겠지만, 15세기 국어에서는 “N1과/와 N2과/와+(조사)”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당시 규칙이었다.
룜 업숨 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선나를 머리로 삼아 닦는 칠륜 중에서〉 다섯 번째는 다보(多寶)의 신통을 나타내신 관(觀)[=다보정통관(多寶呈通觀)]이니, 〈이것은〉 다보불(多寶佛)이 먼저 도(道)를 이루시어 여체(如體)임을 깨달으시고 후에 탑(塔) 속에서 법화(法華)를 일으키시니, 정(靜)과 환(幻)이 가림[=막힘/걸림]이 없는 것과 같으시니라.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다보(多寶):5여래의 하나. 동방의 보정 세계(寶淨世界)에 나타났다는 부처. 석가모니가 영취산에서 법화경(法華經)을 설할 때, 땅속에서 다보탑과 함께 올라와 소리쳐서 “석가모니의 설법이 참”이라고 증명했다고 한다.
주002)
여체(如體):체(體)와 같음. 사물의 본질로서 고정 불변의 특성을 지닌 것. 성(性)·본체(本體) 등과 같은 의미로 쓰임.
주003)
법화(法華):법화경(法華經). 가야성(迦耶城)에서 도를 이룬 부처가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것으로, 모든 불교 경전 가운데 가장 존귀하게 여겨지는 경전. 법화경을 소리 내어 찬양한 것은 ‘幻’이다.
주004)
정(靜)과 환(幻)괘:정(靜)과 환(幻)이. 오늘날 같으면 ‘靜과 幻이’로 표현하겠지만, 15세기 국어에서는 “N1과/와 N2과/와+(조사)”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당시 규칙이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