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⑤ 사마타-(삼마발제와 선나를 동시) 3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⑤ 사마타-(삼마발제와 선나를 동시) 3


【경】 此菩薩者 名이 先修奢摩他고 齊修三摩鉢提와 禪那ㅣ라

이 菩뽕薩은 일후미 奢샹摩망他탕 몬져 닷고 三삼摩망鉢提똉와 禪쎤那낭와 기 닷고미라

이 보살은 이름이 사마타를 먼저 닦고 삼마발제와 선나를 가지런히 닦는다고 하느니라.

【종밀주석】 結名시니라 六은 獨足雙頭觀이니 白澤圖중에 有

원각경언해 하2의2:21ㄴ

山精호 頭ㅣ 如鼓야 有兩面야 前後 俱見니 此 喩靜幻을 雙照샤 二利를 齊運샤미 如雙頭也ㅣ오 單寂觀은 如獨足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일후믈 結시니라

원각경언해 하2의2:21ㄴ

여스슨 주001)
여스슨:
여섯은. 여슷[六]+은(보조사). 계림유사(1103)에는 六曰 逸戌[*여슷], 조선관역어(1408)는 六 耶沁[*여슷]이 쓰였다.
외바랫 주002)
외바랫:
외발의. 외다리의. ‘·외·발’은 명사 ‘외’[獨]와 ‘발’[足]의 합성어로 “하나뿐인 발”을 뜻하는 현대어 ‘외다리’에 대응된다. 여기 ‘외발’은 ‘선나’를 가리킨다.
머린 주003)
머린:
머리인. 머리[頭]+Ø(무형의 서술격)+ㄴ(관형사형어미). ‘두 머린’은 “머리가 둘인” 정도로 풀이한다. 여기에서 두 머리는 ‘사마타·삼마발제’를 가리킴.
觀관이니 白澤 주004)
백택(白澤):
중국에서, 덕망이 있는 임금이 다스리는 시대에 나타난다고 하는 상상의 신령스러운 짐승. 사자의 모양을 하고 여덟 개의 눈을 가졌는데 말도 한다고 한다.
그 中에 山산精 주005)
산정(山精):
산의 정령(精靈). 산신령. 산천초목이나 무생물 따위의 여러 사물에 깃들여 있다는 혼령. 원시 종교의 숭배 대상 가운데 하나이다.
이 이쇼 머리 주006)
붑:
북[鼓]. 기저형 ‘붚’을 ‘붑’으로 표기한 것은 8종성가족용법의 제약에 따라 ‘ㅍ’과 동일 서열의 전청자 ‘ㅂ’으로 적은 결과임. 연병지남(1612)에 ‘북’(16ㄴ)이 보임. ¶앏로 향거 북 바탕을 티고(16ㄴ). ‘붚〉북’은 이화(異化), 효과 면에서는 ‘붚’보다 청각 인상이 더 뚜렷하게 남으므로 강화(强化)되었다 할 수 있다.
야 두 치 주007)
치:
낯이. 얼굴[面]이. 중세국어에서 ‘얼굴/얼골’은 형체(形體)의 뜻이었으며, ‘낯’[顔面]의 뜻으로 바뀐 예는 동문유해(1748)에 나타난다. ¶① 얼구를 니저[忘形](두초8:9ㄱ). 나 겨집 얼골 이니(태산집요9ㄱ). ② 容顔 얼굴(동문, 상18). 顔  안, 面  면, 形 얼굴 (자회, 상13ㄱ).
이셔 앏 뒤흘  보니 이 靜과 幻 주008)
환(幻):
환영(幻影). 허깨비. 헛것. 사물의 실체가 아닌 것. 참된 것이 아니고 거짓된 것. 환을 진짜라고 생각하는 것은 범부의 어리석은 생각이며, 중생심은 모두 환이다.
과 둘흘 비취샤 두 利링 주009)
이(利):
이로움을. 이익을. 장점을.
기 뮈우샤미 두 머리 고 單단寂쪅觀관 주010)
단적관(單寂觀):
적(寂)은 번뇌가 끊어진 것. ‘선나’를 홑으로 닦는 관문(觀門). 마음이나 부처나 정토 등을 비추어보는 것이 법문(法門)에 들어가는 것과 같으므로 ‘관문’이라 표현한다.
은 외발 호 가뵤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위의 말씀은〉 이름을 결정하신 것이다. 〈사마타를 머리로 삼아 닦는 칠륜 가운데〉 여섯 번째는 외발에 머리가 둘인 관(觀)이니, 백택(白澤)의 그림 가운데 산의 정기(精氣=정령)가 있는데, 머리가 북과 같아서 두 낯이 있어 앞과 뒤를 함께 본다. 이것은 정(靜)과 환(幻) 둘을 비추시어 두 가지 이로움을 가지런히 움직이게 하시는 것이 〈마치〉 두 개의 머리와 같고 단적관(單寂觀)은 외발과 같음을 비유한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여스슨:여섯은. 여슷[六]+은(보조사). 계림유사(1103)에는 六曰 逸戌[*여슷], 조선관역어(1408)는 六 耶沁[*여슷]이 쓰였다.
주002)
외바랫:외발의. 외다리의. ‘·외·발’은 명사 ‘외’[獨]와 ‘발’[足]의 합성어로 “하나뿐인 발”을 뜻하는 현대어 ‘외다리’에 대응된다. 여기 ‘외발’은 ‘선나’를 가리킨다.
주003)
머린:머리인. 머리[頭]+Ø(무형의 서술격)+ㄴ(관형사형어미). ‘두 머린’은 “머리가 둘인” 정도로 풀이한다. 여기에서 두 머리는 ‘사마타·삼마발제’를 가리킴.
주004)
백택(白澤):중국에서, 덕망이 있는 임금이 다스리는 시대에 나타난다고 하는 상상의 신령스러운 짐승. 사자의 모양을 하고 여덟 개의 눈을 가졌는데 말도 한다고 한다.
주005)
산정(山精):산의 정령(精靈). 산신령. 산천초목이나 무생물 따위의 여러 사물에 깃들여 있다는 혼령. 원시 종교의 숭배 대상 가운데 하나이다.
주006)
붑:북[鼓]. 기저형 ‘붚’을 ‘붑’으로 표기한 것은 8종성가족용법의 제약에 따라 ‘ㅍ’과 동일 서열의 전청자 ‘ㅂ’으로 적은 결과임. 연병지남(1612)에 ‘북’(16ㄴ)이 보임. ¶앏로 향거 북 바탕을 티고(16ㄴ). ‘붚〉북’은 이화(異化), 효과 면에서는 ‘붚’보다 청각 인상이 더 뚜렷하게 남으므로 강화(强化)되었다 할 수 있다.
주007)
치:낯이. 얼굴[面]이. 중세국어에서 ‘얼굴/얼골’은 형체(形體)의 뜻이었으며, ‘낯’[顔面]의 뜻으로 바뀐 예는 동문유해(1748)에 나타난다. ¶① 얼구를 니저[忘形](두초8:9ㄱ). 나 겨집 얼골 이니(태산집요9ㄱ). ② 容顔 얼굴(동문, 상18). 顔  안, 面  면, 形 얼굴 (자회, 상13ㄱ).
주008)
환(幻):환영(幻影). 허깨비. 헛것. 사물의 실체가 아닌 것. 참된 것이 아니고 거짓된 것. 환을 진짜라고 생각하는 것은 범부의 어리석은 생각이며, 중생심은 모두 환이다.
주009)
이(利):이로움을. 이익을. 장점을.
주010)
단적관(單寂觀):적(寂)은 번뇌가 끊어진 것. ‘선나’를 홑으로 닦는 관문(觀門). 마음이나 부처나 정토 등을 비추어보는 것이 법문(法門)에 들어가는 것과 같으므로 ‘관문’이라 표현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