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5. 게송으로 요약하심
  • 5. 게송으로 요약하심 5
메뉴닫기 메뉴열기

5. 게송으로 요약하심 5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2의2:45ㄱ

二者 下句 作無信下根야 釋이니 謂都不信者 聞之야도 不能隨順니 依此면 則上智與下愚ㅣ 不移也ㅣ라 前釋不隨 不隨倒法이오 此釋不隨 不隨正法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2의2:46ㄴ

둘흔 아랫 句궁를 信신 업슨 下根 주001)
하근(下根):
불도(佛道)를 이해하는 자질과 능력이 가장 약한 사람.
을 지 사교미니 닐오 다 信신티 아니닌 주002)
아니닌:
아니하는 사람은. 아니-[不]+(현재)+ㄴ(관형사형)#이[者](의존명사)+ㄴ(보조사). 의존명사 ‘이’는 15세기 문헌에서는 의존형태소처럼 인식하였던지 선행하는 어미 ‘-ㄹ/-ㄴ’을 ‘이’의 초성에 연철 표기하였다. ¶一萬神靈이 侍衛며 자리 업시 닐굽 거르믈 거르샤(석상6:17ㄱ). 無等은 니 업슬씨니 無等等은 니 업슨 德으로(석상21:19ㄴ).
드러도 能히 隨順쓘 몯니 이 브트면 上智딩 주003)
상지(上智):
가장 뛰어난 지혜. 또는 그런 지혜를 가진 사람.
下愚웅 주004)
하우(下愚):
아주 어리석고 못난 사람. 낮은 지혜라는 뜻으로 슬기로운 정도가 보통 사람에도 이르지 못함을 이르는 하지(下智)와 유의어.
옮디 주005)
옮디:
옮지. 바뀌지. 어떤 곳에서 다른 곳으로 움직여[=이동하여] 자리를 바꾸지.
아니호미라 알 사굔 주006)
사굔:
새긴 바. 글이나 말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한 바. 사기-[解]+오(대상활용의 선어말어미)+ㄴ(동명사어미).
隨順쓘 아니호 갓 주007)
갓:
뒤집힌. 거꾸로 된. 갓-[倒]+ㄴ(관형사형어미). ¶갓 夢想 머리 여희오[遠離顚倒夢想고](심경56ㄱ).
法법을 좃디 아니호미오 이 사굔 隨順쓘 아니호 正法법 주008)
정법(正法):
바른 진리. 바른 이치를 제시하는 가르침. 부처의 가르침.
좃디 주009)
좃디:
좇지. ‘좃-’은 기저형 ‘좇-’[隨]을 8종성가족용법에 따라 종성 ‘ㅊ’과 동일 서열의 전청자 ‘ㅅ’으로 간략 표기한 것임.
아니호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둘은 아랫 구(句)를 믿음[信]이 없는 하근(下根)을 지어 새긴 것이니, 이르되 모두 믿지 않는 사람은 들어도 능히 순순히 따르지 못하나니 이에 의거하면 상지(上智)와 하우(下愚)가 옮지[=바뀌지] 않는 것이다. 앞에서 새긴 순순히 따르지 않는다 함은 거꾸로 된 법을 좇지 않는다는 것이고, 여기에 새긴 순순히 따르지 않는다 함은 정법(正法)을 좇지 않는다는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하근(下根):불도(佛道)를 이해하는 자질과 능력이 가장 약한 사람.
주002)
아니닌:아니하는 사람은. 아니-[不]+(현재)+ㄴ(관형사형)#이[者](의존명사)+ㄴ(보조사). 의존명사 ‘이’는 15세기 문헌에서는 의존형태소처럼 인식하였던지 선행하는 어미 ‘-ㄹ/-ㄴ’을 ‘이’의 초성에 연철 표기하였다. ¶一萬神靈이 侍衛며 자리 업시 닐굽 거르믈 거르샤(석상6:17ㄱ). 無等은 니 업슬씨니 無等等은 니 업슨 德으로(석상21:19ㄴ).
주003)
상지(上智):가장 뛰어난 지혜. 또는 그런 지혜를 가진 사람.
주004)
하우(下愚):아주 어리석고 못난 사람. 낮은 지혜라는 뜻으로 슬기로운 정도가 보통 사람에도 이르지 못함을 이르는 하지(下智)와 유의어.
주005)
옮디:옮지. 바뀌지. 어떤 곳에서 다른 곳으로 움직여[=이동하여] 자리를 바꾸지.
주006)
사굔:새긴 바. 글이나 말의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한 바. 사기-[解]+오(대상활용의 선어말어미)+ㄴ(동명사어미).
주007)
갓:뒤집힌. 거꾸로 된. 갓-[倒]+ㄴ(관형사형어미). ¶갓 夢想 머리 여희오[遠離顚倒夢想고](심경56ㄱ).
주008)
정법(正法):바른 진리. 바른 이치를 제시하는 가르침. 부처의 가르침.
주009)
좃디:좇지. ‘좃-’은 기저형 ‘좇-’[隨]을 8종성가족용법에 따라 종성 ‘ㅊ’과 동일 서열의 전청자 ‘ㅅ’으로 간략 표기한 것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