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1
  • 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 4. 수행에는 크게 세 종류의 관법이 있음
  • 나) 삼마발제 : 자성 없는 법으로 번뇌를 녹이는 관찰 수행 4
메뉴닫기 메뉴열기

나) 삼마발제 : 자성 없는 법으로 번뇌를 녹이는 관찰 수행 4


【경】 變化諸幻야 而開幻衆야

한 幻 變변化황야 주001)
변화(變化)야:
변화시켜. 오늘날 ‘변화하-’는 자동사이지만, 여기서는 타동사로서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바뀌는 것을 가리킨다. ‘형태와 모양을 갖가지로 변하게 하여. 여러 가지로 모습을 바꿔서.’
幻衆을 여러

온갖 환(幻)을 변화시켜 환 같은 무리[=환중(幻衆)]를 열어[=깨우쳐]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2의1:27ㄱ

隨機應化야 說法開示如幻衆生也ㅣ라 若觀心釋者댄 變起差別幻智야 徧觀八萬

원각경언해 하2의1:27ㄴ

塵勞之衆이 一一稱眞淸淨야 非障非蔽ㅣ 卽爲開也ㅣ라

원각경언해 하2의1:28ㄴ

二 成功이오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2의1:28ㄱ

機긩를 조차 應化황 주002)
응화(應化):
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모습으로 이 세상에 나타나는 일.
야 幻 衆生 說法법야 여러 뵈샤미라 다가 觀관心심 주003)
관심(觀心):
마음의 본바탕을 바르게 살펴보는 것.
으로 사굘딘댄 差창別 幻智딩 變변야 니르와다 八萬먼 塵띤勞 주004)
진로(塵勞):
번뇌(煩惱)의 다른 이름. 마음을 더럽히고 피로하게 한다는 뜻이다. 진(塵)은 육경(六境)을 가리키며, 육경에 의해서 번뇌(煩惱)가 일어나므로 번뇌를 진로(塵勞)라고 한다.
ㅅ 衆이 一一히 眞진實ㅅ 淸淨에 마자 障 아니며 룜 아닌  너비 보샤미 곧 여루미라【障 아니며 룜 아뇨  慳칸 주005)
간(慳):
아낌. 재물을 아끼는 태도가 몹시 지나친 것. 인색함.
布봉施싱 주006)
보시(布施):
널리 베푼다는 뜻의 말로서, 자비의 마음으로 다른 이에게 아무런 조건 없이 베풀어 주는 것을 뜻한다.
 리오며 貪탐이 持띵戒갱 주007)
지계(持戒):
계율을 몸에 지녀 자발적으로 지키고 피하지 않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를 리오며 瞋친 주008)
진(瞋):
육번뇌의 하나. 자기의 마음에 맞지 않는 것에 대하여 분하게 여겨 몸과 마음이 편안하지 못하게 되는 번뇌이다.
이 忍을 리옴 니 六륙度똥 주009)
육도(六度):
보살이 열반에 이르기까지 수행해야 할 6가지 조목. ① 보시(布施) : 널리 자비를 베푸는 행위, ② 지계(持戒) : 일체 계행(戒行), ③ 인욕(忍辱) : 여러 가지로 참는 것, ④ 정진(精進) : 항상 수양에 힘쓰고 게으르지 않는 것, ⑤ 선정(禪定) : 마음을 고요하게 통일하는 것, ⑥ 지혜(智慧) : 사악한 지혜와 나쁜 소견을 버리고 참 지혜를 얻는 것.
애 마 여슷 리오 니면 八萬먼 四千쳔

원각경언해 하2의1:28ㄴ

에 例롕홀디니 이제 보아 곧 淨일 아닌  아니라 둘흔 功 일우미오】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위의 경문은) 기(機)를 좇아 응화(應化)하여 환(幻)과 같은 중생에게 설법하여 열어 보이시는 것이다. 만약 관심(觀心)으로 새길 것 같으면, 차별(差別)이 있는 환지(幻智)를 변하여 일으켜 8만 진로(塵勞) 〈같은〉 무리가 일일이 진실한 청정(淸淨)에 맞서 장애[障]가 아니며 가려짐[蔽]이 아닌 것을 널리 보시는 것이 곧 엶[=깨우침]이다.【장애[障]가 아니며 가려짐[蔽]이 아닌 것은 또 간(慳=아낌/인색함)이 보시(布施)를 가리게 하며, 탐욕(貪慾)이 지계(持戒)를 가리게 하며, 성냄[瞋]이 참을성[忍]을 가리게 하는 것과 같으니라. 육도(六度)에 이미 여섯 가지 가리게 하는 것을 말한다면, 8만 4천 가지에 예를 보여야 할 것이니, 이제 보아 곧 깨끗하게 되므로 아니라는 것을 안 것이다. 둘은 공(功)을 이루는 것이고】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변화(變化)야:변화시켜. 오늘날 ‘변화하-’는 자동사이지만, 여기서는 타동사로서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바뀌는 것을 가리킨다. ‘형태와 모양을 갖가지로 변하게 하여. 여러 가지로 모습을 바꿔서.’
주002)
응화(應化):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모습으로 이 세상에 나타나는 일.
주003)
관심(觀心):마음의 본바탕을 바르게 살펴보는 것.
주004)
진로(塵勞):번뇌(煩惱)의 다른 이름. 마음을 더럽히고 피로하게 한다는 뜻이다. 진(塵)은 육경(六境)을 가리키며, 육경에 의해서 번뇌(煩惱)가 일어나므로 번뇌를 진로(塵勞)라고 한다.
주005)
간(慳):아낌. 재물을 아끼는 태도가 몹시 지나친 것. 인색함.
주006)
보시(布施):널리 베푼다는 뜻의 말로서, 자비의 마음으로 다른 이에게 아무런 조건 없이 베풀어 주는 것을 뜻한다.
주007)
지계(持戒):계율을 몸에 지녀 자발적으로 지키고 피하지 않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주008)
진(瞋):육번뇌의 하나. 자기의 마음에 맞지 않는 것에 대하여 분하게 여겨 몸과 마음이 편안하지 못하게 되는 번뇌이다.
주009)
육도(六度):보살이 열반에 이르기까지 수행해야 할 6가지 조목. ① 보시(布施) : 널리 자비를 베푸는 행위, ② 지계(持戒) : 일체 계행(戒行), ③ 인욕(忍辱) : 여러 가지로 참는 것, ④ 정진(精進) : 항상 수양에 힘쓰고 게으르지 않는 것, ⑤ 선정(禪定) : 마음을 고요하게 통일하는 것, ⑥ 지혜(智慧) : 사악한 지혜와 나쁜 소견을 버리고 참 지혜를 얻는 것.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