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1
  • 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 4. 수행에는 크게 세 종류의 관법이 있음
  • 4-1) 도착 지점은 하나이나 가는 길은 여럿 5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도착 지점은 하나이나 가는 길은 여럿 5


【경】

원각경언해 하2의1:10ㄴ

圓攝所歸컨댄 循

가 고 두려이 주001)
두려이:
원만히[圓]. 성취나 완성이 매우 뛰어나서 조금도 부족함이 없이. 15세기 국어에서 ‘두렵-’은 “둥글다, 원만하다”[圓]는 뜻으로, ‘두립-’은 “두렵다, 두려워하다”[懼]는 뜻으로 각기 다른 단어. 정음 창제 초기문헌부터 1460년까지 성립된 문헌에서 ‘두렵-’은 뒤에 모음이 오면 ‘두려’(월석9:21)·‘두려’(월석8:26) 등으로, 능엄경언해(1461)부터는 ‘두려우니’(능엄8:49)·‘두려운’(능엄2:21)’ 등처럼 활용하였다. ‘ㅸ’은 이때로부터 ‘오/우/ㅇ’로 전면 교체된다. 통설은 ‘ㅸ〉w’로 변화했다고 해석하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ㅸ’은 방언 차이를 줄이기 위한 ‘절충적 표기’였는데, 이때에 원칙을 바꾸어 ‘ㅸ→오/우/ㅇ’로 표기법을 개정한 것이라 해석하기도 한다.
잡건댄

〈돌아〉가는 곳을 원만(圓滿)히 잡는다면

【종밀주석】 循은 隨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循쓘은 조시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순(循)은 좇는다는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두려이:원만히[圓]. 성취나 완성이 매우 뛰어나서 조금도 부족함이 없이. 15세기 국어에서 ‘두렵-’은 “둥글다, 원만하다”[圓]는 뜻으로, ‘두립-’은 “두렵다, 두려워하다”[懼]는 뜻으로 각기 다른 단어. 정음 창제 초기문헌부터 1460년까지 성립된 문헌에서 ‘두렵-’은 뒤에 모음이 오면 ‘두려’(월석9:21)·‘두려’(월석8:26) 등으로, 능엄경언해(1461)부터는 ‘두려우니’(능엄8:49)·‘두려운’(능엄2:21)’ 등처럼 활용하였다. ‘ㅸ’은 이때로부터 ‘오/우/ㅇ’로 전면 교체된다. 통설은 ‘ㅸ〉w’로 변화했다고 해석하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ㅸ’은 방언 차이를 줄이기 위한 ‘절충적 표기’였는데, 이때에 원칙을 바꾸어 ‘ㅸ→오/우/ㅇ’로 표기법을 개정한 것이라 해석하기도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