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다) 3관을 총체적으로 닦는 방법 5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다) 3관을 총체적으로 닦는 방법 5


【경】 無離覺性면

覺각性 주001)
각성(覺性):
불성(佛性)과 같은 말. 부처로서의 본성. 부처의 성질. 부처가 될 가능성.
여희욤 업스면

각성(覺性)을 여읨[=이탈함]이 없으면

【종밀주석】 依此修寂觀이니 故로 科云圓修三觀矣니라 又以圓覺으로 合一切 是 從體起用이오 性相無異覺惺은 是 會用歸體니 體用이 無礙며 寂照ㅣ 同時ㅣ 是爲圓滿無上妙覺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이 브터 寂쪅觀관 닷샤미니 그럴 科쾅 주002)
과(科):
해석상의 편의를 위하여 경론(經論)의 문구를 단락으로 나눈 것. 진(秦)나라 때 도안(道安)이 처음으로 시작했다고 한다.
애 三삼觀관을 두려이 닷다 주003)
닷다:
닦다. 닦았다. 어간 ‘-’에서 뒤에 자음 어미가 오면 음절구조상의 제약으로 ‘ㅺ→ㅅ’으로 어간 말음이 단순화한다.
니니라  圓覺각으로 一切촁예 어우루믄 이 體톙 브터 用

원각경언해 하2의2:39ㄱ

 니르와도미오 性과 相괘 覺각性 주004)
각성(覺性):
진리를 깨달아 아는 성품이나 소질.
에 달옴 업수믄 이 用 뫼화 體톙예 가미니 體톙와 用괘 룜 업스며 寂쪅과 照왜  샤미 이 圓滿만 주005)
원만(圓滿):
어떤 것의 성취나 완성이 매우 뛰어나서 조금도 부족함이 없는 상태. 완전하게 갖추어짐.
無뭉上 妙覺각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것에 의거하여 적관(寂觀)을 닦으시는 것이니, 그러므로 과(科)에서 삼관(三觀)을 원만히 닦았다고 말하는 것이다. 또 원각(圓覺)으로써 일체에 어울리는 것은 체(體)를 좇아 용(用)을 일으키는 것이고, 성(性)과 상(相)이 각성(覺性=불성)과 다름이 없는 것은 용(用)을 모아 체(體)에 가는 것이니 체(體)와 용(用)이 가림[=막힘]이 없으며 적(寂)과 조(照)가 함께 하시는 것이 원만 무상묘각(無上妙覺) 주006)
무상묘각(無上妙覺):
부처의 무상(無上) 정각(正覺)을 가리킴. 보살의 수행 단계 중 마지막 단계로서, 모든 번뇌를 끊고 깨달음을 성취한 지위.
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각성(覺性):불성(佛性)과 같은 말. 부처로서의 본성. 부처의 성질. 부처가 될 가능성.
주002)
과(科):해석상의 편의를 위하여 경론(經論)의 문구를 단락으로 나눈 것. 진(秦)나라 때 도안(道安)이 처음으로 시작했다고 한다.
주003)
닷다:닦다. 닦았다. 어간 ‘-’에서 뒤에 자음 어미가 오면 음절구조상의 제약으로 ‘ㅺ→ㅅ’으로 어간 말음이 단순화한다.
주004)
각성(覺性):진리를 깨달아 아는 성품이나 소질.
주005)
원만(圓滿):어떤 것의 성취나 완성이 매우 뛰어나서 조금도 부족함이 없는 상태. 완전하게 갖추어짐.
주006)
무상묘각(無上妙覺):부처의 무상(無上) 정각(正覺)을 가리킴. 보살의 수행 단계 중 마지막 단계로서, 모든 번뇌를 끊고 깨달음을 성취한 지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