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④ 사마타-선나-삼마발제 3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④ 사마타-선나-삼마발제 3


【경】 後起菩薩 淸淨妙行야 度諸衆生면

後에 菩뽕薩ㅅ 淸淨 妙行 주001)
묘행(妙行):
매우 뛰어난 수행 방법. 계(戒)·정(定)·혜(慧)의 3학을 수행하는 것.
 니르와다 한 衆生 度똥脫 주002)
도탈(度脫):
생사의 고통에서 해탈하는 것. 고뇌의 세계로부터 해방된 평안한 상태가 됨. 번뇌로부터의 해방되는 것. 번뇌를 제압하여 끊는 것.
면

나중에 보살의 청정(淸淨)한 묘행(妙行)을 일으키어 많은 중생을 도탈(度脫)하면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2의2:20ㄱ

幻也ㅣ라 煩惱ㅣ旣盡야 愛見이 已無故로 所起行이 無不淨妙야 可解他縳이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幻이라 煩뻔惱ㅣ 마 다아 주003)
다아:
다해[盡]. 다-[盡]+아(어미). 동사 ‘다다’는 용언의 일반형 ‘X다’형에 비해 고립적이다. 동사 일반형을 기준으로 점차 ‘더다’ 같은 예가 증가되어 가는데 이는 유추(類推)에 의한 변화이다. 이 책에는 극소수가 발견되며 유사한 동사에 ‘더으다’[加]도 있다.
愛見견 주004)
애견(愛見):
사물에 대한 집착 때문에 생기는 정의적인 번뇌인 애(愛)와, 잘못된 이론에 대한 집착으로 인한 이지적 번뇌인 견(見)을 아울러 이르는 말.
이 마 업스실 니르와샨 주005)
니르와샨:
일으키신. 니르-[起]+왇(강조의 접미사)+샤(주체높임)+ㄴ(관형사형 어미). ‘니르-’는 ‘닐-’의 타동사. 능엄경언해(1461) 이전 문헌에는 대개 ‘-/왇-’으로 공존하였다.
行이 淨妙 주006)
정묘(淨妙):
청정하고 무구함. 청정(淸淨) 묘행(妙行).
아니니 업서  요 주007)
요:
매임을. 동여 묶임을. -[縛]+욤(명사형어미 ‘옴’의 이형태)+(목적격).
어루 그르시리라 주008)
그르시리라:
푸실 것이다. 끄르시리라. 앞의 ‘어루’[可]와 어울리게 하면, “맺은 것이나 맨 것을 푸실 수 있을 것이다” 정도로 풀이된다. 16세기 문헌까지는 모음 어미가 오면 ‘글ㅇ-’형으로 활용하였으나, 17세기에는 점차 ‘글ㄹ-’형으로 활용형이 변해간다. ¶존  글어 微妙 圓通 얻게 샤(능엄1:21ㄱ).  글러 스스로 목 니(동국신속, 열3:20ㄴ).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위의 말씀은〉 환(幻)이다. 번뇌(煩惱)가 이미 다해 애견(愛見)이 이미 없어졌으므로 일으키신 행(行)이 정묘(淨妙) 아닌 게 없어 남에게 매인 것을 가히 푸실 수 있으리라.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묘행(妙行):매우 뛰어난 수행 방법. 계(戒)·정(定)·혜(慧)의 3학을 수행하는 것.
주002)
도탈(度脫):생사의 고통에서 해탈하는 것. 고뇌의 세계로부터 해방된 평안한 상태가 됨. 번뇌로부터의 해방되는 것. 번뇌를 제압하여 끊는 것.
주003)
다아:다해[盡]. 다-[盡]+아(어미). 동사 ‘다다’는 용언의 일반형 ‘X다’형에 비해 고립적이다. 동사 일반형을 기준으로 점차 ‘더다’ 같은 예가 증가되어 가는데 이는 유추(類推)에 의한 변화이다. 이 책에는 극소수가 발견되며 유사한 동사에 ‘더으다’[加]도 있다.
주004)
애견(愛見):사물에 대한 집착 때문에 생기는 정의적인 번뇌인 애(愛)와, 잘못된 이론에 대한 집착으로 인한 이지적 번뇌인 견(見)을 아울러 이르는 말.
주005)
니르와샨:일으키신. 니르-[起]+왇(강조의 접미사)+샤(주체높임)+ㄴ(관형사형 어미). ‘니르-’는 ‘닐-’의 타동사. 능엄경언해(1461) 이전 문헌에는 대개 ‘-/왇-’으로 공존하였다.
주006)
정묘(淨妙):청정하고 무구함. 청정(淸淨) 묘행(妙行).
주007)
요:매임을. 동여 묶임을. -[縛]+욤(명사형어미 ‘옴’의 이형태)+(목적격).
주008)
그르시리라:푸실 것이다. 끄르시리라. 앞의 ‘어루’[可]와 어울리게 하면, “맺은 것이나 맨 것을 푸실 수 있을 것이다” 정도로 풀이된다. 16세기 문헌까지는 모음 어미가 오면 ‘글ㅇ-’형으로 활용하였으나, 17세기에는 점차 ‘글ㄹ-’형으로 활용형이 변해간다. ¶존  글어 微妙 圓通 얻게 샤(능엄1:21ㄱ).  글러 스스로 목 니(동국신속, 열3:20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