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1
  • 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 4. 수행에는 크게 세 종류의 관법이 있음
  • 3) 모든 부처님과 보살도 세 종류의 명상을 하심 1
메뉴닫기 메뉴열기

3) 모든 부처님과 보살도 세 종류의 명상을 하심 1


【경】

원각경언해 하2의1:60ㄴ

善男子아 此三法門이 皆是圓覺親近隨順이니 十方如來ㅣ 因此成佛시며 十方菩薩의 種種方便一切同異ㅣ 皆依如是三種事業

원각경언해 하2의1:61ㄱ

니

善쎤男남子아 이 세 法법門몬이 다 이 圓覺각 親친近끈히 隨順쓘호미니 十씹方 如來ㅣ 이 因야 成佛시며 十씹方 菩뽕薩 種種앳 方便뼌 一切촁 홈과 달옴괘 다 이  세 가짓 事業을 븓니

선남자여, 이 세 가지 법문(法門)은 모두 이 원각을 친근하게 수순하는 것이니, 시방 여래가 이로 인하여 성불(成佛)하시며, 시방 보살의 갖가지 방편 일체와 같음과 다름이 모두 이와 같은 세 가지의 사업(事業=수행)에 의지하나니

【종밀주석】 此三門이 皆依悟淨圓覺샤 而起觀行시고 觀行도 亦皆趣入圓覺이라 始終不離故로 云親近隨順이라 佛及菩薩이 同證同修샤 隨機隨事야 行相이 各異시니 或多人이 同修一門며 或一人이 具修多行며 若三五ㅣ어나 若百千이어나 同之與異ㅣ 隨類

원각경언해 하2의1:61ㄴ

難準이나 然이나 必皆依此三種業니 三種業中에 或具依三며 或一며 或二며 同時며 前後며 單複이 綺互야 具如二十五輪에 所明니 此ㅣ 是修行人之事業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이 세 門몬이 다 淨圓覺각 아로 브트샤 觀관行 주001)
관행(觀行):
마음으로 진리를 비추어 보고 그 진리에 따라 실천함.
 니르와시고 觀관行도  다 圓覺각애 가 드르샨디라 주002)
드르샨디라:
들어가시는 것이다. 어간 말음이 ‘ㄹ’인 경우에 주체높임 선어말어미 ‘-시-’가 통합될 때는 오늘날과는 달리 어간말 모음의 종류에 따라 ‘/으’를 선택하되 필수적으로 삽입되었다. ¶後宮에 드르싫 제(용가 50). 寶塔이 놉고 머르실(법화 7:22ㄴ).
처과 내애 여희디 아니실 니샤 親친近끈히 隨順쓘호미라 佛와 菩뽕薩왜 주003)
보살(菩薩)왜:
보살이. ‘보살’은 성불하기 위해 뜻을 세워 수행하는 구도자. 부처의 지혜를 얻기 위해 수행하고 있는 사람. 위로는 보리(菩提)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제도하는 대승 불교의 이상적 수행자. 공동격조사는 ‘과/와’는 모음과 ‘ㄹ’ 뒤에서는 ‘와’가, 그 밖의 자음 뒤에서는 ‘과’가 쓰였다. 16세기 중반 문헌 이후부터 오늘날처럼 ‘ㄹ’ 뒤에서도 ‘과’가 쓰이기 시작한다. ¶실과 아롬괘(초발심30ㄱ).
가지로 證시며 가지로 닷샤 機긩 주004)
기(機):
석가의 가르침에 접하여 발동되는 수행자의 정신적 능력. 중생의 종교적 소질·역량·기근(機根) 등이다.
 조며 이 조차 行相 주005)
행상(行相):
마음의 작용. 행(行)은 마음의 움직임, 상(相)은 이것을 파악하는 것. 분별심이 대상을 인식하는 작용의 상태.
이 各각各각 다시니 시혹 한 사미  門몬을 티 닷며 시혹  사미 한 行 초 닷며 다가 세 다시어나 

원각경언해 하2의1:62ㄱ

다가 百千쳔이어나 홈과 달오미 類 조차 티 호미 어려우나 그러나 반기 다 이 세 가짓 業을 븓니 세 가짓 業中에 시혹 세흘 초 브트며 시혹 나며 시혹 둘며  주006)
:
함께. 역사적으로 ‘〉〉함께’로 변한 것은 ‘’과 ‘’가 결합되어 ‘ㅴ’의 첫 자음 ‘ㅂ’이 선행 음절 말음 ‘ㄴ’을 동화(양순음화)시킨 결과이다.
며 前쪈後에 며 單단과 復복괘 깁섯야 주007)
깁섯야:
비단 짜듯이 서로 섞어. ‘깁섯다’는 ‘서로 섞는 것이 〈마치〉 비단[錦]이나 깁 (짜는 것과) 같다’로 풀이할 수 있어 ‘깁’과 ‘-’은 상호 ‘분리성’이 인정된다. 따라서 ‘깁섯다’는 ‘깁#섯다’와 같이 구 구성으로 처리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조미 二十씹五輪륜에 굠 니 이 이 修行 사 事業 주008)
사업(事業):
일정한 목적과 계획을 가지고 짜임새 있게 하는 일. 업(業)은 몸과 입과 뜻으로 짓는 소행. 여기서는 위덕자재장에서 설한 세 종류의 수행.
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 세 문(門)이 모두 청정한 원각을 깨달음을 의지하여 관행(觀行)을 일으키시고 관행도 또한 모두 원각에 들어가신 것이라, 처음과 나중에 여의지(=떠나지) 아니하시므로 ‘친근하게 수순한 것’이라 이르시니라. 부처와 보살이 한가지로 증득하시며 한가지로 닦으시되 기(機)를 좇으며, 일을 좇아(=따라서) 행상(行相)이 각각 다르시니 혹은 많은 사람이 하나의 관문을 같이 닦으며, 혹은 한 사람이 많은 행을 갖추어 닦으며, 만약 세다섯[=15]이거나 만약에 백 천(百千)이거나, 같음과 다름이 종류를 좇아 같이 하기가 어려우나, 그러나 반드시 모두 이 세 가지 업에 의지하니 세 가지 업 가운데 혹은 셋을 갖추어 의지하며, 혹은 하나를 갖추어 의지하며, 혹은 둘을 갖추어 의지하며, 전후(前後)로 하며, 단수(單數=홑)와 복수(複數=겹)로 비단을 섞어 짜듯이 하여, 갖추어짐이 이십오륜(二十五輪)에 밝힌 것과 같으니 이것이 이 수행할 사람의 사업(事業)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관행(觀行):마음으로 진리를 비추어 보고 그 진리에 따라 실천함.
주002)
드르샨디라:들어가시는 것이다. 어간 말음이 ‘ㄹ’인 경우에 주체높임 선어말어미 ‘-시-’가 통합될 때는 오늘날과는 달리 어간말 모음의 종류에 따라 ‘/으’를 선택하되 필수적으로 삽입되었다. ¶後宮에 드르싫 제(용가 50). 寶塔이 놉고 머르실(법화 7:22ㄴ).
주003)
보살(菩薩)왜:보살이. ‘보살’은 성불하기 위해 뜻을 세워 수행하는 구도자. 부처의 지혜를 얻기 위해 수행하고 있는 사람. 위로는 보리(菩提)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제도하는 대승 불교의 이상적 수행자. 공동격조사는 ‘과/와’는 모음과 ‘ㄹ’ 뒤에서는 ‘와’가, 그 밖의 자음 뒤에서는 ‘과’가 쓰였다. 16세기 중반 문헌 이후부터 오늘날처럼 ‘ㄹ’ 뒤에서도 ‘과’가 쓰이기 시작한다. ¶실과 아롬괘(초발심30ㄱ).
주004)
기(機):석가의 가르침에 접하여 발동되는 수행자의 정신적 능력. 중생의 종교적 소질·역량·기근(機根) 등이다.
주005)
행상(行相):마음의 작용. 행(行)은 마음의 움직임, 상(相)은 이것을 파악하는 것. 분별심이 대상을 인식하는 작용의 상태.
주006)
:함께. 역사적으로 ‘〉〉함께’로 변한 것은 ‘’과 ‘’가 결합되어 ‘ㅴ’의 첫 자음 ‘ㅂ’이 선행 음절 말음 ‘ㄴ’을 동화(양순음화)시킨 결과이다.
주007)
깁섯야:비단 짜듯이 서로 섞어. ‘깁섯다’는 ‘서로 섞는 것이 〈마치〉 비단[錦]이나 깁 (짜는 것과) 같다’로 풀이할 수 있어 ‘깁’과 ‘-’은 상호 ‘분리성’이 인정된다. 따라서 ‘깁섯다’는 ‘깁#섯다’와 같이 구 구성으로 처리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주008)
사업(事業):일정한 목적과 계획을 가지고 짜임새 있게 하는 일. 업(業)은 몸과 입과 뜻으로 짓는 소행. 여기서는 위덕자재장에서 설한 세 종류의 수행.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