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4) 수행할 것을 총체적으로 지시하심 1
메뉴닫기 메뉴열기

4-4) 수행할 것을 총체적으로 지시하심 1


【경】 若諸菩薩와 及末世衆生이 依此輪者

다가 諸졍菩뽕薩와 末世솅 衆生이 이 輪륜을 브트린 주001)
브트린:
의지할 사람은. 좇아 따를 사람은. 븥-[依]+을(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의존명사 ‘이’는 16세기 전반 문헌까지는 대개 형식형태소로 인식하였던지 연철(連綴)로만 표기하였다. ¶① 佛道求리(월석15:40ㄴ). ② 몸이[敬身](번소8:43ㄱ). ①의 ‘이’는 ‘者’에 대응되며, ②는 ‘일’[事]에 대응된다. 띄어쓰기는 없었으나 오늘날 실질형태소로 분석되는 경우는 연철하지 않고 모두 분철하였다.

만약에 모든 보살과 말세 중생이 이 윤(輪=25륜)에 의지하려는 이는

【종밀주석】 示修習者 修此二十五輪之時예 於事中威儀法式과 及用心方便괴 三業事理예 具足修習之意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닷가 니교 뵈샤 이 二十씹五輪륜 닷 時씽節에 事中엣 威義 주002)
위의(威儀):
위엄이 있고 엄숙한 태도나 차림새. 불자(佛者)가 지켜야 할 규범.
法법式식 주003)
법식(法式):
부처 앞에 재를 올리는 의식.
用心심 주004)
용심(用心):
정성스레 마음을 쓰는 것.
方便

원각경언해 하2의2:40ㄱ

주005)
방편(方便):
중생을 불법(佛法)으로 이끌어 교화시키는 수단과 방법을 총칭하는 말. 좋은 방법을 써서 중생을 바른 길로 인도하는 것, 또는 미혹한 중생들 각각의 성품에 맞추어서 제도하는 지혜를 말한다.
三삼業 주006)
삼업(三業):
몸·입·뜻으로 짓는 3가지 업(業). 신업(身業)·구업(口業)·의업(意業).
事理링 주007)
사리(事理):
변화하는 현상과 그 배후에 있는 불변하는 진리.
예 修習씹논 디 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닦아 익힘을 보이시는 것은 이십오륜(二十五輪)을 닦을 때에 사(事) 중(中)의 위의(威儀)와 법식(法式)과 용심(用心)의 방편(方便)과 (몸·입·뜻으로 짓는) 세 가지 업의 사리(事理)에 수습(修習=닦고 익힘)하는 뜻이 갖추어졌느니라.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브트린:의지할 사람은. 좇아 따를 사람은. 븥-[依]+을(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의존명사 ‘이’는 16세기 전반 문헌까지는 대개 형식형태소로 인식하였던지 연철(連綴)로만 표기하였다. ¶① 佛道求리(월석15:40ㄴ). ② 몸이[敬身](번소8:43ㄱ). ①의 ‘이’는 ‘者’에 대응되며, ②는 ‘일’[事]에 대응된다. 띄어쓰기는 없었으나 오늘날 실질형태소로 분석되는 경우는 연철하지 않고 모두 분철하였다.
주002)
위의(威儀):위엄이 있고 엄숙한 태도나 차림새. 불자(佛者)가 지켜야 할 규범.
주003)
법식(法式):부처 앞에 재를 올리는 의식.
주004)
용심(用心):정성스레 마음을 쓰는 것.
주005)
방편(方便):중생을 불법(佛法)으로 이끌어 교화시키는 수단과 방법을 총칭하는 말. 좋은 방법을 써서 중생을 바른 길로 인도하는 것, 또는 미혹한 중생들 각각의 성품에 맞추어서 제도하는 지혜를 말한다.
주006)
삼업(三業):몸·입·뜻으로 짓는 3가지 업(業). 신업(身業)·구업(口業)·의업(意業).
주007)
사리(事理):변화하는 현상과 그 배후에 있는 불변하는 진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